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DM 방식 3D 프린터에 대한 딥러닝 기반 물성 추정

        임주현(Joo Hyeon Im),김원곤(Wongon Kim),안성훈(Sung-Hoon Ahn),윤병동(Byeng Dong Youn)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2 No.11

        Additive manufacturing (AM) is playing a major role in Industry 4.0. AM can simplify the fabrication of complex shapes while minimizing manufacturing time and cost. However, the poor surface quality and weak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output hinder the broad application of AM.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method for estimating the mechanical property in a fused deposition modeling-type 3D printer. Acceleration signals were acquired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a tensile specimen through construction of a test-bed. In addition, a tensile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ecimen to collect informa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After that, features were extracted from the divided signals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mechanical properties. Finally, the quality of highly correlated property was estimated through deep neural network. We confirmed that deep learning-based method is good at estimating property through mean square error loss and root mean square error.

      • KCI등재

        종교성이 폭력범죄와 재산범죄 정당화에 미치는 영향: 도덕공동체이론에 기반한 다수준적 접근

        홍명기 ( Myeong-gi Hong ),차유정 ( Yoo-jung Cha ),황의갑 ( Eui-gab Hwang ) 대한범죄학회 2017 한국범죄학 Vol.11 No.2

        종교가 도덕성을 사회에 제공함으로써 현대사회를 통합시키는 기능을 얼마나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러 연구가 있었으나 주로 종교성과 범죄 혹은 비행 행위의 관계를 개인수준에서 다루었다. 개인수준에서의 선행연구에 더하여 본 연구는 종교가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맥락 속에서 설명한 도덕공동체이론을 근거로 종교다양성, 종교특성 등 국가수준 종교요인들이 폭력범죄와 재산범죄 정당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다수준 진단을 시도하였다. 52개국의 국제통계 자료와 70,978명에 대한 세계가치관조사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신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로 표현되는 신앙심이 높을수록 폭력범죄와 재산범죄를 정당화하는 인식이 줄어드는 영향을 보인 반면에, 종교행사참석빈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소속종교에 있어서 개신교도에 비해 유대교도와 종교가 없는 사람들의 재산범죄 정당화 정도가 높았다. 국가수준에서는 종교다양성지표(RDI)가 폭력범죄 정당화를 높이는 효과를 보임으로써 종교의 단일성이라는 사회적 맥락이 있을 때 도덕성에 미치는 종교의 효과가 크다는 도덕공동체이론에서의 주장과 일관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종교의 특성과 관련하여 도덕성을 강조하지 않는 신(Impersonal God)을 신봉하는 국가에서의 범죄 정당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인구밀도와 살인율 등 국가수준의 통제변인도 폭력범죄 정당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Based on moral community thesis, this study analyzed individual-level and country-level factors of religiosity on justification of violent and property crimes. For individual-level variables, religiosity, frequency of attending religious service were considered based on the survey data gathered from 70,978 respondents as a part of the World Value Survey. As for country-level variables, total of 52 countries were analyzed with indices that represents contextual religiosity indices such as religion diversity index, type of religion(impersonal God versus personal God), etc.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level religiosity had positive effects on justification of both violent and property crimes, while frequency of attending religious service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Among country level variables, Religious Diversity Index(RDI) had a positive effect on justifying violent crimes, hence supporting the moral community thesis. On the other hand, type of religion(impersonal God versus personal God)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mportantly, however, these country-level variables influenced people`s justification of violent and property crimes through the significant cross-level interactions with individual-level religiosity. Overall, the result impli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 of religiosity in our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crim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낮은 자기 통제력이 비행피해에 미치는 영향 : 기회요인과 부모 감독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명기 ( Myeong-gi Hong ),장현석 ( Hyun-seok Jang )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2

        기존 범죄학은 범죄피해에 대한 설명에 있어 일상활동이론(Felson and Cohen, 1979) 혹은 생활양식이론(Hindelang et al., 1978)을 이론적 틀로 사용해왔다. 이러한 이론들은 범죄피해가 우연히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피해자의 행동과 주변 환경에 의해 발생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수동적 대상이었던 범죄피해자를 능동적 대상으로 변화시켰으며, 범죄피해 예방에 대한 정책의 근거가 되어왔다. 그러나 위 이론들을 통한 선행연구들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접촉과 잠재적 피해자에 대한 특성에 대한 설명에 한계가 있었다. Schreck(1999)은 자기통제이론을 통해 범죄피해를 설명함으로써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자기통제력이 낮은 사람은 범죄와 관련된 위험한 행동을 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가해자와 피해자는 같은 성향을 공유하기 때문에 하나의 범죄공간에서 접촉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최근 선행연구들은 피해자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범죄피해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피해자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범죄피해에 있어 피해자에게 책임을 묻게 되는 위험성이 존재하며, 자기통제력은 인생의 초반기에만 변화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책방안도 마땅치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통제이론과 일상활동이론을 연결하여,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피해의 관계에서 기회요인의 매개효과와 부모 감독의 조절효과를 모두 고려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낮은 자기통제력과 비행피해의 관계에서 기회요인과 부모 감독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낮은 자기통제력이 위험한 행동양식을 야기하여(기회요인) 비행피해로 이어진다는 것과 동시에 부모의 감독이 이러한 영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 및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Conventional criminology has used Routine activity theory(Felson and Cohen, 1979) or Lifestyle theory(Hindelang et al., 1978) as theoretical frame to explain crime victimization. These theories argued that crime victimization occurs not by chance but by a victim’s behavior and by surrounding environment. These arguments made a crime victim, a passive subject in crime, into an active subject and became basis of crime prevention policies. However, preceding research of these theories had limitations of explaining the contact between offender and victim and characteristic of potential victim. Schreck(1999) improved these limitations by explaining crime victimization through Self-control theory. A person with low self-control has a tendency to risky behavior, which is similar with an offender, and is likely to contact with an offender in a criminal situation. Based on this, recent research focused on characteristic of victim to explain crime victimization. But, research on victim’s characteristic concerns that victim may hold responsible in his behavior in crime, and self-control only develops in early age that suitable countermeasure is rare. Therefore, this study combined Self-control theory with Routine activity theory to verify the relation of low self-control and delinquency victimization in the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factor and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upervision.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Results showed that in relation to low self-control and crime victimiz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factor and parents supervision was significant. This signified that low self-control causes risky behavior(opportunity factor) which leads to crime victimization, and at the same time, parents supervision weakens the influence.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as discussed in conclusion.

      • KCI등재

        범죄 두려움 요인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비교 연구

        홍명기 ( Myeong Gi Hong ),장현석 ( Hyun Seok Jang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5 공공정책연구 Vol.32 No.1

        범죄피해 두려움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국내의 자료를 통하여 기존의 이론들을 검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국가 간의 비교를 통해 범죄 두려움에 대한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는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범죄 두려움을 설명하는 범죄취약성 모형, 무질서 모형, 사회통합 모형 그리고 경찰에 대한 신뢰 모형이 한국과 미국에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년도 World Values Survey(WVS)에서 한국과 미국 자료를 추출하여 결측값을 제외하고 한국 848건, 미국 2,084건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전체모델에서는 사회적 무질서, 경찰에 대한 신뢰, 교육수준, 직접적 범죄피해경험이 종속변수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두 국가의 모델 비교에서는 한국의 경우 사회적 무질서와 경찰에 대한 신뢰, 교육수준 그리고 간접적 범죄피해경험 변수가 범죄 두려움 인식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미국의 경우 성별, 사회적 무질서, 경찰에 대한 신뢰, 교육수준 그리고 직접적 범죄피해경험 변수가 종속변수와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나 한국과 미국 모두에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인 변수는 사회적 무질서, 경찰에 대한 신뢰, 교육수준이었으며, 각 국가에서만 유의미한 변수는 성별, 직접적 범죄피해경험, 간접적 범죄피해경험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와 결론, 한계를 논하였다.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fear of crime mostly examined the existing theories focusing on the domestic data.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the comparative studies examining the differences of explanatory factors. Current study examined the fear of crime model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y examining crime vulnerability model, social integration model, disorder model, and trust in the police model. For this study, the South Korean and the U.S. data extracted from the World Values Survey(WVS) wave 6 was utilized. Excluding the missing cases, 848 Korean cases and 2,084 U.S. cases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otal model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crime and social disorder, trust in the police, level of education, and direct victimization experience. In the case of Korean and the U.S. separate model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fear of crime and social disorder, trust in the police, and level of education in common. Direct victimization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only in South Korean model, while gender and indirect victimization experience showed significances only in the U.S. model.

      • KCI등재

        부모의 신체적 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홍명기(Hong Myeong Gi),장현석(Jang Hyun Seok) 한국공안행정학회 201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로부터 받는 청소년의 신체적 학대 경험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일반긴장이론을 바탕으로, 청소년기의 신체적 학대경험이 긴장요인으로서 청소년의 지위비행과 폭력비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분석방법의 한계점인 선택 편의(Bias)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의 중 1패널 2차년도 자료이며,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소실된 패널을 제외한 2,280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경향점수매칭 전과 후 모두 신체적 학대와 지위비행의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보이지 않았다. 신체적 학대를 제외하고 지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공격성, 우울, 비행친구, 성별, 부모형태였다. 반면에 신체적 학대와 폭력비행의 관계는 매칭 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의 관계가 부(-)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신체적 학대를 제외하고 폭력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공격성과 비행친구 그리고 성별이었다. 폭력비행에 대한 매칭 이전과 이후의 분석을 비교하였을 때, 매칭 전에는 신체적 학대가 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매칭 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경향점수매칭의 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hysical abuse victimization by parents on juvenile delinquency. Based on the General Strain Theory(GST), physical abuse victimization can be a strain-causing factor and lead to the juvenile delinquency. In order to overcome the selection bias problem in the analysis methods, current study use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technique. For this study, wave 2(2011) data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as used. Excluding attrited panels, total 2,280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buse victimization and status delinquency. Aggressiveness, Depression, Delinquent peer, Sex, Parent type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status delinquenc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buse victimization and violent delinquency. Aggressiveness, Delinquent peer, and Sex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violent delinquency. When we compared the analysis result on the violent delinquency between pre-PSM and post-PSM analyses, the physical abuse victimiza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ce at the pre-PSM analysis. However, at the post-PSM analysis, the physical abuse victimization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violent delinquency.

      • KCI등재

        절차적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법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의 내국인과 북한이탈주민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성주 ( Hong Seong Ju ),홍명기 ( Hong Myeong Gi ),황의갑 ( Hwang Eui Gab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6

        국내 거주 북한이탈주민의 높은 범죄율은 우리 사회에 적지 않은 충격을 주고 있으며, 형사사법 분야에서도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당면의 과제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의 형사사법에 대한 인식에 대한 고찰이나 한국 시민들 간의 차이점을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절차적 공정성 이론의 논의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법 위반 합리화를 한국 시민들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그 분석결과 법 위반 합리화는 한국 시민이 북한이탈주민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당성과 공정성은 북한 이탈주민이 한국 시민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에서 두 모델 모두 공정성이 정당성을 매개하여 법 위반 합리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북한이탈주민 모델에서만 공정성이 법 위반합리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북한이탈주민 모델에서 한국에서의 법에 대한 인식과 북한에서의 법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높을수록 법 위반 합리화가 낮아짐으로써 이중 참조 이론의 가설이 지지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치안분야에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책 및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되었다. Not much is known about North Korean refugees living in South Korea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the criminal justice and the law, especial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South Koreans. Based on the procedural justice theory,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explore North Korean refugee’s legal socialization in comparison to South Korean citizens. Our data analysis found North Korean refugees show different levels of social legalization. Specifically, perceptions of fairness significant in explaining perceptions of legitimacy for both groups and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rationalization of law violations. However, perceptions of fairness were only significant among North Korean refugees’ rationalization of law violations. In addition, dual frame perspective is supported in the North Korean refugee only model. Sugges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안전사고 예측모형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군 교통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기재석,홍명기,Ki, Jae-Sug,Hong, Myeong-Gi 한국재난정보학회 202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7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군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예방을 위해 부대별로 교통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사전에 예측하는 모형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CRISP-DM(Cross Industry Standard Process for Data Mining)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CRISP-DM 프로세스는 6단계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계는 Waterfall Model처럼 일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단계 간 피드백을 통하여 단계별 완성도를 높이게 되어 있다. 연구결과: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기 구축된 사고조사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 세트(data set)를 구축하여 모델링한 결과 분류기준 0.5로 했을 때, 교통사고예측을 위한 모형의 정확도, 특이도, 민감도, AUC에서 의미있는 결과치를 도출하였다. 결론: 예측모형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해 의미 있는 예측값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합리적 추론이 가능한 데이터 세트(data set)를 재구성 및 확대하여 데이터 부족을 해소하고, 이를 활용한 예측모형을 설계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developing a model that predicts the probability of traffic accidents in advance to prevent the most frequent traffic accidents in the military. Method: For this purpose, CRISP-DM (Cross Industry Standard Process for Data Mining) was applied in this study. The CRISP-DM process consists of 6 stages, and each stage is not unidirectional like the Waterfall Model, but improves the level of completeness through feedback between stages. Results: As a result of modeling the same data set as the previously constructed accident investigation data for the entire group, when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was 0.5,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ccuracy, specificity, sensitivity, and AUC of the model for predicting traffic accidents. Conclusion: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prediction model,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difficult to obtain a meaningful prediction value due to the lack of data. The methodology for designing a predictive model using the data set was proposed by reorganizing and expanding a data set capable of rational inference to solve the data shor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