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라톤 『라케스』의 교육학적 해석 - 세 가지 아이러니를 중심으로

        홍기표 ( Hong Kee-pyo ),강선보 ( Kang Sun-b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7 교육철학연구 Vol.39 No.1

        It has been argued that `courage(andreia)` is the central subject of Plato`s 『Laches』. Given that the word of courage first appears in the middle of this dialogue (『Laches』, 190d), the early part of the dialogue until 190d is regarded as a preliminary introduction for the discussion of andreia.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of 『Laches』 has been deemed too long or excessive. However, this is based on the misrepresentation of the central subject of 『Laches』: it is `education`, not courage, that is the main subject of the dialogue. This dialogue begins with a scene that two fathers are seeking advice on how to educate their children to be excellent, and ends up agreeing to contemplate it further. Instead of discussing education directly, Plato delves into the subject indirectly by examining the themes of heavy weapons and courage that are familiar to the people of his time. He presents the subject in a series of sophisticated ironies―the irony of the characters, of material, and of drama structure; and this composition of the dialogue makes readers tacitly reach the core of the subject. This article analyzes three ironies in 『Laches』, with an intention of showing that the main subject of 『Laches』 is education.

      • KCI등재

        一般論文 : 유교의 “충서(忠恕)”를 통해 본 다문화교육의 원리

        신창호 ( Chang Ho Shin ),김영훈 ( Young Hoon Kim ),홍기표 ( Kee Pyo H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0 동양문화연구 Vol.6 No.-

        본고는 유교의 충서(忠恕)를 현대 다문화교육의 기초 원리로 구명한 것이다. 다문화사회는 서로 다른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공동체를 기초로 한다. 따라서 구성원들 사이에 발생하는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여 조화와 균형을 이룰 필요가 있다. 다문화교육은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교육의 변화를 추구한다. 특히,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개인은 하나 이상의 문화 집단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서로 다른 문화집단과 상호 연결됨을 알아야 한다. 서구의 다문화사회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상당 수준 높지만, 한국의 경우, 이제 겨우 개념을 정립하고 교육방법을 모색하는 수준이다. 이런 시점에서 유교의 충서(忠恕) 정신은 다문화교육의 기초 원리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충(忠)은 자기 최선을 다하거나 자기충실을 이루는 작업이고, 서(恕)는 자기충실을 바탕으로 타자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일이다. 이러한 충서(忠恕)의 실천행위는 서로 다른 개인이 모인 공동체 안에서 배워야 하는 교육의 길을 구체적으로 일러준다. 충(忠)을 상정한다면, 자기완성을 향한자기학습의 길이고, 서(恕)를 존중하는 경우라면 다른 문화를 가진 타자에게 관심을 갖고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이다. 따라서 충서는 자신의 고유한 문화적 전통에 자부심을 갖고 자신에게 성실히 하는 동시에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다문화교육의 핵심이 될수 있다. 즉 충서의 정신은 다문화사회에서 나의 상황을 성찰하는 자기확인과 다른 사람의 환경과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는 교육의 원리로 작용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loyalty(忠, Chung) and reciprocity(恕, Seo) in Confucianism as the basic princip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modern society. Multi-cultural society is based on a community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So it is necessary for members of the community to respect and consider the cultural difference as problems for balance and harmony. Multi-cultural education seeks the change of education considering this situation. Especially, those should respect various cultures and see mutual-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al groups while involving more than one cultural group. Although multi-cultural society in western society is very interes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case of Korea it is a beginning level to seek a teaching method and to correct the concept. In this time, the spirit of loyalty and reciprocity in Confucianism would contribute to provide the basic principle of multi-cultural education. Loyalty is for achieving self-devotion and reciprocity is for caring and understanding other people upon self-devotion. This practicing of loyalty and reciprocity concretely shows the way of education which we should learn in the community. Loyalty is the way of self-learning for self-completion and reciprocity is a considering and caring mind for others who have other cultures. So loyalty and reciprocity could be those who are doing self-devotion with self-respect of unique cultural tradition, and co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is respecting and caring others who have other cultures at the same time. In final, the spirit of loyalty and reciprocity could reflect our circumstance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work as the principle of education enough considering situation and nature of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