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공수정체 삽입 후 안축장에 따른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공식의 굴절오차 분석

        홍경의(Kyung Euy Hong),김나현(Nahyun Kim),황형빈(Hyung Bin Hwang),정성근(Sung Kun Chung) 대한검안학회 2015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4 No.3

        Purpose: To analyze and compare, between preoperative refraction data estimated according to axial length of patient’s eye and actually achieved post operative refraction data in cataract surgery. Preoperative refraction data is calculated by selecting appropriate intraocular lens (IOL) estimation formula according to diverse axial lengths (AXL).

      • KCI등재

        진행성 원추각막 및 굴절수술 후 각막확장증 환자의 각막콜라겐 가속교차결합술 시행 후 임상결과

        홍경의(Kyung Euy Hong),황웅주(Woong Joo Whang),정소향(So Hyang Chung),주천기(Choun Ki Joo)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1

        목적: 진행하는 원발성 원추각막 및 굴절수술 후 각막확장증 환자에서 바이브 엑스 라피드 용액을 이용한 각막콜라겐 가속 교차결합술 후 효용성과 안전성을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15년 2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진행성의 원발성 원추각막 및 굴절수술 후 각막확장증을 진단 받은 30명 45안을 대상으로 바이브 엑스 라피드 용액을 이용한 각막콜라겐 가속 교차결합술 시행술 전, 술 후1개월, 3개월, 6개월에 시력검사 및 굴절검사, 각막곡률을 측정하였고, 각막두께, 각막내피세포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최대교정시력은 술 전 logMAR 0.51 ± 0.23에서 수술 6개월 후 logMAR 0.51 ± 0.26으로 변화가 없었고, 자동각막굴절측정기 CT-80 (Topcon, Tokyo, Japan) 최대 각막곡률, 전안부 촬영기(Oculus, Pentacam, Wetzler, Germany) 측정 최대 각막곡률과 각막지형도(OrbscanII, Bausch & Lomb, Salt Lake City, UT, USA) 측정 최대 각막곡률은 술 전 각각 49.11 ± 4.5D, 48.37 ± 3.31D, 48.98 ± 4.88D에서 술 후 6개월 각각 49.29 ± 4.34D, 46.99 ± 3.63D, 47.01 ± 3.62D로 전안부 촬영기와 각막지형도 측정값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자동각막굴절기로 측정한 구면값, 난시값, 구면렌즈대응치 술 전 값과 수술 6개월 후 값은 각각 -4.85 ± 3.86, -3.96 ± 2.52, -6.86 ± 4.25에서 -4.98 ± 3.68, -3.98 ± .253, -6.9 ± 4.15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유의한 의미를 갖지 않았다. 전안부 촬영기(Oculus, Pentacam, Wetzler, Germany) 측정 각막두께와 각막지형도(OrbscanII, Bausch & Lomb) 측정각막두께의 술 전 값과 수술 6개월 후 값은 각각 485 ± 26.27, 479.24 ± 27.89에서 471.64 ± 27.12, 472.52 ± 25.36으로 전안부 촬영기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각막내피 세포수는 각막공초 점현미경(Confocal microscopy, ConfoScan 4, Nidek, Inc., Freemont, CA,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술 전 2,857 ± 390.49/mm2에서 술 후 6개월째, 2,639.21 ± 249.92/mm2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 그 외 유의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각막콜라겐 가속 교차결합술은, 진행성 원추각막 및 굴절수술 후 각막확장증 진행을 억제하는 치료방법이며, 내피세포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기 관찰이 요구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714-1722〉 Purpose: To report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progressive keratoconic eyes in Korean patients treated with accelerated corneal cross-linking.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focused on progressive keratoconic eyes in Korean patients that underwent accelerated corneal cross-linking from February 2015 to October 2015. Keratoconus was diagnosed in 45 eyes in 30 patients. After accelerated corneal cross-linking with VibeX rapid solutio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maximum keratometry, mean keratometry, corneal thickness, corneal astigmatism, and endothelial cell count were measured at the preoperative visit and post operation 1 week, 1 month, 3 months, and 6 months. Results: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log MAR) was 0.51 ± 0.23 at pre operation and 0.51 ± 0.26 at post operation 6 months, showing no improvement. The maximum keratometry measured with Auto K, Pentacam, and Orbscan II at pre operation was 49.11 ± 4.5 D, 48.37 ± 3.31 D, and 48.98 ± 4.88 D and changed to 49.29 ± 4.34 D, 46.99 ± 3.63 D, and 47.01 ± 3.62 D postoperatively, respectively. Only Pentacam and Orbscan II measureme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p 〈 0.05). Corneal thickness (at the thinnest area) was measured with Pentacam and Orbscan II;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6 month data showed changes from 485 ± 26.27 and 479.24 ± 27.89 to 471.64 ± 27.12 and 472.52 ± 25.36, respectively. Only the Pentacam method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Endothelial cell count was measured with confocal microscopy an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2,857 ± 390.49/mm2 and post-operative 6 month 2,639.21 ± 249.92/mm2. Conclusions: This 6-month follow-up study of Korean keratoconus patients who underwent accelerated corneal cross-linking indicates that the method is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progression of keratoconus, according to maximum keratometry change. With regard to endothelial cell count change, further long-term evaluation is required. Other than endothelial cell count change, this procedure is expected to show long-term safety comparable to that of conventional corneal cross-linking.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714-172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