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Validation of Ultrasound-Guided Target Segment Identification in Thoracic Spine as Confirmed by Fluoroscopy

        허주영,이지원,김철환,이상민,최용수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Vol.9 No.4

        Background: The role of ultrasound in the thoracic spine has been underappreciated, partly because of the relative efficacy of the landmark-guided technique and the limitation of imaging through the narrow acoustic windows produced by the bony framework of thoracic sp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12th rib and the spinous process of C7 as a landmark for effective ultrasound-guided target segment identification in the thoracic spine. Methods: Ultrasonography of 44 thoracic spines was performed and the same procedure was carried out 1 week later again. The target segments (T3–4, T7–8, and T10–11) were identified using the 12th rib (group 1) or the spinous process of C7 (group 2) as a starting landmark. Ultrasound scanning was done proximally (group 1) or distally (group 2) toward the target transverse process and further medially and slightly superior to the target thoracic facet. Then, a metal marker was placed on the T3–4, T7–8, and T10–11 and the location of each marker was confirmed by fluoroscopy. Results: In the total 132 segments, sonographic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to be successful with fluoroscopy in 84.1% in group 1 and 56.8% in group 2. Group 1 had a greater success rate in ultrasound-guided target segment identification than group 2 (p = 0.001), especially in T10–11 (group 1, 93.2%; group 2, 43.2%; p = 0.001) and T7–8 (group 1, 86.4%; group 2, 56.8%; p = 0.002).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ultrasound-guided target segment identification was good (group 1, r = 0.76; group 2, r = 0.82), showing no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sides. Ultrasound-guided target segment identification was more effective in the non-obese subjects (p = 0.001), especially in group 1. Conclusions: Ultrasound-guided detection using the 12th rib as a starting landmark for scanning could be a promising technique for successful target segment identification in the thoracic spine.

      • KCI등재

        생물학적 성별에서 벗어나기

        허주영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5 No.-

        이 글은 여성 시인들의 시 텍스트 읽기에서 시적 주체는 시인의 생물학적 성별과 일치하며 시적 주체가 여성으로 호명되는 순간 작품의 해석 가능성은 “여성”의 서사와 은유 안에 제한되는 것에 문제를 제기한다. 1980년대 최승자의 초기시와 대상 텍스트 연구를 중심으로 시에 나타난 신체의 은유들이 어떻게 “여성”의 신체로 구성되고 작동했는지 나열하면서 생물학적 성별이 본질적인 특질로 작동하는 읽기 방식 너머 다양하고 폭넓은 해석 가능성을 모색한다. 1980년대 하나의 해방 운동으로서 페미니즘과 동시대의 여성 시인들의 작품을 나란히 놓는 편협한 방식의 읽기가 어떤 문제의식 없이 시문학 연구에서 자행되었다. 이것은 한국문학에서의 뿌리 깊은 리얼리즘 전통이 작품을 평가하는 과정 안에서 주요하게 작동하면서 하위주체로서의 현실의 재현과 정치적 실천을 여성시에 기대한 하나의 결과이다. 시는 다른 장르의 텍스트보다 주체의 성별뿐만 아니라 다른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해석 가능성에 놓여있음에도 불구하고 하위주체의 진정성 있는 목소리를 대변하는 하나의 장르로 호명되었다. 특히 여성 시인의 시는 생물학적 성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그들의 언어는 본질적인 여성의 언어로 여겨지며 히스테리, 자궁, 모성애, 아버지를 죽이는 딸로 해석되었다. 여성의 시가 여성으로만 해석 가능하다면 ‘여성’이라는 알 수 없는 또는 단 하나의 특징 안에 그를 가두어놓는 것이 될지도 모른다. 즉, 시적 주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성들, 비연속적인 사고와 비지속적인 욕망들은 생물학적 성별이라는 단 하나의 특성을 통해 동일하고 연속적이고 지속적인 시적 주체를 구성한다. 여성 시인의 모든 작업들에 따라붙는 그들의 생물학적 성별은 시를 읽고 역사를 기록하는 가장 핵심적인 조건으로 작동했다. 이러한 정치적 노력들은 그동안 주류 문학사가 배제해온 여성 시인들을 기록하고 가시화했지만 또 다른 동일성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기존의 구조를 반복했으며 다양한 읽기 가능성에 대한 요구에 응답하지 못했다. 여성의 언어와 신체에서 동일성을 색출하고 나열하는 것에서 더 이상 어떤 의미를 획득할 수 없다면 폭넓고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위해 새로운 읽기 방법들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In Korea’s modern literary tradition, the biological sex of female poets has been clearly indicated by the narrator. Not only is this two-gender dichotomy problematic, but it is limiting and even distorting in that poetic interpretation is possible only after the sex of the narrator is known. In the case of novels,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e character’s sex naturally within the context unless there is an intentional refusal to reveal the sex. On the other hand, in poetry, it is possible to discover the sex only when the narrator or the subject is deliberately revealed. That is, the sex of the poetic narrator in a female poet’s work is in general taken as female without any problem or satisfactory explanation despite lacking sufficient information to tell the sex within the context of the poem. Once the sex/gender of a hitherto unclear narrator, ‘I,’ is declared female, the poem begins to be interpreted properly and recorded within the genealogy of women’s literature. While the range of interpretative possibilities for male poets is wide, female poets are always considered as expressing women’s words and a woman’s body, while their resistance must be interpreted as arising from a patricidal urge. If any of the female poets transcends these boundaries, would her poems be given any value? Even though this involves the issue of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oet and her poems, the main reason the sex of female poets has figured more prominently than that of other authors in other genres may be the deep-seated habit of treating women in literature as essentially biologically defined beings. The powerful fantasy that women share similar bodies and possess a common set of experiences has created an imagined group by way of substantiation and identification. This essay raises the issue that the poems of female authors are imprisoned in the notion of a biological sex called “women” even though poetry need not reveal the sex of the narrator or subject within the text, while proposing a new way of reading women’s literature. More specifically, it will examine the way women’s biological sex has worked in modern poetry reading with a focus on the early poems of Choi, Seung-ja in the 1980s. In addition, it will critically review how feminism has interpreted female poetry and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is process. It will also seek new ways of reading modern poetry by examining how the metaphors of femininity have “edited” and “reduced” the female body. If women’s literature can function as the fulcrum of a revolution shaking up the established order of Korean literature, and if the poems of Choi (or, for that matter, any poem that cannot be classified within the straitjacket of “1980s women’s poetry”) can be accepted into the literary mainstream, then they must usher in a whole new way of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If the emergence of the issue of gender in the literary tradition is indeed due to the existence of women poets, we will be able to see future problems of literary history through the prism of women’s literature and seek a new ethical path that can recalibrate the role of literature.

      • KCI등재

        요추 신전근의 지방 변성 분류 점수와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의 관계

        허주영,박지훈,김민욱,이상민,임성안,최홍석,최용수 대한척추외과학회 2018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5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of the lumbar extensor muscle degeneration classification as an indicator of potential risk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s (OVCF).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atty degeneration of lumbar extensor muscles has attracted increased interest in the literature as a risk factor for OVCF. Materials and Methods: Ninety-one patients with OVCF (group 1) and 60 patients without OVCF (group 2) were investiga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used to measure and to analyze the muscle mass and fatty degeneration of the lumbar extensor muscle. The degree of fatty degeneration of the lumbar extensor muscle was classified into 4 stages: less than 10%, 10%-25%, 25%-50%, and more than 50%. Results: Fatty degeneration of the lumbar extensor muscle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T-score were 29.66%±12.28% and −3.56±1.13 in group 1 and 24.04%±13.29% and −2.27±1.46 in group 2,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s the fatty degeneration of the lumbar extensor muscle increased, the risk of OVCF increased (odds ratio [OR]=1.21; p=0.01). The risk of OVCF increased as the lumbar extensor muscle degeneration classification scores increased (OR=13.53; p=0.02). Furthermore, as the muscle mass of the multifidus decreased, lumbar lordosis and sacral inclination decreased (β=0.33; p=0.01 and β =0.25; p=0.04, respectively). However, no factor affected thoracic kyphosis. Conclusions: Fatty degeneration of the lumbar extensor muscle was correlated with OVCF. A lumbar extensor muscle degeneration classification higher than stage 3 should be considered a risk factor of OVCF.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요추 신전근의 지방 변성을 변성 분류 점수로 분류하고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 위험도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의 위험 요소로서 척추 주위 근육의 지방 변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위험 지표가 불분명하여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이 발생한 환자군(91예)과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의 기왕력이 없는 대조군(60예)을 비교 분석하였다. 요추부 자기공명영상에서 요추 신전근의 근육량과 지방 변성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요추 신전근의 지방 변성도를 10% 미만, 10~25%, 25~50%, 50% 이상의 4 단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요추 신전근의 지방 변성도 및 골밀도 T 점수는 골절군 평균29.66±12.28%, -3.56±1.13이었고, 비골절군 평균은 24.04±13.29%, -2.27±1.46 의 결과로 각각 차이를 보였으나(p<0.05), 양 군 간 연령, 성별 및 체질량 지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요추 신전근의 지방 변성도가증가할수록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였으며(p=0.01, OR=1.21), 요추 신전근의 지방 변성 분류 점수가 증가할수록 골다공증성척추 압박 골절 위험도의 증가를 보였다(p=0.02, OR=13.53). 척추의 시상정렬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 결과에서 요추 신전근 중 다열근의 근육량이 감소할수록 요추 전만 및 천추 경사가 감소하였다(p=0.01, β=0.33; p=0.04, β=0.25). 결론: 요추 신전근의 지방 변성도가 증가할 수록 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하였으며, 요추 신전근 지방 변성 분류 점수 3단계 이상은골다공증성 척추 압박 골절의 위험도 평가에 적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약칭 제목: 요추 신전근의 지방 변성 분류 점수

      • KCI등재

        이상 시에 나타나는 수행적 젠더 정체성

        허주영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8 한국문학연구 Vol.0 No.56

        This study analyzes gender possibility which appeared in Lee Sang's poems through gender theory. The gender that appears in Lee Sang's poetry does not appear simply as a fixed gender. In Lee Sang's poetry resistance and obedience to the call of law are repeated, creating and changing the possibility of a new identity. Recognizing that gender is the secondary constituent of institutional discourse, it can resist the consistency and continuity of gender, and find new gender possibilities in change. Through the gendered reading that has been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xed gender, this study expands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 the inherent problem consciousness and meaning. Gender is composed of culture and society. Cultural gender production has required masculinity for men and femininity for women.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biological sex assume the same continuity of human body, identity, and sexual desire. Therefore, gender is made socially and emerges within the dichotomy of women and men. The human does not fully follow normative power, and gender is defined through practice. The practice of gender does not follow absolute essence and absoluteness but manifests itself in the structures produced by power. Therefore, gender is a non-stationary, unstable, changeable phenomenon, and it is merely a performance method that is repeatedly acted upon. The subjects appearing in Lee Sang's poetry constitute identity by repeating obedience and resistance to the call of law. Complete submission to the ideological calling does not have complete resistance, and the subject who plays a dual role uncovers the possibility of subversion of gender. The subjects in Lee Sang’s poetry should be recognized as culturally discontented genders without recognizing them as one gender. The subject of abalone create the area of queer and produces various gender possibilities. 문학 연구에서 젠더는 그동안 대체로 고정적이고 연속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작품은 현재 문학 연구에서 가장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 시도 되고 있는 데에도 불구하고 시적 주체의 젠더에 이분법적 분류를 넘어 접근한 연구는 찾아 볼 수 없다. 시적 주체의 성별은 본질적 자질로 분류되는 여성적 또는 남성적 이미지에 따라 단 두 가지의 성, 여성 또는 남성으로 불려왔다. 생물학적 성을 따르는 젠더 구분법은 문학 분석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어 그동안 문학 연구에서 시적 주체의 젠더가 왜 여성 또는 남성으로 호명되는가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때로는 문제의식 없이 작가의 성별을 따르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모든 작품 분석에서 주체의 젠더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은 아니다. 상황에 따라 시적 주체의 젠더는 작품 해석에서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작품 해석에서 주체의 젠더가 문제적이라면 또는 문제적이어야 한다면, 그때 주체의 젠더는 반드시 어떠한 의미, 즉 전복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상 시의 주체에게 젠더는 문제적이다. 주체의 젠더는 이데올로기적 여성성을 가진 여성 또는 이데올로기적 남성성을 가진 남성의 명확한 모습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폭압적인 보편성의 논리에 저항하는 주체에게 젠더는 제도 담론의 산물이며, 그러므로 구성된 것이다. 이 글은 이상 시에 나타나는 해체된 섹스/젠더/섹슈얼리티의 연속성과 이분법적 젠더 구분을 중심으로 새로운 분석의 가능성을 연다. 이상의 시에는 젠더의 연속성을 깨뜨리는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주체는 자신의 젠더를 연쇄적인 망 밖에 위치시키며 섹스로 결정된 자신의 젠더 정체성에 물음을 던진다. 시적 주체가 던지는 물음은 표면적으로 또는 전략적으로 정치성을 내세우고 있지 않지만 사회로부터 구성된 법의 명령에 무조건적인 복종하지 않는 양상 그 자체로 전복력을 가진다. 이상의 시에서 나타나는 근대적 비판의 연장선상에서 시의 주체는 법의 부름에 저항과 복종을 반복하며 새로운 정체성의 가능성을 생성하고 변화한다. 이러한 전복의 주체들은 퀴어의 영역을 확보하고 다양한 젠더의 가능성을 생산한다.

      • KCI등재

        아르누보 양식의 특징을 모티브로 한 헤어 커트 디자인 연구

        허주영,어수연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5 미용예술경영연구 Vol.9 No.1

        This study aims to present artistic and various designs which takes smooth curves, asymmetrical structure and naturalistic and feminine elements shown in Art Nouveau form as motif. When it comes to study method, a total of three works of hair design has been designed produced by analyzing imag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form through considering previous research or data on internet and applying curve glyph of Art Nouveau.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Nouveau form is a new decorative art shown in crafts, paintings, architectural fields, etc. rang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a new art trend aiming the recovery of artistry and beauty which were destroy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Characteristics of such Art Nouveau form can be summarized into a fantastic tone of bright and soft pastel under the influence of Impressionism by the organic curve structure of nature and it is found that the design with this motif can be fully reinterpreted into creative contemporary sense. Second,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have been utilized as the motif of many creative activities in the modern hair designs and these are used in various design representations by giving vibrant and strong transition effects in hairstyle through the creation of design and selection of Art Nouveau form and color in the haircut which is the foundation of hairstyles. As the suggestion of future study, a study which can produce interesting feeling onto an actual model by splendid color contrast and asymmetrical structure of Art Nouveau form’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xpansion of style, will need to be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