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일제하 '사상 논쟁'에 나타난 '종교' 개념의 충돌 - 천도교와 좌익 언론 간의 논쟁을 중심으로 -

        허수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0 No.4

        The ‘ideological controversy’between the leftist press and the new school ofCheondo religion in the early 1930s, under Japanese rule, had its backgroundboth at home and abroad. On the one hand, there was the movement againstreligion abroad, in the Soviet Union and Japan, and, on the other hand, therewas the struggle for leadership of the social movement between the socialist andthe new school of Cheondo religion, at home. The controversy grew red-hotwhen the leftist press rebelled against ‘the demand for leadership over Korea(朝鮮 導權) from the Young Men’s Party of the Cheondo religion(天道敎靑年黨), and came to deal with comprehensive subjects, including the doctrine,history, and organization of the Cheondo religion. While the leftist press criticized the Cheondo religion from the point of ‘theanti-religious conception’ based on ‘scientific’factuality and class consciousness(partisanship)’, Kim Hyungjun, representative of the new school of Cheondoreligion, distinguished ‘the new religion’from ‘the pre-existing religion’, andjustified the Cheondo religion as‘ the new religion’from the point of‘ historicity’(the doctrine of religious evolution) and ‘actuality’(popular-based opposition tothe colonial power). Kim Hyungjun’s concept of ‘the new religion’stemmed from that of LeeDonhwa in the late 1910s. Considering the conception of ‘the new religion’in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we can label both of them‘romanticist concepts of religion’, though Kim Hyungjun’s concept wasproposed as a defense, and became narrower in conceptual denotation. The ‘ideological controversy’provided a place where the religious debateduring the colonial period came to address the issue of‘ religion-science’, freeingitself from the one-sidedness of the ‘religion-politics’formula. Prior to thiscontroversy, the Cheondo religion had extended its activity into the socialmovement, subordinating ‘science’to religion and advocating ‘the unity ofreligion and politics(敎政一致)’, while, subsequently, the leftist press, using‘science’as its slogan, attempted to exclude the Cheondo religion from thesocial movement. The knowledge-discourse over ‘religion’, however, could nothave a solid foothold in the colonial context, in which the foundation formodern knowledge was not enough. 1930년대 초 식민지 조선에서 좌익 언론과 천도교 신파 간에 전개된‘사상 논쟁’은,대외적으로 소련 및 일본의 반종교운동, 대내적으로는 사회운동의 주도권을 놓고 사회주의자와 천도교 신파가 갈등을 벌이던 상황을 배경으로 했다. 논쟁은 天道敎靑年黨측의‘朝鮮 導權요구’주장에 좌익 언론이 반발하면서 본격화되어, 천도교의 교리, 역사, 조직 등 포괄적인 주제가 다루어졌다. 좌익 언론 측은‘과학성ㆍ계급성(당파성)’에 입각한‘反종교 개념’의 견지에서 천도교를 비판했고, 천도교 신파 측을 대표한 김형준(金亨俊)은‘신종교’와‘기성종교’를 구별하고,‘역사성’(종교진화론)과‘현실성’(식민권력과의 대립, 민중적 기반)의 측면에서‘신종교’로서 천도교가 지닌 정당성을 옹호했다. 김형준의‘신종교’개념은 1910년대 후반 이돈화의‘신종교’개념에 젖줄을 대고 있었다.‘종교와 과학’의 관계를 중심으로‘신종교’의 내용을 고찰하면, 김형준의 그것이 다소 방어적 차원에서 제기되었고 개념적 외연이 좁아지긴 했지만, 양자의‘신종교’개념은‘낭만주의적 종교 개념’으로 부를 만하다. ‘사상 논쟁’은 식민지기 종교 논의지형을‘종교-정치’구도 일변도에서 벗어나 ‘종교-과학’의 문제를 논의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사상 논쟁’이전에는 천도교가‘과학’을종교에 종속시키면서‘敎政一致’를 지향하며 행동반경을 사회운동 방면으로 확장해나간 반면, ‘사상 논쟁’에서는 좌익 언론이‘과학’의 이름으로 사회운동의 영역에서천도교를 배제하고자 했다. 그런데 근대 학문적 토대가 미비된 식민지 상황에서‘종교’를 둘러싼 지식ㆍ담론은 허약한 기반을 면하기 어려웠다.

      • KCI등재

        20세기 한국에서 사용된 ‘민중’의 의미 - 주요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

        허수 역사문제연구소 2023 역사문제연구 Vol.27 No.1

        In this article, the meaning of ‘minjung’ used in Korea in the 20th century was examined using topic modeling of text mining. The search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ext dimensions of articles in major daily newspapers, but expanded to consider the context of neighboring words. The study proceeded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minjung’ was analyzed in the overall trend of ‘collective subjects’ using topic modeling of text mining. The composition of topics was divided into periods and visualized as a network map, which showed that ‘minjung’ had a central posi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but became marginalized in the second half. In the second stage, topics were extracted only from the documents of ‘Minjung’ and their meanings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in the meaning of ‘the people’, 1984 became an important breakthrough, unlike the period division of ‘collective subject’. Secon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topic of ‘Chosun·Society’, the topic of ‘Institution·Politics’ in the middle period, and the topic of ‘Politics·Struggle’ in the latter period respectively prevailed. Third, along with this, expectations for the future, such as ‘art and hope’, continued for a long time through both periods. 이 글에서는 텍스트마이닝의 토픽모델링을 이용해서 20세기 한국에서 사용된 ‘민중’의 의미를 고찰했다. ‘의미’ 파악의 범위를 현실이 아닌 ‘텍스트’ 차원에 국한했지만, 텍스트의 범위는 인접 단어의 문맥까지 포괄했다. 연구는 두 단계로진행했다. 1단계에서는 ‘집단 주체’의 전체 동향 속에서 ‘민중’의 위상을 분석했다. 토픽구성을 근거로 5개 키워드 각각의 시기별 연관성을 연결망 지도로 시각화한 결과, ‘민중’의 위상은 20세기 전반에 중심 위치에 있었으나 후반에는 주변화되었음이 드러났다. 2단계에서는 ‘민중’의 문서만으로 토픽을 추출해서 그 의미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첫째, ‘민중’의 의미에서는 ‘집단 주체’의 시기구분과 달리 1984년이 중요한획기가 되었다. 둘째, 20세기 전기에는 ‘조선·사회’ 토픽이, 중기에는 ‘제도·정치’ 토픽이, 후기에는 ‘정치·투쟁’ 토픽이 각각 득세했다. 셋째, 이와 더불어 ‘예술·희망’ 등 미래에 대한 기대가 두 시기를 관통해서 장기지속하고 있었다.

      • KCI등재

        언어연결망 분석으로 본 20세기 초한국의 ‘문명’과 ‘문화’ — 주요 언론 기사에서의 논의 맥락을 중심으로 —

        허수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8 개념과 소통 Vol.0 No.22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ussions of Munmyeong and Munhwa in early 20th-century Korea. This paper addresses the topic by examining the discussion context of these two keywords and how this changed over the period, using a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stages. First, a corpus was constructed by extracting the context of the keywords from Hwangseong Sinmun and 11 periodicals published during the 1900s, together with Dong-A Ilbo and Gaebyeok from the 1920s. Using this corpus, eight co-occurring word network maps were calculated, each consisting of the 30 words. Second, a semantic spectrum was created by arranging the co-occurring words into 15 categories, to allow comparisons among the co-occurring word network maps. By calculating similarity between these semantic spectra, it was shown that both newspapers and magazines had a high degree of similarity of context for the keywords, with Munmyeong being most similar in the late 1900s and Munhwa in the early 1920s. Third, to facilitate further analysis, semantic network maps were created which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emantic spectrum components as links. These maps were calculated by applying the 15 categories to the co-occurring word network maps. A comparison of these semantic network maps reveals that the discussion context of Munmyeong in late 1900s newspapers was significantly replicated in the discussion context of Munhwa in the early 1920s. 20세기 초 한국에서 ‘문명’과 ‘문화’에 관한 논의가 서로 어떤 관계에 있었는가라는 주제는 아직 학문적으로 충분히 규명되지 못했다. 본 논문은 이 주제에 접근하는 단서로, 언어연결망 분석을 통해 두 키워드의 논의 맥락과 그 시기별 양상을 신문과 잡지의 경우로 구분해서 살펴보았다. 연구는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째, 1900년대 후반의 『황성신문』과 11종의 학회지, 1920년대 전반의 『동아일보』 사설과 『개벽』을 선택해서 각 언론 기사에서 키워드가 사용된 문맥을 코퍼스 자료로 가공했다. 이어서 30개의 공기어로 구성된 ‘공기어연결망 지도’를 키워드별·시기별·매체별로 산출했다. 둘째, 이 8개의 공기어연결망 지도를 서로 비교하기 위한 핵심적 조처로, 지도의‘점’(node)에 해당하는 공기어를 15개의 범주로 정돈해서 ‘의미스펙트럼’을 만들었다. 이 의미스펙트럼 ‘구성마디’의 종류와 그 ‘크기’를 근거로 의미스펙트럼 간유사도를 산출한 결과, 신문과 잡지 모두 1900년대 후반의 ‘문명’과 1920년대 전반의 ‘문화’ 사이에서 유사성이 가장 높았다. 셋째, 이러한 분석을 한 단계 진전시키기 위해, 의미스펙트럼 구성마디 간 관계를 ‘선’(link)으로 표현한 ‘의미연결망 지도’를 작성했다. 이 지도는 앞에서 설명한 15개 범주를 공기어연결망 지도에 적용해서 산출한 것이다. 이 의미연결망 지도를 서로 비교한 결과, 신문의 용례에서 1900년대 후반 ‘문명’의 논의 맥락이 1920년대 전반 ‘문화’의 논의 맥락으로 이어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연구를 통해 본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역사인식 — 내재적 발전론의 의미구조를 중심으로

        허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1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was examined through a quantitative and macro approach. Sixteen terms representing historical recognition were selected, and the frequency of these terms and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centered on these term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 remarkable difference in terms of the types of terminology used and the distribution of frequencies between the pre-modern and modern history descriptions. In addition, when we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we can see that in the third period, the network of ‘min-jog’ (nation), ‘dog-lib’ (independence), ‘un-dong’ (movement) and ‘jeon-gae’ (development) was connected with ‘sa-hoe’ (society) and ‘nong-min’ (peasant) in the context of modern social movements. The connected relationship thus formed was judged to form the core structure of historical recognition based on ‘internal development’.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in textbooks appeared in the third curriculum and was firmly established in the fifth curriculum. 이 글에서는 계량적이고 거시적 접근을 통하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역사인식을 살펴보았다. 역사인식을 나타내는 용어 16개를 선정하여 이 용어들의 빈도 양상과 이 용어가 중심이 된 연결망의 구조를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근대사 서술과 근현대사 서술 사이에는 사용되는 용어의 종류와 빈도의 분포 등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연결망 구조를 볼 때 제5차와 제6차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제3기에이르러 ‘민족’, ‘독립’, ‘운동’, ‘전개’를 핵심으로 하는 연결망이 근대사회 운동의 맥락에서 ‘사회’ 및 ‘농민’과 접속하였다. 이렇게 형성된연결 관계를 ‘내재적 발전’에 근거를 둔 역사인식의 핵심 구조로 판단했다. 결국, 교과서에서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은 제3차 교육과정에서 등장하여 제5차 교육과정에서 확고하게 정착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