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 직장 남성의 직업 및 퇴직에 대한 태도

        한정란(Han, Jungran),안경실(An, Kyung-Shil),오병철(Oh, Byoung-Chul) 한국노년학회 2010 한국노년학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직장 남성의 직업 및 퇴직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직업에 대한 태도와 퇴직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충남 및 경기지역 일반 기업 및 공무원으로 근무하는 중년 남성 근로자 372명을 대상으로 직업에 대한 태도 및 퇴직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응답자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는 모두 중립적인 범위 안에 있었다. 또 연령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와 직업지향성은 높고 직업스트레스는 낮았으며, 배우자가 있거나 자녀가 있는 응답자들일수록 직업만족도와 직업지향성이 높고 직업스트레스는 낮았다. 둘째, 응답자들의 전반적인 퇴직에 대한 태도는 다소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기업 근로자보다 공무원이, 그리고 소득이 적을수록 퇴직에 대하여 더 긍정적이었다. 셋째, 직업에 대한 전체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직업안정성이 높을수록 퇴직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이었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 직업유형과 직업안정성이 퇴직에 대한 태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퇴직관련 연구 및 노인복지정책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middle-aged male workers toward their job and retire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72 employed males (222 employees working in company and 150 civil servants) in Chung-nam and Gyeong-gi areas. The instrume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attitudes toward job and retiremen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neutral attitudes toward their job. However, the respondents more aged, with spouse and children had higher satisfaction, higher orientation, and lower stress in their job. Second, the attitudes of the respondents toward retirement seemed a little positive. The civil servants and respondents with less incom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retirement. Third, the respondents with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job and with higher job security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retirement. Fourth, the occupation type of respondents and job security were the most important impactor on their attitudes toward retirement. Finally,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f retirement and elderly welfare policy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연령집단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연구

        한정란(Jungran Han)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실정에 맞고 보다 넓은 연령층에 적용될 수 있는 연령집단에 대한 태도 척도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노인에 대한 태도 척도들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 10명, 초등학교 2학년생 8명, 대학원생과 박사급 전문가 11명, 박사급 전문가 3명, 대학원생 및 박사급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총 5단계에 걸쳐 태도척도의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반대되는 의미를 지닌 총 40개 형용사, 즉 20개 쌍의 의미분화척도를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에 근거해 응답하도록 했으며, 20개 문항 중 긍정적인 형용사와 부정적인 형용사의 위치는 10개씩 임의로 배치한 후, 결과 처리시 긍정적인 응답일수록 5에 가까운 값을 갖도록 환산하여 코딩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구성된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두 개의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첫 번째 조사에서는 대학생 535명을 대상으로 청년, 중년, 노년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척도의 신뢰도인 Cronbach's alpha는 청년에 대한 태도 .8162, 중년 에 대한 태도 .8214, 노년에 대한 태도 .7767로 나타났다. 두 번째 조사에서는 초등학생 173명, 중학생 82명, 고등학생 83명 등 총 338명의 학생과 그들의 부모 579명 등 모두 917명을 대상으로 청년, 중년, 노년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는 초등학생들의 노년에 대한 태도 .8773, 나머지 응답자들의 청년에 대한 태도 .7995, 중년에 대한 태도 .8347, 노년에 대한 태도 .8306 등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 개발 된 연령집단에 대한 태도 척도는 충분한 신뢰도를 갖춘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for attitudes toward the age groups appropriate to Korean society. Five subject groups were participated to develop the scale for attitudes: 10 of college students, 8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1 of the graduate students and doctoral experts, 3 of doctoral experts, and 10 of the graduate students and doctoral experts. As a result, the scale for attitudes toward the age groups with 20-item semantic differentials was developed. Questions on the scale were answered based on 5-point Likert scale. Two more surveys were gone through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First, we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 the youth, the middle-aged, and the old using a sample of 535 college students. The reliability(Cronbach's alpha) showed .8162, .8214, and .7767 respectively. Secondly, we investigated the attitudes toward the youth, the middle-aged, and the old using a sample of 173 elementary school students, 82 middle school students, 83 high school students, and 579 their parents. The reliability showed .7995, .8347, and .8306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scale developed in this research was quite reliable enough to be applied.

      • KCI등재

        노인 휴대폰활용교육 대학생 봉사자들의 자원봉사 참여동기, 성취, 만족도

        한정란(Han, Jungran)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봉사자들이 어떤 동기에서 봉사에 참여하며, 활동을 통하여 무엇을 얻는지, 그리고 이러한 참여동기 및 성취가 봉사활동 만족도와 어떤 관련을 갖는지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1년 3월 21일부터 2012년 2월 29일까지 총 11개월에 걸쳐 전국 58개 노인복지관에서 진행된 노인 휴대폰활용교육에 참여했던 대학생 봉사자 615명(남자 245명, 여자 367명)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참여동기, 성취,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로는 Clary & Snyder(1999)의 VFI(Volunteer Functions Inventory)를 활용하였는데, 참여동기 30문항, 성취 12문항, 만족도 5문항이었으며, 동기와 성취는 각각 경력, 가치, 이해, 강화, 방어, 사회성의 6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생 봉사자들에게서 봉사활동을 통해 심리적으로 성장하거나 자기계발을 추구하고자 하는 '강화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이해동기', '가치동기', '경력동기', '방어동기', '사회성 동기의 순이었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을 마친 후 대학생 봉사자들이 얻은 성취는 '사회성 성취'가 가장 높았고, '강화성취', '경력성취', '이해성취', '가치성취', '방어성취' 순이었다. 셋째, 참여동기와 성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성, 경력, 강화, 가치, 방어, 이해의 순으로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가치 영역은 유일하게 동기보다 성취가 더 낮게 나타났다. 넷째, 참여동기와 성취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고동기ㆍ고성취, 고동기ㆍ저성취, 저동기ㆍ고성취, 저동기ㆍ저성취의 4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봉사활동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고동기ㆍ고성취 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저동기ㆍ저성취 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참여동기보다 성취가 봉사만족도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생의 노인 대상 자원봉사정책 및 관련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tivations, benefits, and satisfactions of the college student volunteers. We carry out the pre-to-post survey with 615 college student volunteers (male 245, female 367)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mobil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funded by a Telecom. The instruments consist of VFI (Volunteer Functions Inventory) developed by Clary & Snyder (1999), including 30 items for motivations, 12 items for achievements, and 5 items for satisfactions of volunteering. The items for motivations and achievements are comprised of 6 subcategories: career, value, understanding, protective, enhancement, and soc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Enhancement motivation is the highest, followed by understanding, value, career, protective, and social motivation. ② Social benefit is the highest, followed enhancement, career, understanding, value, protective benefit. ③ The difference between motivation and benefit in social category is the largest, followed by career, enhancement, value, protective, and understanding category. While benefit is higher than motivation in all other categories, motivation is higher than benefit just in value category. ④ High motivation-high benefit, high motivation-low benefit, low motivation-high benefit, and low motivation-low benefit groups are dichotomized by the median of each motivation and benefit. In all six categories, high motivation-high benefit group shows the highest satisfaction, but low motivation-low benefit group shows the lowest. In short, benefit shows stronger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than motivation does. Finally, we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of college students' volunteering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후보

        세대 간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노인 휴대폰 활용교육의 성과

        한정란(Han, Jungran),김승원(Kim, Seung Won),서정분(Suh, Jung Bun) 한국노년교육학회 2019 노년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는 2007년부터 SK텔레콤의 지원으로 진행하고 있는 노인 휴대폰 활용교육 프로그램 ‘세대공감 행복한 모바일 세상’의 세대 간 정보격차 해소 및 세대통합 효과 및 의미를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 효과성 평가를 시작했던 2009년부터 2016년까지 노인 4,615명과 대학생 봉사자 3,011명 등 총 7,62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노인들의 휴대폰 사용법의 이해정도, 스마트폰 주요 기능의 활용정도, 생활 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등 노년기 삶의 질 지표, 그리고 노인과 대학생의 상대 세대에 대한 태도를 사전-사후로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참여 노인들의 휴대폰 사용 방법에 대한 이해가 교육 전에 비하여 교육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 스마트폰의 주요 기능들에 대한 활용정도 또한 교육 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참여 노인들의 삶의 질 즉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역시 교육 전에 비하여 교육 후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교육 전보다 교육 후 노인의 청년에 대한 태도는 물론이고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또한 유의미하게 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노인 휴대폰 활용교육이 세대 간 정보격차 해소뿐 아니라 노년기 삶의 질 향상과 세대통합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meaning of the elderly mobile phone education program Generation Sympathy, Happy Mobile World supported by SK Telecom. For this purpose, a total of 7,626 data were analyzed, including 4,615 older adults and 3,011 college volunteers from 2009 to 2016, when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was carried. The elderly s understanding of mobile phone usage,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smart phone s main function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self-efficacy, attitudes toward youth and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The elderly participants’ understanding how to use mobile phon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education than before. In addition, their degree of utilization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smart-phone has also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training than before. ② Quality of life including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f elderly participants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education than before. ③ Both of the elderly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of the youth and the college volunteers’attitudes toward the elderly changed significantly more positively.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elderly mobile phone education is effective in eliminating the digital divide between generations, improving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and integrating generations.

      • KCI등재

        청소년과 노년 세대간 태도 분석

        한정란(Han, Jungran),이금룡(Lee, Geum-Yong),원영희(Won, Young-Hee) 한국노년학회 2006 한국노년학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과 노인들의 세대차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두 세대가 가지는 상대 세대에 대한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세대통합 교육모형 개발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노인복지관, 교회 및 친목모임에 참여하는 60세 이상 279명과 서울에 소재한 3개 젓학교와 2개 고등학교에서 45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청소년과 노인 모두 주로 대젓매체를 통하여 다른 세대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고, 노인이 청소년에 비해 세대차이를 더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은 부모세대인 40대에게, 노인들은 20대에게 세대차이를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세대가 서로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태도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상호지향성 모델을 통해 살펴본 결과, 청소년과 노인 두 집단 모두 자기 스스로에 대한 평가보다 상대 세대의 평가가 더 부정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실제로 상대 세대가 보여준 평가결과보다도 더욱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상대 세대의 이미지에 대해 두 세대가 가지고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젓요도-실행도 분석(IPA)에 따르면, 청소년에 대해 노인과 청소년 모두 공통적으로 가지는 긍정적인 이미지는 주로 외형적이고 활동적인 특성인 반면에, 부정적인 이미지는 기질적인 특징이 주를 이루었으며, 노인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세대간의 무관심과 몰이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세대통합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비롯한 관련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generational gap between the youth and the elderly, to analyze their attitudes toward each other, and to propos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model. We surveyed 307 of the elderly over 55 of age and 459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Both of the youth and the elderly got an information of the other generation through the mass media and the elderly felt more intergenerational gap than the youth did. The youth felt the intergenerational gap most against their parent generation but the elderly did against 20s. ② On the co-orientation model, both generations thought the evaluation by the other generation more negative than that by themselves. And it was even more negative than the others' real evaluation. ③ On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both generations evaluated the youth positively in appearance and activity but negatively in disposition. However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showed the opposite result. Finally an implication for developing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was proposed.

      • KCI등재

        노인복지관 평생교육 참여 실태 분석 : 경기도 B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한정란(Han,Jungran),편성숙(Pyun, Sungsook),황선정(Hwang, Sunjung) 한국노년교육학회 2021 노년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의 노인 평생교육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노인 평생교육을 위한노인복지관의 역할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B노인종합복지관에서 한 개 이상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중인 노인 54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평생교육 수강의 주요 목적은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 “여가 활용을 위하여” 순이었으며, 남성은 “여가 활용을 위하여”를, 여성은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를 주요 수강목적으로 꼽았다. 둘째, 노인복지관에서 평생교육을 수강하게 된 계기 역시 “여가선용을 위해”와 “건강유지를 위해”가 가장 많았고, 남성은 “시간 여유가 있어서”, 여성은 “건강 유지를 위해”의 응답이 높았다. 셋째, 평생교육의 학습 성과로는 “건강해짐”과 “재수강의 욕구가 생김”이 가장 많았고, 남성은 여성보다 “지식과 기능증가”와 “별로 변화가 없음”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넷째, “복지관에서 배운 것을자원봉사나 사회공헌활동에 활용하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고학력에서는“인생에서 배운 것을 자원봉사에 활용하고 싶다”는 응답이 높은 반면, 저학력층에서는 “인생에서 배운 것을 활용하고 싶지 않다”는 응답이 높았다. 다섯째, 학습내용에대해서는 “스포츠 및 운동”, “노후의 삶에 대한 학습”, “과거 회상 및 정리”, “다른 노인들과의 교류” 등의 순으로 요구가 높았다. 여섯째, 학습방법에 대해서는“일인 강사의 강연”, “다수의 강사의 강의”, “독학이나 체험활동”, “혼자 책이나 잡지 읽기”, “영화나 동영상 시청 후 토론하기” 등의 순으로 요구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고령사회에서 노인복지관이 지역사회 노인 평생교육의 거점기관으로서 자리매김해 나가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lifelong education at senior welfare centers and to prospect the possibility of the role of senior welfare centers for elderly lifelo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548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one or mor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t the B Senior Welfare Center in Gyeonggi-do. The main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① The main purpose of lifelong education was “for a healthy life” and “for use of leisure”. Males chose “for use of leisure”, while females selected “for a healthy life”. ② The motives for taking the lifelong education at the senior welfare center were “for use of leisure” and “for maintaining health”. Men were more likely to respond “because they have more time to spare”, while women responded more “to stay healthy”. ③ As for the outcomes of lifelong education, “getting healthier” and “desire to retake a lecture” were the most common. ④ The most respondents said “they wanted to use what they learned at the senior welfare center for volunteering”. High-educated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wanted to use life experiences for volunteering, while the low-educated did not. ⑤ There were high needs to learn “sports and exercise”, “life in the old age”, “reminiscence”,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seniors”. ⑥ As for learning methods, needs were high in order of “lecture by one instructor”, “lectures by several instructors”, “field trip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reading books or magazines”, and “discussion after watching movies or videos”.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was proposed to establish the senior welfare center as a hub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n the super-aged society.

      • KCI등재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정란(Han, Jungran) 한국노년학회 2000 한국노년학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 elderly using a sample of 186(33 males, 153 females). The Instrument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18-item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eveloped by Sanders et al.(1986).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format, the respondents evaluated 70 years-old elderly separated by gen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①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 elderly were slightly negative. ②Their attitudes toward male elderly were more negative than female elderly. But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viewed both of male and female elderly more negatively than did respondents in Hawkins(1996) and Sanders et al.(1986). ③ Male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male and female elderly were significantly more negative than female respondents'. ④The differences in experiences with older persons was a significant factor. The respondents who have meaningful elderly and ever lived with grandparents viewed elderly significantly more positively than other respondents. Finally implic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in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186명(남자 33명, 여자 153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응답자의 성별 및 노인과의 경험에 따라 남녀 노인에 대한 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anders 등(1986)이 제작한 노인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중 2개의 형용사 쌍을 제외한 18개 형용사 쌍으로 구성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응답자들은 70세 남녀노인에 대하여 각각 18개 문항에 Likert 7점 척도로써 응답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다소 부정적이며, 특히 몇 가지 항목에 대하여는 더욱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여성노인보다 남성노인에 대하여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자 대학생들에 비하여 남자 대학생들이 노인에 대하여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과의 의미 있는 경험이나 의미 있는 노인의 존재는 노인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노인, 아동 및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노인에 관한 교육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노년학 분야에서 우리나라 노인과 사회의 환경에 관한 기초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노년학 30년을 통해 본 노년교육 관련 연구

        한정란(Han, Jungran) 한국노년학회 2008 한국노년학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30년 동안 <한국노년학>에 게재되었던 노년교육 관련 연구논문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왜 아직까지 노년교육학이 우리 사회에서 그리고 노년학 안에서 제 위치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지 그 원인을 분석해보고, 앞으로의 노년교육학이 독립적인 학문분야로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 어떤 변화가 요구되는지에 대하여 전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년학」 1권(1980년)부터 28권 3호(2008년 8월)까지에 게재된 논문 770편 중 노년교육 관련 논문 55편을 대상으로 게재시기, 연구비 지원기관, 저자들의 소속기관,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방법, 연구 주제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난 30년간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논문 770편 중 노년교육 관련 논문은 단 55편뿐이었다. 그 중 대학에 소속된 연구자가 단독으로, 연구비를 지원받지 않고,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두 가지 이상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여 노인을 위한 교육을 주제로 행한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향후 노년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노년교육 전문학자 양성을 위한 전공 및 교과목 설치, 노년교육에 대한 연구지원 확대, 다양한 연구방법과 다주제, 대상을 지향하는 연구노력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노력들 이전에 우리 사회 전반에서 노인들의 학습자로서의 역량 및 노년교육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1980-2008). For this purpose, the 55 articles on the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collected from the Journal. The published time, the number of authors, the author's positions, subjects, type of the researches, methods, the statistical techniques, topics of the educational gerontology, and so on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The articles regarding on the educational gerontology took 7.14% in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② The case of the quantitative researches for the elderly done by single author, performed without fun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with more than two statistical techniques were the most common. Based on this researches, the organization of the major field or some courses on the educational gerontology, more research funds for the educational gerontology, and the efforts on the various research methods of themes and objects are recommended for better researches on the educational gerontology. Finally, we must expand our interests for the elderly's empowerment as a learner and the educational gerontology.

      • KCI등재

        『한국노년학』의 교육 분야 연구동향

        한정란(Han Jungran),김영석(Kim Young Sek)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본 연구는 한국노년학의 30년(1980년-2008년)간의 노년교육 분야 논문을 분석한 한정란(2008) 이후 최근 10년간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노년교육 관련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노년교육학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미래에 노년교육학이 나아가야 할 바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년학’ 28권 3호(2008년 8월)부터 27권 4호(2017년 11월)까지 게재된 총 655편중에서 노년교육 관련 논문 70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 연구 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10년간 노년교육 관련 연구는 『한국노년학』에 전체 게재된 연구 중 10.7%에 불과하였으며, 연구대상은 (60세 이상)일반노인(52.9%)이, 연구유형은 실험연구(41.4%)가, 자료수집방법은 설문조사(42.9%)가, 자료분석방법은 처치-실험집단 간 차이검증(22.9%)이, 마지막으로 연구주제는 노인을 위한 교육(72.9%)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향후 노년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비형식 교육을 넘어서 삶의 경험과 무형식 학습을 통한 교육과 관련한 연구 진행, 노인 집단 내 다양성을 고려한 연구 진행, 비판적 시각을 통해 노년교육에 대한 새로운 견해 제공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review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2008-2017). The 70 articles on the field of educational gerontology were collected from the journal. Research subjects, types of research, data collection methods, data analysis methods, and topics of research were analyzed. For recent ten years, the proportion of articles about educational gerontology took only 10.7%. Normal older adults(52.9%) for research subjects, experimental research(41.4%) for types of research, using questionnaires(42.9%) for data collection methods,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22.9%) for data analysis methods, and education for older adults(72.9%) for topics of research were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Future research on educational gerontology needs to investigate informal educational experiences, consider diversity of older adults, and have more critical opinions on educational gerontology.

      • KCI등재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지행중(Ji, Haeng Jung),한정란(Han, Jungran),박성희(Park, Seong Hie)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n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as a method of education for older adults. The authors participated in the processes of all 10 sessions of the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as instructors or program assistants at a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2007. Data used for analysis were learners' narrations in class, written autobiographies by learners, and researchers' memo-notes. We analyzed their narrative flows using Haenninen(2000)'s theory of narrative flow and reconstructed their categories of activities as life histories. 'The innen narration' constructed by learners was a spiritual process in which they have imbued their life and living conditions with meaning. The learners reminisced their lives as 'unreflective narration' in the beginning of education. However, as the class went on, they gradually reminisced them as "reflective narration" and finally developed them as 'meta-reflective narration' through the intentional reflection. Likewise, we could interpret the transition of learners into meta-reflecter as the completion of ego-integration. As a conclusion, we found the effects of the autobiography writing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educational,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통하여 노인교육방법으로서 노인자서전 쓰기의 효과를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자들은 2007년 서울 소재 노인복지관에서 10회기의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전 과정에 강사와 보조진행자로 직접 참여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교육 중에 이루어진 학습자들의 '이야기'와 교육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완성한 자서전, 그리고 수업 중에 중요한 내용을 메모한 메모노트 등이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Haenninen(2000)이 제시한 '내러티브 진행 이론'에 의하여 이야기의 흐름을 분석하고, 노인들이 삶의 의미로 구성해가는 행위 범주들을 통하여 생애사적으로 재구성되었다. 노인들이 구성하는 '내적인 이야기'는 자신의 삶과 삶의 조건 속에서 자신만의 의미를 부여해 가는 정신적인 과정이었다.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초기에 참여자들은 삶에서의 사건을 객관적인 사실로서 '성찰되지 않은 이야기'로 회상하지만, 점차 교육이 진행되면서 삶의 사건들은 '성찰된 이야기'로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노년기 삶의 새로운 목표를 갖게 되는 '의도적인 반성'을 통하여 '초월적으로 성찰된 이야기'로 발전시켜 나갔다. 이와 같이 참여자들이 점차 초월적인 성찰자가 되어가는 과정은 자아통합을 완성시켜가는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따라서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의 다양한 효과를 교육적, 사회적, 심리적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