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언어와 자아와의 관계연구

        한수환 광신대학교 2007 光神論壇 Vol.16 No.-

        인간은 다른 피조물과 달리 문장(Satz)을 가진 말을 하고 있고 또한 그 말을 만들 수 있고 그것을 표현할 수 있다. 단순한 발성으로 표현하는 동물과 달리 인간만이 유일하게 자신의 내적인 의도와 영적인 요구들을 문장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그것을 언어로 가져올 수 있다 . 우리가 인간과 동물의 근본적인 차이를 생각해 본다면 인간은 언어를 가지고 있고 동물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이다. 물론 동물도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환경의 요구에 반응하며 자신의 본능적인 충동이나 생물학적인 요구를 소리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의 내면의 생명을 문장으로 가져올 수 없고 또한 그것을 특정의 언어로 표현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들은 근본적으로 "타자"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그들에게서 인격적이고 영적인 대화적 삶을 기대하기가 어려워 진다 . 그러나 인간은 타인과 언어로 대화 할 수 있고 그 가운데서 자신의 내적인 삶을 언어로 상대에게 고지할수 있다. 과연 어떤 근거로 인간은 그렇게 할 수 있는가? 그 근거가 만약 언어에 있다면 언어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이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을 에브너의 신학적 인간학의 도움으로 찾을 수 있겠다. 에브너의 인간학 혹은 언어철학은 언어와 인간의 자아와의 영적인 관계에 집중되어 있는데 본 소고에서는 그의 인격주의적-인간학적 입장의 도움으로 답을 찾고 그기에 대해 신학적으로 조명하려 한다.

      • F. Ebner에 있어서 말씀과 실재성의 문제(Ⅰ)

        한수환 광신대학교 출판부 2004 光神論壇 Vol.13 No.-

        이런 점에서 지금의 교회들은 생명 혹은 실재성과 얼마나 관계하고 있는지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 교회가 생명과 실재성을 접촉시키지 못할 때 하나의 친목과 인간적인 교제 단체로 전락하고 사람들은 거기에서 더 이상 생명의 의미를 발견하지 못해서 떠날 것이다. 현대 한국 교회의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는 소위 교회당의 대형화에 반해 교인들의 탈교회화가 그것이다. 여러 다양한 교회와 많은 설교들이 있지만 교회와 신앙의 세속화는 멈출 줄 모른다. 이런 상황은 인간의 말과 하나님의 말씀이 가지는 차이는 도대체 무엇이며 무엇으로 인해 인간의 말이 하나님의 말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근본적으로 질문을 하게 한다. 이 질문은 하나님의 말씀의 실재성은 어디에 있는가 하는 질문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이런 질문에 대해 F. Ebner의 실재성 이해는 좋은 처방이 될 수 있겠다. 그는 처음부터 “말씀”과 “실재성”과의 관계를 자신의 신학의 출발점으로 삼고 있으며 그에게는 “말씀”과 “실재성”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것들이었다. 본 소고에서는 그의 이런 신학적 이해를상고할것이다.

      • F. Ebner에 있어서 말씀과 실재성의 문제(Ⅱ)

        한수환 광신대학교 출판부 2005 光神論壇 Vol.14 No.-

        에브너는 “나라는 존재”가 오로지 “상대”의 실재성에서 의식되고 발견된다는 전제로 실재성의 문제를 해명한다. 실재성이란 생명의 문제이기 때문에 인간의 인식이론적인 관계에서는 파악될 수 없다. 파악된다 하더라도 그것은 실재성 상실의 표현인 이상 (Ideal)이다. “이상”은 관념주의의 종말과 한계를 드러내는 결과이며 그것은 인식을 “상대”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사유하는 나”에서 출발하여 필연적으로 맺게 되는 결과인 것을 지적한다. 관념주의의 “이상”을 에브너는 정신의 병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인간이 실재성을 주관-객관의 관계에서 파악하려는 한 실재성은 하나의 “사물” 개념으로 파악되고 거기에는 항상 “나”의 상실이 있을뿐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Blind Channel Equalization Using Conditional Fuzzy C-Means

        한수환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1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14 No.8

        In this paper, the use of conditional Fuzzy C-Means (CFCM) aimed at estimation of desired states of an unknown digital communication channel is investigated for blind channel equalization. In the proposed CFCM, a collection of clustered centers is treated as a set of pre-defined desired channel states, and used to extract channel output states. By considering the combinations of the extracted channel output states, all possible sets of desired channel states are constructed. The set of desired states characterized by the maximal value of the Bayesian fitness function is subsequently selected for the next fuzzy clustering epoch. This modification of CFCM makes it possible to search for the optimal desired channel states of an unknown channel. Finally, given the desired channel states, the Bayesian equalizer is implemented to reconstruct transmitted symbols. In a series of simulations, binary signals are generated at random with Gaussian noise, and both linear and nonlinear channels are evaluated. The experimental studies demonstrate that the performance (being expressed in terms of accuracy and speed) of the proposed CFCM is superior to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method exploiting the “conventional” Fuzzy C-Means (FCM).

      • 어그스틴의 사랑의 개념에 대한 개혁주의적인 비판

        한수환 광신대학교 2008 光神論壇 Vol.17 No.-

        기독교가 사랑의 종교라는 사실에 이의를 가지는 자는 많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기독교와 사랑의 관계는 처음부터 서로 멜 수 없는 관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누가 “사랑”을 기독교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면 이 주장을 신학적으로 숙고해 볼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 왜냐하면 사용하는 사람마다 다양한 선이해를 가지고 그 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성경은 분명 사랑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 사랑이 어떤 내용을 가진 사랑인가를 신학적으로 충분히 검토할 필요는 있다. 사실 기독교를 사랑의 종교로 만든 이는 성경이나 복음서 기자들이기 보다는 어그스틴이라고 할 수 있는데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사랑의 이해에는 성경적인 아가페로서 사랑의 개념이기 보다는 어그스틴의 철학에 기초한 사랑일 수 있기 때문이다 . 어그스틴은 신학의 대가가 분명하다. 제베르크(R. Seeberg)의 말대로 “어그스틴 없이는 가톨릭 교회와 중세의 문화를 생각할 수 없고 그가 없이는 종교개혁과 현대의 역사관 또한 생각할 수 조차 없다”는 말이 타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랑의 이해는 기독교의 아가페를 곡해시켰다는 주장도 있다 . 본 소고에서는 기독쿄의 사랑이 어그스틴에게와서 어떤 사랑으로 곡해되었는지를 살펴보면서 그것을 개혁주의 입장에 서 검토할 것이다.

      • KCI등재
      • 기독교적 개인성이란 무엇인가?

        한수환 광신대학교 2003 光神論壇 Vol.12 No.-

        “나”란 과연 어떤 존재인가? 본 소고에서는 이 문제를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 한다. 분명한 전제를 먼저 밝힌다면 기독교적인 “나”의 이해는 비기독교적인 사상에서 말하는 “나”의 이해와 차이가 있다는 것이고 이 차이를 밝히면서 기독교적인 “나”의 이해를 정립하고자한다. 이 연구가 펼요한 이유는 현대의 자아 이해가 상당히 문제가 있다는 사실 때문인데 그것은 현대인의 자아가 “상대”를 상실한 자아로 변질되어 그릇된 자아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상대”의 상실은 도덕적으로 “이웃”의 상실을 가져온다. 이웃의 상실은 공동체 생활을 붕괴시키는 가장 큰 위험이 분명하다. 현대에 일어나고 있는 상당한 사회 문제가 직접 간접으로 이 문제에 연루된 것을 인식한다면 올바른 자아,즉 참된 개인성의 문제를 연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중요하고 절실한 과제라 판단된다. 왜냐하면 현대의 그릇된 자아의 이해는 인간을 그릇된 주관주의에로 몰고 가기 때문이다.

      • 하나님의 형상과 이성적 존재 사이에서의 인간

        한수환 광신대학교 2002 光神論壇 Vol.11 No.-

        인간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은 끝임 없이 제기되어온 질문이지만 그러나 지금까지 이렇다고 할만한 확실한 대답 없이 지금까지 여전히 우리에게 남겨진 질문이다. 이 질문은 사실은 인간의 실제성이 무엇이냐를 묻는 질문이기도 하다. 인간의 실제성을 묻는 질문은 그러나 동시에 인간의 생의 의미를 묻는 질문이다. 이런 질문이 제기되는 이유는 인간이 이미 자신의 삶의 의미를 잃어버렸기 때문이고 그 잃어버린 이 실제성을 다시 찾기 위함에 있을 것이다. 생의 의미에 대해 질문을 던지면서 실제성을 찾기를 원하는 것이다. 이런 질문을 던지는 것 자체가 이미 인간은 특수한 존재인 것을 말해주고 있으며 또한 이런 질문을 던지는 인간 자신은 무엇인가 근본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존재인 것을 알게 한다. 특히 인간이 과연 영적인 존재인가를 자문해 본다면 이 질문은 더욱 더 심각한 우리 자신의 모습을 보게 한다. 모두다 인정하듯 인간은 몇 마디로 이렇다 저렇다 라고 규정할 만한 존재가 결코 아닌 것을 금방 알게 된다. 그도 그럴 것이 지금까지 수많은 석학들과 연구들이 있었고 계속해서 그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것이 바로 이 문제였고 나름대로 이런 저런 해답이 주어졌지만 그러나 그렇다고 모두가 일치할 만한 정답이나 해답이 주어진 것이 아니었다. 이런 시점에서 다시 질문되는 인간의 문제, 즉 인간이란 과연 무엇인가는 어떤 막연하고 추상적인 질문이라기 보다는 구체적인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그 문제란 인간이 과연 영적인 존재인가 하는 질문이 바로 그것이다. 인간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사실은 인간이 영적인 존재인가를 묻는 질문이다. 이런 질문을 던지는 이유는 그만큼 인간이 영적인 관계에서 벗어나 있는 현실에서 살고 있음을 말해 주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직면한 인간에 대한 문제는 인간이 이성적 존재라는 인간관이 강하게 지배하는 현실 속에서 제기되는 것이다. 정신사, 특히 서양 정신사를 한 마디로 일팔해 본다면 인간은 항상 이성적 존재와 관계한 정신사였다고 감히 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제작하는 인간 (homo faber) 이었고 기술과 산업화를 지난 수세기 동안 눈부시게 이룩해 온 그런 존재였음을 부정할 수 없다. 손으로 기술적인 수단을 창조했으며 편리합과 신속함을 주는 문명을 이룩했다. 그러나 그 문명과 기술이 과연 인간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했는가는 여전히 미지수로 남아있다. 현대 기술의 발달은 자동화를 이루었지만 오히려 인간에 의해 창조된 기술로 인해 인간이 제작된 인간(homo fabricatus) 이 되었던 것이다 제작하는 인간이 이제는 제작된 인간이 되어서 자신의 삶의 실제성을 상실하고 만것이다. 이것은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관에서 기인된 바 현대인은 이제 기술적인 제작인으로서의 인간이면서 동시에 기술적으로 제작되어진 인간이 되었다는 뜻이다. 인간의 실제성 상실의 결과는 인간 이해가 더 이상 영적 존재로서의 인간 이해에 의존하지 않게 되었고 영적인 존재로서의 문제는 더 이상 취급할 필요 없는 문제가 되었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인간의 실제성을 묻는 질문은 의미가 있고 여기에 대한 해답을 성경적 사상에서 다시 찾는 것은 더욱 더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인간에 대한 성경적 해답은 이성적 존재인 인간에게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사상에서 출발한다. 성경적 사상은 인간이 이성적으로 사유하면서 자존하는 존재가 아니라 오로지 하나님과 관계할 수 있는 영적인 존재라는 것을 지적한다. 프뉴마는 논리 이론적인 연구 대상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의 영적 폰재에 대한 연구가 그다지 활발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성경이 기록된 말씀인 것을 믿는다면 그리고 그 성경이 직간접으로 시사하는 대로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인 것을 믿는다면 인간의 실제성 문제는 바로 이런 사상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인간의 실제성의 문제는 오로지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인간 이해에 달려 있다고 할 때 가장 반박을 할 입장은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이해에 기반올 가지고 지금까지 체계적으로 발전해온 세속적 인간학일 것이다. 본 소고에서는 인간의 실제성과 관련하여 세속적인 인간 이해와 성경적 사상에서의 인간 이해를 논하면서 인간이 영적인 존재인 것을 전개시켜 갈 것이다. 거기에서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의 해답이 주어져 있음을 펼쳐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