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 전기 수군의 지역별 동원 실태와 운영 -내륙지역[山郡] 양인의 수군 동원을 중심으로-

        한성일 부산경남사학회 2019 역사와 경계 Vol.111 No.-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government faced an unprecedented problem of recruiting and maintaining a great number of sailors as it deployed maritime defence along the entire coast. For this reason, Joseon introduced a modified conscription which included not only males living on the coast but also inland inhabitants to make up for the lack of trained soldiers. They thereby bore heavy burdens: traveling to navy bases at a remote distance from their residence, being well trained, and becoming accustomed to sailing. This led the government to rethink recruitment and made several attempts to replace soldiers of inland origin with coastal residents. It turned out, however, that this scheme ended in failure because of the continuing shortage of personnel. The disdainful treatment of serving in the navy among people stimulated a strong resistance against a transposition measure between the army and navy. The existing military deployment based upon operational convenience also made it difficult to perform the military transposition between the coastal army and inland navy. However, the military service system disintegrated in the later fifteenth to sixteenth centuries. The government was eager for changes in the status quo, so it let seamen in Jejudo - Pojakin(鮑作人) - be provisionally subject to the military serve requirement, called coastal towns for cooperation in warfare, and hired mercenaries - Tobyeong(土兵) - to tackle the lack of personnel. 조선 전기 국가는 전 해안에 걸친 방어체제를 구축하면서 막대한 수의 수군을 유지해야 했다. 결국 조선 국가는 고려 말 부터 이어져 오던 연해 지역민을 수군을 충원하는 계획을 포기하고, 부족한 인원을 내륙지역[山郡] 양인으로 충원 할 수밖에 없었다. 내륙지역 수군은 많은 부담을 감수하며 멀리 떨어진 수군진에 부방했으며. 선상에도 익숙하지 않았기에 수군 운영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조선 전기 전반에 걸쳐 내륙 지역 수군을 연해지역 양인으로 교체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졌다. 이러한 시도는 연해 지역 양인을 모두 동원하더라도 수군의 정원을 채우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에 부딪쳤다. 또한 조선전기 수군역이 고역이며 천역으로 여겨졌기에, 육군과 수군을 교환하는 조치는 격렬한 저항을 초래했다. 수군을 거주지와 먼 곳에 배치하는 것은 수군의 통제와 운영상의 편의를 고려한 조치기도 했기에, 연해 육군과 내륙 수군의 교환은 더욱 어려웠다. 하지만 15세기 후반~16세기 양인-보인을 중심으로 한 군역제 운영이 점차 해체되었다. 또한 포작인의 임시적 동원·연해 군현의 수전 동원·고용병제도가 대두되면서 연해 인력을 수군 이외의 방법으로 대거 동원하는 단초가 열렸다.

      • KCI등재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사회언어학적 접근-지역브랜드 슬로건과 스토리를 중심으로-

        한성일 한말연구학회 2011 한말연구 Vol.- No.28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ociolinguistic approaches for local branding strategies in Korea as an effort to improve the image of nation brand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enhance the brand value of localities, and thus local self‐governing bodies are inventing slogans competitively. Nevertheless,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se slogans are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s and aims of the localities, and few relevant studies have been made so far. Thus, this study surveyed 16 metropolitan self‐governing bodies and 20 national parks throughout the country focusing on their use of local brand slogans and stories, and identified problems as follows. First, the slogans used in the surveyed areas did no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and aims of the localities properly. Second, despite the strong necessity of stories for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s by supplementing slogans, it was hard to find any local brand stories. These problems are believed to come from the unsystematic invention process of local brand slogans and the absence of Korean language scholars and linguists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For these problems, we suggest solutions as follows. First, we need to analyze consumers’ attitude toward local brand slogans and stories used currently by sociolinguistic methods and, through the analysis, to determine the adequacy of the local brand slogans and stories. Second, we need to develop actively local brand slogans and stories that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properly, and to build a system for involving linguists and Korean language scholars in the development proces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테러에 대한 두려움이 정부의 사생활 침해 우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 미국 시민들 간 비교 검증

        한성일,황의갑,Chuluunbat, Sharkhuu 한국테러학회 2016 한국테러학회보 Vol.9 No.4

        The public demand for the governments to administer strategies to protect citizens is intense under the increasing trend of terrorist acts. The negative side of governments’ surveillance and intelligence activities is linked to public concern for the intrusion of citizens’ privacy rights. The increased power of governments for the anti-terrorism activities may result in intrusion of citizen rights and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actors of the willingness of the public to support the government regarding anti-terrorism policies despite unavoidable side effects including intrusion of privacy rights. For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factors of public perceptions of the government’s intrusion on privacy rights to see whether fear of terrorism has effects on such perceptions. In additi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may help establish proper policies for anti-terrorism strategies as situations of the politics and the culture may yield profound insights for each other.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those research questions by using comparative survey data from citizens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Results showed that a higher fear of terrorism is associated with a higher worry of governments’ intrusion of privacy rights, but the public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and the democracy were associated with reduced worry of those intrusions.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전 세계적으로 테러의 증가로 인해 국가보안을 위한 정부의 적절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음에도, 감시와 관찰과 같은 테러 예방을 위한 정부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생활 침해라는 정부정책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국가안보를 위한 권한의 위임과 집중은 헌법상의 기본권 침해로 나아갈 우려 역시 존재하고 때문에 국민의 인권을 보호하고 효율적인 대테러활동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여 균형 있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국민들이 인식하는 국가에 의한 사생활 침해 우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그러한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대테러 정책을 선도하고 있는 미국과 한국의 시민들 간 사생활 침해 우려에 대한 비교 연구는 한국의 정책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테러에 대한 두려움이 국가에 의한 사생활 침해 우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생활 침해 우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들을 양국 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테러에 대한 두려움이 높을수록 정부의 사생활 침해 우려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정부에 대한 신뢰수준과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사생활 침해 우려는 낮다는 일반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시민들에게 유의미하지 않은 영향요인들이 미국시민들에게서 발견되기도 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대테러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