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성숙 복분자 과실의 항산화 효능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평가

        한샛별 ( Saet Byeol Han ),권순식 ( Soon Sik Kwon ),공봉주 ( Bong Ju Kong ),김경진 ( Kyeong Jin Kim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복분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평가하고 이들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모든 실험은 미성숙 복분자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법을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FSC<sub>50</sub>)은 에탄올 추출물(6.56 μg/mL)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6.14 μg/mL)이 대표적인 지용성 항산화제인 (+)-α-tocopherol (8.98 μg/mL)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 활성(OSC<sub>50</sub>)은 에탄올 추출물(0.83 μ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84 μg/mL), 아글리콘 분획(1.13 μg/mL) 세 분획 모두 대표적인 수용성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1.5 μg/mL)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ose bengal로 광증감된 <sup>1</sup>O<sub>2</sub>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 대하여, 세 분획 모두 농도 의존적(1 ~ 50 μg/mL)인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50 μg/mL 농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50% 에탄올 추출물의 τ<sub>50</sub>은 296.3 min으로 가장 높은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알부틴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미성숙 복분자 추출물은 라디칼을 포함한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서, 알부틴을 대체하는 미백 기능성 원료로서 응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unripened fruit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R. coreanus Miquel) on tyrosinase were investigated and the potential applicability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s was evaluated.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f unripened fruit extract of R. coreanus Miquel.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es (FSC<sub>50</sub>) of 50% ethanol extract (6.56 μg/mL) and ethyl acetate fraction (6.14 μg/mL) of unripened fruit extract of R. coreanus Miquel were higher than (+)-α-tocopherol (8.98 μg/mL), which is known as a typical hydrophobic antioxidan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SC<sub>50</sub>) of 50% ethanol extract (0.83 μg/mL), ethyl acetate fraction (0.84 μg/mL) and aglycone fraction (1.13 μg/mL) of R. coreanus Miquel on ROS generated in Fe<sup>3+</sup> -EDTA/H<sub>2</sub>O<sub>2</sub> system were higher than L-ascorbic acid (1.5 μg/mL), which is known as s typical hydrophilic antioxidant.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 of extract and fraction of unripened fruit extract of R. coreanus Miquel on the rose 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1 ~ 50 μg/mL). And 50% ethanol extract in 50 μg/mL showed the most protective effect among extracts (τ<sub>50</sub> = 296.3 min). The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of ethyl acetate and agylcone fractions were higher than arbut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nripened fruit extracts of R. coreanus Miquel can be applied to antioxidant scavenging ROS including radical as an alternative whitening agent to replace arbutin.

      • KCI등재후보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연구

        한샛별 ( Saet Byeol Han ),구현아 ( Hyun A Gu ),김수지 ( Su Ji Kim ),김혜진 ( Hye Jin Kim ),권순식 ( Soon Sik Kwon ),김해수 ( Hae Soo Kim ),전소하 ( So Ha Jeon ),황준필 ( Jun Pil Hwang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우즈베키스탄 감초(Glycyrrhiza glabra)를 이용하여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초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1, 1-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sub>50</sub>)은 각 3가지 원산지 중 한국 감초가 50% 에탄올 추출물(21.15 μ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29.15 μg/mL), 아글리콘 분획(3.26 μg/mL)에서 모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루미놀-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감초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sub>50</sub>)은 중국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1.00 μg/mL)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34μg/mL)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원산지별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아글리콘 분획 모두 농도범위(5 ~ 50 μg/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10 μg/mL)의 경우 한국 감초(τ<sub>50</sub> = 847.4 min)가 동일한 종인 중국 감초(τ<sub>50</sub> = 194.3 min)보다 약 4배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미백 소재로만 주로 사용되어오던 감초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화장품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아 감초 추출물이 자외선으로 유도된 <sup>1</sup>O<sub>2</sub>와 외 ROS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n this work,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Glycyrrhiza uralensis (G. uralensis) produced in Korea and in China and Glycyrrhiza glabra (G. glabra) produced in Uzbekistan was conducted. Among three origins, 50% ethanol extracts (21.15 μg/mL), ethyl acetate fraction (29.15 μg/mL) and aglycone fraction (3.26 μg/mL) of G. uralensis from Korea showed the higher free radical (1,1-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FSC<sub>50</sub>) than extracts from other origin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SC<sub>50</sub>) of extracts from three origins on ROS generated in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system were investigated using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50% ethanol extract (1.00 μg/mL) and ethyl acetate fraction (0.34 μg/mL) of G. uralensis from China showed the most prominent ROS scavenging activity. The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fractions of G. uralensis and G. glabra extracts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vestigated. 50% ethanol extract and aglycone fraction of G. uralensis and G. glabra extracts from three origins showe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5 ∼ 50 μg/mL). Aglycone fraction of G. uralensis from Korea (τ<sub>50</sub> = 847.4 min)especially showe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four times higher than that from China (τ<sub>50</sub> = 194.3 m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 uralensis and G. glabra extracts, which have been used as whitening agent, could be applicable to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as a natural antioxidant. Judging from the prominent cellular protecitve effects, it is concluded that G. uralensis and G. glabra extracts can protect the skin from <sup>1</sup>O<sub>2</sub> and various ROS induced by UV.

      • KCI등재후보

        생강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원두현 ( Doo Hyun Won ),한샛별 ( Saet Byeol Han ),황준필 ( Jun Pil Hwang ),김수지 ( Su Ji Kim ),박진오 ( Jino Park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생강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살펴봄으로써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모든 실험은 생강나무의 50 %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활성은 기존에 잘 알려져 있는 항산화제인 (+)-α-tocopherol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e<sup>3+</sup>-EDTA/ H<sub>2</sub>O<sub>2</sub>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세 분획의 소거활성(총항산화능)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Rose-bengal로 증감된 <sup>1</sup>O<sub>2</sub>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서, 50 %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세포보호 효과는 농도 의존적(1 ∼ 25 μg/mL)으로 증가하였다. 10 μg/mL 농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τ<sub>50</sub>은 361.0 min으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에서 에틸아세티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알부틴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생각나무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 여러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알부틴을 대체하는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inhibitory activities on tyrosinase of Lindera obtusiloba Blume (L. obtusiloba Blume) extracts were investigated. 50 %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and aglycone fractions of L. obtusiloba Blume were used in experiments.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ie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L. obtusiloba Blume was higher than (+)-α-tocopherol, known as a typical antioxidan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f extract and fractions of L. obtusiloba Blume on ROS generated in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system were similar to L-ascorbic acid, well known as a strong antioxidant.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50 %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of L. obtusiloba Blume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1 ~ 25 μg/mL). Ethyl acetate fraction in 10 μg/mL concentration showed the most protective effect among extracts (τ<sub>50</sub> = 361.0 min). The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of ethyl acetate and aglycone fractions were higher than arbutin, known as a whitening ag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obtusiloba Blume extracts can be used as antioxidant, and could be applicable to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 KCI등재

        마디풀 추출물의 경피 전달을 위한 탄성 리포좀의 물리적 특성 및In Vitro 피부 투과 연구

        공봉주(Bong Ju Kong),유은령(Eun Ryeong Yu),박수남(Soo Nam Park),한샛별(Saet Byeol Han),권순식(Soon Sik Kwom),정유민(Yoo Min Jeong) 한국고분자학회 2014 폴리머 Vol.38 No.6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플라보노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마디풀 추출물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인지질(PC)과 계면활성제(Tego® care 450)로 구성된 탄성 리포좀(ELPs)을 제조하였으며, 그것의 물리적 특성 및 invitro 피부 투과능을 평가하였다. 마디풀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는 148.1~262.2 nm, 가변형성 지수는 11.5~25.4, 포집 효율은 53.1~66.3%로 나타났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in vitro 피부 투과 실험결과, 인지질 대 계면활성제 비율이 85:15인 ELP-4가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은 일반 리포좀인 ELP-1보다 더 높은 피부 투과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형광 이미지 복원 현미경을 통해 가시적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최적 조건으로 선정된 ELP-4는 마디풀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유용한 피부 전달체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Polygomun aviculare L. (P. aviculare L.) extract loaded elastic liposomes (ELPs) were investigatedto enhance the transdermal delivery of P. aviculare L. extract composed of various flavonoids. ELPs were composedof egg phospholipids (PC) and edge activator (Tego® care 450) and the physical properties and in vitro permeationstudies of ELPs were performed. Particle size ranged from 148.1 to 262.2 nm and deformability index was recorded as11.5~25.4. Loading efficiency was from 53.1 to 66.3%. In vitro skin permeation studies using Franz diffusion cell demonstratedthat ELP-4 having ratio of 85:15 for PC to Tego® care 450 exhibited the higher skin permeability than ELP-1, the general liposome without Tego® care 450. It was visually seen by fluorescence image restoration microscopy. Thefindings suggest that ELP-4 selected as the optimal formulation could be used as useful formulation for transdermal deliveryof the extract.

      • KCI등재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원두현 ( Doo Hyun Won ),구현아 ( Hyun A Gu ),김혜진 ( Hye Jin Kim ),한샛별 ( Saet Byeol Han ),박진오 ( Jin Oh Park ),박수남 ( Soo Nam Par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3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1 No.3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were investigated for applications as cosmetic ingredient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fraction-bacterium, that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from disc diffusion assay on human skin pathogens, were tes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n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Propionibacterium acnes and 50% ethanol extract on S. aureus exhibited higher antibacterial activities than methyl paraben, well known as a preservative.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ies of 3 fractions of E. koreanum Nakai were lower than (+)-α-tocopherol, known as a typical antioxidant. From the results of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various ROS generated in Fe3+-EDTA/H2O2 systems (OSC50), 50% ethanol extract (OSC50 = 2.46 ± 0.06 μg/ml) and aglycone fraction (OSC50 = 1.45 ± 0.02 μg/ml) showed high activities similar to L-ascorbic acid (OSC50 = 1.50 ± 0.85 μg/ml), used as reference.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τ50) on photohemolysis by 1O2 generated by photosensitization reaction were tested.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 of 50% ethanol extract (τ50 = 37.0 ± 0.3 min) was similar to (+)-α-tocopherol (τ50 = 38.0 ± 1.8 min), used as reference. In particular, the τ50 of aglycone fraction results were 165.9 ± 7.2 min. This is a high cellular protective effect, more than 4 times that of (+)-α-tocophe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 koreanum Nakai extract, and its fractions, could be utilized as a cosmetic ingredient possessing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