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민경,Charissa R. Lans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9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 No.-
본 연구는 두 가지 실험 조건(독화만 제공한 조건과 독화를 기본 주파수(F0)로 보충한 조건)에서 80개의 CID 문장과 960개의 B-E 문장을 사용하여 한 명의 피험자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내는 독화 행위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실험에 사용된 문장의 단어인지에 대한 F0 향상 효과를 측정하고, 둘째, 문장의 길이와 F0 향상 효과와의 관계를 살펴보며, 셋째, 화자의 차이와 F0 향상 효과와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들 연구 목적에 대한 실험결과와 앞으로의 연구과제 등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여성경찰관의 직무수행 중 불인정 경험 및 구조적 차별 경험이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민경,김세령 한국경찰연구학회 2020 한국경찰연구 Vol.19 No.2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experiencing nonrecognition by fellow male police officers on their duties and experiencing structural discrimination o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mong female police officers. As a token group in a male-centered institution based on traditional police stereotypes and gender roles, female police officers have often experienced structural discrimination such as work assignment and promotion opportunities on a structural level, as well as individual discrimination of nonrecognition from male colleagues regarding job performance. While 69.4 percent of 484 female police officers included in the analysis answered they had experienced nonrecognition on duty, indicating that female police officers frequently experience neglect and discrimination in the organization, those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turned out to be major factors in lowering their organizational satisfac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confirms that nonrecognition by male teammates and structural discrimination have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satisfac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In conclusion, this study urges caution on police culture of ‘hegemonic masculinity’ that still quite many male police officers openly express distrust on female colleagues and regard the biological sex of women and professionalism as incompatible. 이 연구는 2014년 국가인권위원회의 「경찰․소방․교정직 여성공무원 성차별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이차자료를 활용하여 순찰, 범인검거, 주취자 보호 등 직무수행 중 동료 남성경찰관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개인적 차별 경험과 구조적 차별 경험이 여성경찰관의 조직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통적 경찰활동과 성역할에 기반한 남성중심 조직 내 소수그룹으로서 여성경찰관은 업무배치, 승진기회 등 구조적 차원에서 차별을 경험하는 동시에 직무수행과 관련하여서도 남성경찰관들로부터 동료로서의 신뢰를 받지 못하는 불인정 차별을 수시로 경험하고 있다. 분석에 포함된 여성경찰관(484명) 중 69.4%가 직무수행 중 무시당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는 등 여성경찰관들은 직무수행 중 동료로부터의 불인정과 같은 개인적 차별과 구조적 차별을 빈번하게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이러한 차별 경험은 여성경찰관의 조직만족을 낮추는 주요 영향요인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직무수행 중 불인정 경험이 있는 여성경찰관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직만족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게 예측되는 가운데, 구조적 차별 경험이 강해질수록 조직만족 예측값이 낮아지는 정도가 한층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로부터의 불인정 경험과 구조적 차별 경험이 조직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한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여전히 많은 남성경찰관이 여성경찰관을 신뢰하지 않는다는 것을 공공연하게 표현하고 여성이라는 생물학적인 성과 직업인으로서의 전문성이 병립할 수 없다고 여기는 ‘지배적 남성성’의 경찰 조직문화에 대한 변화를 촉구한다.
장애인 평생교육 종사자 및 보호자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및 개선에 대한 인식: 공주시를 중심으로
한민경,이미숙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4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주시 장애인들의 평생학습권을 보장하고 양질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공주시의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해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와 장애인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공주시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공주시에서 제공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장애인의 보호자와 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포함하여 총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주시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구성 시, 장애인 학습자 및 가족의 요구를 반영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종류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인 학습자 중심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장애인 학습자와 보호자의 의견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 제공 기관의 양적 확대와 함께 장애인 평생교육 기관을 총괄 관리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평생교육 운영 플랫폼 설치가 필요하다. 논의 및 결론: 장애인 평생교육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로드맵 수립이 필수적이다.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formulate effective strategies for implemen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ailored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Gongju City,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based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 Method: A comprehensive survey targeted 106 guardians and management practitioners who possess experience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Gongju City. Results: The study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addressed the diverse levels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needs within this population. Moreover, it advocate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operational system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requirements of both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guardians during the planning and execution phase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The study also recommends the incorporation of field experience-oriented programs to directly contribute to the independent living and enhanced social adaptability of learners with disabilities.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재해 안전교육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분석 : 대구 및 경북을 중심으로
한민경,김수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학논집 Vol.16 No.1
This study examine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regarding the safety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s for young children. Subjects were 522 teachers at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s from the 19 citie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Using related bibliographies and previous studies as reference materials, the researchers developed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ratio of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training program for safety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s was relatively high(70.9%), teachers perceived that the route and content of the training program were still limited and need to be improved. Second, concerning the important criteria of safety education content of natural disasters, the teachers perceived 'the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by their age', and 'the type of natural disaster which were generated most frequently' as the appropriate. Second, as for same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activities, the teachers perceived ‘multi-media materials’ and ‘connections between homes and local communities’ as the most appropriate. Third, with regard to teachers’ practice of safety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ers’ career and type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safety education of natural disasters for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연재해 안전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연재해 안전사고 예방과 관리 그리고 실제적이고 체계적인 유아교사 자연재해 안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 지역에 위치한 19개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52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기관의 자연재해 안전교육 실태에서 유아교사는 자연재해 안전교육의 내용 선정 시 ‘영유아의 연령별 발달 수준’. ‘발생빈도가 높은 재해유형(29.9%)’, 그리고 적합한 자연재해 안전교육 방법으로 ‘시청각 자료와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선택하였다. 유아교사의 경력 및 재직 교육기관유형에 따라 자연재해 안전교육의 실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자연재해 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유아교사들은 자연재해 안전교육은 ‘안전지식형성’차원에서 ‘자연재해 예방’의 교육이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며, ‘안전기술형성’차원에서 ‘자연재해 대비’의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한편, 유아교사의 자연재해 안전교육 연수경험 비율이 다소 높은 수치였으나(70.9%), 연수경로, 연수 횟수, 연수내용 등에서 한정된 학부과정에서의 교육 및 일회성 연수 등의 제한점, 자연재해에 중점을 둔 안전교육 연수의 부족 등은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도 분석
한민경,김성애,김진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1
본 연구는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유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신념 요인들을 규명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을 보다 타당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개발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의 구인은 통합의지(7문항), 통합효과(6문항), 통합인식(5문항), 통합전문성(5문항), 통합협력(5문항)으로 규명되었다. 총 361명의 유아통합학급 교사가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고, 문항타당도, 내용타당도 등의 추정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평가도구는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신념 평가도구 모델에 대한 적합도 평가결과, 적합도 지수값들은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도구의 전체 신뢰도 계수는(Crobach α) .87로 분석되었고, 하위요인들의 신뢰도가 .75-83으로 산출되어 평가도구의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nd validit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 scale o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do this, the 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were reviewed from the related literature a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erforming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also reviewed. The scale for assessing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inclusive education was composed of a total of five factors: willingness of inclusive education, beliefs on the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concepts of inclusive education, professional requirements for inclusive education, and collaboration i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 total of 28 questions and a total of 361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of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 of these factors was .836, .789, .757, .851, .806, respectively, and totaled .875.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fit indices (GFI, AFGI, RMR, RMSEA) yielded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explained that the subcategories for belief scales on implementing Inclusive education were well defined and valid.
범죄두려움 연구에 정석이 존재하는가? : 범죄두려움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민경 대한범죄학회 2019 한국범죄학 Vol.13 No.2
This study analyzed the fear of crime literature with a quantitative measurement or analysis published in Korea,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look back on how fear of crime has been studied in the countr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four parts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fear of crime have increased and expanded at a rapid pace in a short period. Second, despite the ecosystem expansion on fear of crime and criminology, the Korean literature on fear of crime have been still led by a handful of researchers and academic journals. Third, the use of the measures on fear about specific crimes has been found to be more and more prevalent in the literature. It is found, in addition, that a tactical use of multiple measures on fear of crime in an analysis model has been growing increasingly, suggesting that researchers have recognized and agreed on the claim that fear of crime vary depending upon the types of crime. Lastly, the fear of crime literature has been gradually “standardized” from research design to publication. The fear of crime literature as well as the fear of crime itself deserve an academic attention to fi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연구는 범죄두려움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구되어 왔는지를 돌아보는 우리만의 작업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범죄두려움에 대해 계량적인 측정 내지 분석이 이루어진 국내 선행연구 241건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다음과 같이 네 부분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범죄두려움관련 연구는 단기간 내 빠른 속도로 증가 및 확대되어 왔다. 둘째, 범죄두려움 및 범죄학이라는 학문적 생태계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내 범죄두려움 관련 연구는 소수의 연구자와 학술지가 주도하고 있다. 셋째, 범죄두려움 관련 연구가 많아지면서 구체적 두려움을 측정하는 문항의 사용이보편화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복수의 범죄두려움 유형을 분석모델에 포함하는 경향 또한나타나고 있다. 넷째, 범죄두려움 연구들은 분석 범위, 연구 설계, 연구 발표에 이르기까지 점차 ‘정형화’(standardization)되고 있다. 향후 범죄두려움 본연에 대한 탐구 못지않게 범죄두려움에 대해이루어진 연구성과를 축적하고 집약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학문적 관심이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한민경,이정학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9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 No.-
본 논문은 주파수전위 보청기(TranSonic FT- 40)의 원리를 소개하고 이 새로운 시스템을 착용한 2명의 청각장애아동의 사례를 보고하여 FT -40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FT -40은 언어인지에 중요한 특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 고주파수 영역을 저주파수로 비례 적으로 전위시킨다. 따라서 잔존청각이 저주파수대에 집중되어 있어 일반 보청기로 도움을 받지 못한 고도 또는 심도의 청각장애자는 이 시스템으로 언어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FT- 40을 착용한 후 소리탐지와 언어인지능력에 있어서 대조적 결과를 보이는 2명의 청각장애아동의 사례를 소개하여 FT-40 착용 대상자 선정 등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전자감독 담당직원의 업무부담 측정에 관한 연구: 사건수를 기준으로
한민경 아시아교정포럼 2019 교정담론 Vol.13 No.2
A review of literature indicates that electronic monitoring (hereafter EM) has a labor-intensive nature that increases the work burden of EM officers; there are few research, nonetheless, that have led to an attempt to measure the work burden caused by EM quantitatively. Based on the caseloads in relation to recidivism risk assessment of EM subjects and difficulties of supervision on them, this study aims to quantify the work burden of EM through a survey for 260 EM staffs across the country (95 dedicated for EM solely; 165 responsible for EM in parallel with general probation). EM cas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onerous due to high level of recidivism risk, tend to be assigned to the personnel responsible for EM solely within a probation office; meanwhile, EM staffs have heavy burden of feelings in case of subjects charged in EM with sexual impulse disorders. If the work burden for an adult subject on general probation is regarded as 1, in other words, that for an EM subject with sexual impulse disorders is evaluated as 15.8; 10.8 for a subject charged in EM as a retroactive probation; 9.1 after completion of the term of imprisonment; 9.7 and 9.4 as a provisional termination of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6.0 as a suspension of sentence execution, and 5.3 as a parole. When measuring work burden based on the EM caseload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slight differences depending on EM types, crime types, and recidivism risk levels; the work burden considering crime types is measured as the highest for the personnel dedicated for EM.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remarks to be considered for future research and evaluation on the work burden of EM staffs. 전자감독이 업무부담을 증가시키는 노동집약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은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어 왔지만, 전자감독에 따른 업무부담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고자 시도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의 전자감독 담당직원(260명; 전담직원 95명, 병행직원 16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전자감독 대상자의 재범성 및 지도감독의 난이도를 고려한 가운데 사건수를 기준으로 전자감독에 대한 업무부담을 수치화하였다. 같은 보호관찰소 내에서도 대상자의 높은 재범위험성으로 인해 업무부담이 크다고 생각되는 전자감독 사건은 전담직원에게 배정되는 경향이 확인되는 가운데, 전자감독이 개시되는 여러 사유 가운데 전담직원과 병행직원 공히 성충동 약물치료가 병과된 경우 가장 큰 업무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 보호관찰 대상자 1명에 대한 업무부담을 1로 할 때 부착사유를 기준으로 성충동 약물치료는 15.8, 소급형기종료는 10.8, 일반형기종료는 9.1, 가종료는 9.7, 가출소는 9.4, 집행유예는 6.0, 가석방은 5,3의 업무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사건수를 기준으로 하여 전자감독과 관련한 업무부담을 측정하는 경우에도 부착사유, 부착죄명, 분류등급 중 사건의 어떠한 특성에 포착하여 그 수를 세느냐에 따라 전자직원 담당직원들의 업무부담 측정결과는 미세한 차이를 보였으며, 부착죄명을 고려하였을 때 전담직원의 업무부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자감독 담당직원의 업무부담에 관한 후속 연구 및 평가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