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Ectopic expression of Bcl-2 or Bcl-xL suppresses p-fluorophenylalanine-induced apoptosis through blocking mitochondria-dependent caspase cascade in human Jurkat T cells

        한규현,오현지,전도연,김영호,Han, Kyu-Hyun,Oh, Hyun-Ji,Jun, Do-Youn,Kim, Young-Ho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3 생명과학회지 Vol.13 No.1

        Phenylalanine의 구조유사체인 p-fluotophenylalanine (FPA)은 인체 급성백혈병세포주인 Jurkat T 세포의 세포자살을 유도한다. FPA에 의한 세포자살에 미치는 Bcl-2 또는 Bcl-xL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Bcl-2 또는 Bcl-xL을 stable transfection하거나 empty vectors만을 Transfection한 Jurkat 세포를 이용하여 FPA의 세포독성과 FPA에 의한 세포내 세포자살 신호전달경로를 비교 분석하였다. Jurkt T 세포에 0.63∼3.0 mLf의 FPA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생육도는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자살관련 DNA fragmentation, caspase-8 activatoin, Bid cleavage, mitochondria로 부터의 cytochrome c 방출, caspase-9 및 -3 activation, PARP degradation 등이 유도되었다. 한편, FPA에 의해 유도되는 이러한 일련의 생화학적 현상들은 Bcl-2 또는 Bcl-xL의 overexpression에 의해 현저히 저해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caspase-8 activation, Bid cleavage, mitochondnal cytochrome c 방출에 의해 활성화되는 casuase cascade 등의 현상이, Bcl-2 또는 Bcl-xL에 의해 억제됨을 나타내며 FP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살에 필요한 과정임을 시사한다. $\rho$-Fluorophenylalanine (FPA), a phenylalanine analog, is able to induce apoptotic cell death of human acute leukemia Jurkat T cells. To better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FPA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the effect of ectopic expression of antiapoptotic proteins, Bcl-2 and Bcl-xL, on FPA-induced apoptosis was investigated by employing lurkat T cells transfected with Bcl-2 gene (JT/Bcl-2) or Bcl-xL gene (1/Bcl-xL) and Jurkat T cells transfected with vector (JT/Neo or J/Neo). When Jurkat T cells, JT/Neo or J/Neo, were exposed to FPA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63 to 5.0 mM, the cell viability determined by MTT assay declin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apoptotic DNA fragmentation along with several apoptotic events such as caspase-8 activation, Bid cleavage, mitochondrial cytochrome c release, caspase-9 activation, caspase-3 activation, and degradation of PARP was induced. However, the FPA-induced cytotoxic effect, activation of caspase-8, and cleavage of Bid were significantly abrogated by ectopic expression of Bcl-2 or Bcl-xL. At the same time, there was marked reduction in the level of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rhondria, caspase-9 activation, caspase-3 activation, and degradation of PAR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aspase-8 activation, Bid cleavage, and mitochondrial cytochrome c release with subsequent activation of the caspase cascade are negatively regulated by Bcl-2 or Bcl-xL, and are thus required for FPA-induced apoptosis in Jurkat T cells

      • KCI등재

        CLP, Dhn5 유전자의 도입에 의한 고비사막 자생식물 Artemisia adamsii의 내건성 및 내동성 증진

        한규현,황철호,Han, Kyu-Hyun,Hwang, Cheol-Ho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3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0 No.4

        고비사막 접경지역의 식물인 Artermisia adamsii의 내건성 및 내동성 증진을 위해 조직배양과 CLP및 Dhn5유전자의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호르몬 농도 조건에서의 성장을 확인한 결과, 0.05mg/L의 NAA와 0.5mg/L의 BAP조건과 0.1mg/L의 NAA와 0.5mg/L의 BAP가 포함된 배지의 암조건 하에서 최적의 캘러스 생장을 확인하였으며 유전자 도입 및 유전자의 발현이 확인된 캘러스가 세포 수준에서도 내건성 및 내동성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Atremisia속 다른 식물과 다르게 조직절편에서 직접 기관분화를 유도하거나 캘러스를 통한 식물체 재생에 어려움이 있어 식물체 수준에서 형질전환에 따른 환경스트레스 내성의 증진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진행될 A. adamsii의 식물체 재생에 대한 연구를 통해 내동성 및 내건성이 증진된 식물체를 육성하여 고비사막 지역적응력을 조사할 예정이다. Freezing and drought tolerances in plants are very important for survival in the desert. In an effort to reduce desertifcation in Gobi, a molecular breeding of Artemisia adamsii using the CLP (chitinase like protein, antifreeze protein) and Dhn5 (dehydrin5) genes from barley is performed by introducing them into Artemisia adamsii via Agrobacteria. We had found an optimal combinatorial concentration of hormones at 0.05mg/L of NAA and 0.5mg/L of BA for growth of callus in Artemisia adamsii. In addition, the higher rate of callus induction using hypocotyl as explant was observed comparing to explants of stem and leaf. There were some variations in the level of the proteins expressed among the transgenic lines such that the lines of CLP(CS1-5, 1-7,4-4) and Dhn5(DS2-2, 2-3) lines produce the protein to higher levels. The transgenic lines showing a higher level of Dhn5 exhibited better growth than nontransgenic callus in presence of 10 and 20% PEG. In case of the CLP tansgenic lines, both CS1-5 and CS1-7 showed a higher level of freezing tolerance determined by ion leakage test.

      • 백엽상 데이터 기반 외기온도예측방법에 대한 연구

        한규현(Kyu-Hyun Han),박준택(Jun-Teck Park),강형철(Hyoung-Chul Kang),김태호(Tae-Ho Kim),유성연(Seong-Yeon Yoo) 대한설비공학회 2016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6

        This study presents an method predicting outdoor air temperature of next day using measured data in field shelter. Predicting model using measured data be implemented by using double exponential smoothing model, weighting values of the model are optimized using genetic algorithms. As a result of implementing double exponential smoothing model from ten days measured data, weight values are represented in identical values(α=0.989, γ=0.584), modeling error been represented in less than 0.3%.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measured data and predicted data from implemented model be represented in 0.63 of correlation coefficient R². The main cause of prediction error be considered that double exponential smoothing model could not describe random walk from sudden change of outdoor temperature.

      • 집단 건물 면적을 이용한 시간별 냉방부하 파라미터 설정 및 예측에 관한 연구

        한규현(Kyu-Hyun Han),유성연(Seong-Yeon Yoo),이제묘(Je-Myo Lee),송양섭(Yang-Sup Song) 대한설비공학회 200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2

        In this paper, new methodology is proposed to estimate the cooling load using areas of building group and predicted weather data. Only three parameters such as maximum, minimum temperature and building area are necessary to obtain hourly distribution of cooling load for the next day. Th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that are used for input parameters can be obtained from forecasted weather data. The areas of building group are used for setting several parameters that are used for estimate cooling loads. Benchmarking building(research building) is selected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and the estimated cooling loads in hourly bases a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for benchmarking building. The estimated results show fairly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data for benchmarking building.

      • AI 를 활용한 분리수거 자동화 시스템 구축: TFLite 경량화 모델의 성능 및 적용

        한규현 ( Kyu-hyun Han ),전세환 ( Sae-hwan Jun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본 연구는 TFLite 기반의 경량화 AI 모델을 활용하여 쓰레기의 자동 분리수거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객체 인식 기술을 활용해 쓰레기를 정확하게 분류하며, 테스트 결과 평균 90.33%의 mAP 성능을 나타낸다. Label 수와 데이터셋의 한계가 존재하지만, 본 연구를 확장하고 개선함으로써 자동 분리수거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인공신경망과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블랭크 형상 최적화 기법 연구

        한규현(Kyu-hyun Han),김흥규(Heung-kyu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판재성형 공정에서 블랭크 형상 설계는 최종 성형공정 이후 절단되어 폐기되는 재료의 양과 직접 관련되므로, 공정 비용과 성형품 품질 측면에서 최종 제품 형상에 부합하는 최적의 블랭크 형상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판재성형 공정은 다양한 재료물성과 공정인자의 영향을 받는 비선형성 공정이므로, 블랭크 형상을 포함한 공정의 최적화는 일반적으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한요소해석과 인공신경망을 통한 판재성형의 블랭크 형상 최적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블랭크 형상의 최적화는 블랭크 최외곽 라인에 대응하는 절점의 Node offset기법을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차체 구조부품을 구성하는 기본 형상을 고려하여 사각컵 부품을 최적화 모델로 선정하였다. 사각컵을 표현하는 형상 설계변수를 기반으로 다양한 초기 블랭크 모델을 구현하고, 성형해석을 통해 목표 형상과 해석 후 형상에서의 오차를 수치적으로 정의하였다. 설계변수와 오차에 기반을 둔 데이터를 학습하고 인공신경망 모델을 도출하여 블랭크 형상 최적 설계에 활용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후출원 특허발명 실시의 선출원 특허권 침해 여부

        한규현(Han Kyu Hyun) 한국정보법학회 2011 정보법학 Vol.15 No.2

        Where two or more patent applications claiming identical inventions are filed on different dates, only the applicant of the patent application with the earlier filing date may obtain a patent for the invention. Where the patent has been granted in violation first-to-file provision, an interested party or an examiner may request a trial to invalidate the pat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 on whether it infringes the patent with an earlier application date to practice the patent with a later application date before the latter is decided invalid. This issue is controversial and there has still been no Supreme Court case on this issue.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not infringement of the earlier patent until the later patent is decided invalid, except that it is infringement if the later patent would be definitely expected to be decided invalid because there is clear invalidation grounds for the patent. 선출원 특허발명과 동일한 후출원 특허발명의 실시행위가 선출원 특허권을 침해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에 관하여는 침해긍정설과 부정설이 대립하고 있고, 현재 명시적인 대법원의 판결은 아직 없는 상태이다. 이는 실무상 후출원 특허발명의 권리행사의 항변(후출원 특허의 항변)을 허용할 것인지의 문제이기도 하다. 필자는 이원적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는 현행 법질서를 존중하고 대법원의 다양한 판례이론과 조화롭게 해석하는 차원에서 후출원 특허발명의 권리행사의 항변은 허용은 하되, 후출원 특허에 무효사유가 있음이 명백하여 특허무효심판에 의하여 특허가 무효로 될 것이 확실히 예견되는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 항변을 제한하여 특허침해의 여부를 판단하고, 나아가 민사 손해배상책임과 형사책임의 발생에 관하여는 그 특유의 요건을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여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