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FOS (perfluorooctane sulfonate) 노출에 따른 조간대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의 생태독성학적 판정점 제시

        한국환경생물학회 한국환경생물학회 201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2 No.4

        PFOS (perfluorooctane sulfonate) is one of the perflourinated organic compound, which persist as a residual compound in the coastal environments. Intertidal mud crab Macrophthalmus japonicus mainly inhabits in coastal and bay ecosystems in Indo-Pacific region including Korea and reflects to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present study, M. japonicus were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FOS and various ecotoxicological end-points such as survival rate, elimination of appendages, changes of the crust and internal organ color changes were investigated. Interestingly, the PFOS exposure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 of survival rate. High PFOS exposure (30 μg L-1) showed a low survival rate of 24% at 168 hours. Further,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s, the rate of elimination of appendages was also considerably increased in a time dependent manner upon PFOS exposure. Notably, with progression of time, an increased exposure to PFOS, test species showed whitening effec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ereas the crab crust color was unchanged in the control. In addition, change in internal organs color and their visibility (clarity) observed in PFOS exposed crabs compared to control. Taken together, we suggest, eco-toxicology end-points of M. japonicus exposed to PFOS gave important biological information which could be useful to identify toxic contamination in the marine benthic environments.

      • KCI등재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 (Tscherskia triton) (설치목; 비단털쥐과)의 분포 현황 및 서식지 특성

        한국환경생물학회 한국환경생물학회 2018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6 No.3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 (Tscherskia triton)의 분포와 서식지 유형을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4개 지점에서 9개체의 비단털쥐가 포획되었고, 4개 지점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의 서식지 유형은 대부분 자연형과 경작지 또는 휴경지형이었고, 일부 지역은 약간의 도심형이 공존하는 지역이었다. 자연형의 경우 대부분 숲과 관목림, 초지대로 이루어져 있었다. 고도별로는 저지대인 102 m에서 산간지대인 742 m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나 1,000 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주변에는 대부분 하천, 건천 또는 습지가 있는 곳으로 나타났다. 비단털쥐의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주로 자연식생 및 식재림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다소 온전하거나 온전하지 못한 층위구조를 가진 대부분 상층 식생이 분포하는 지역 또는 장경초지나 관목림의 분포가 비교적 넓은 지역이었다.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대부분 도로와 산림소로가 위치하고 있어 비단털쥐는 인위적인 간섭이 발생하는 지역에도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산 국립공원은 보존대상지역이라 개발에 의한 서식지 훼손은 거의 없으나 소형포유류의 선호도가 높은 초지대는 생태계 교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비단털쥐의 안정적인 개체군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산간지역의 보전과 저지대 초지대 보호를 통한 다양한 서식지의 유형이 유지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of Tscherskia triton from 2014 to 2016 in Jeju Island. Nine individuals of T. triton were observed and captured from four habitat sites. Most of the habitats were of the natural and rural type, and urban type coexisted in some of the areas. The natural type of habitat comprised of forests, shrubs, and grasslands. The habitat of T. triton ranged vertically from 102 m in lowland to 742 m in a mountainous area and was not observed in altitude over 1,000 m. Small brooks, dry streams or wetlands were found to be located nearby the habitat of T. triton. The T. triton was distributed mainly in areas with natural vegetation and artificial plantation in company with the upper story vegetation on the ground of intact or incomplete layer structure, or the area with the relatively large distribution of shrubs and long grassland. The presence of roads and forest paths in these habitats suggested that the T. triton can thrive in areas with human disturbance. The designation of Halla Mountain National Park in Jeju Island as a conservation area prevents damage or loss of the habitat due to any artificial development. However, frequent human disturbances occurring in grassland is tolerated by small mammals. Therefore, in order to help T. triton maintain a stable population density, it is essential that various types of the habitat should be conserved in the middle mountain areas and the grasslands in lowlands should be well protected.

      • KCI등재

        온도에 따른 난지형 마늘 ‘남도’의 생육과 수확기 구생체중 모델 개발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난지형 마늘 ‘남도’의 적정 생육 온도 구명과 일 평균온도를 이용한 구중 예측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온도처리는 주간 16시간 야간 8시간 처리로 11/7oC, 14/10oC, 17/12oC, 20/15oC, 23/18oC, 28/23oC 로 설정하였다. 구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20oC/15oC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고온이나 저온으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엽수와 총엽면적은 저온인 처리구가 고온처리구보다 생장이 느렸으나, 최종적으로는 최고온도인28/23oC을 제외하고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구의 생체중으로 6종의 함수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남도’ 마늘의 적정 생육온도와 한계온도, 온도에 따른 구생장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남도’ 마늘의 적정 생육온도는 18~20oC 이며 GDD 기본온도와 한계온도는 7.1oC와 31.7oC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일 평균온도를 이용한 수확기 기준 구 생체중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온도구배터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선형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79.0~95.0%, 2차 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77.2~92.3%, 로 지스틱분포 함수를 이용한 예측은 80.0~95.8% 예측도를 보였다. 이중 가장 예측력이 좋은 함수는 로지스틱분포 함수이며 생육적정온도와 한계온도도 잘 표현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ptimal temperature of garlic and develop bulb weight model in harvest time. Day and night temperature in chambers was set to 11/7oC, 14/10oC, 17/12oC, 20/15oC, 23/18oC, 28/ 23oC(16/8h). Bulb fresh and dry weight was heaviest on 20/15oC. In 11/7oC and 14/10oC, leaf number and total leaf area increased slowly. But in the harvest, leaf number and total leaf area were not significant, except 28/23oC. Models were developed with fresh bulb weigh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l, 18~20oC certified optimal mean temperature. And the growing degree day base temperature estimated 7.1oC, upper temperature threshold estimated 31.7oC. To verify the model, mean temperature on temperature gradient tunnel applied to the growth rate model. Lineal function model, quadric model, and logistic distribution model showed 79.0~95.0%, 77.2~92.3% and 85.0~95.8% accuracy, respectively. Logistic distribution model has the highest accuracy and good for explaining moderate temperature, growing degree day base temperature and upper temperature threshold.

      • KCI등재

        비천공 Breathable필름이 몇 가지 저장온도에서 ‘후지’ 사과의 MA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4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3 No.1

        ‘후지’ 사과의 MA 저장성 향상을 위해 저장 온도별로 적합한 비천공 breathable 필름 종류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율은 모든 저장 온도의 비천공 breathable 필름 처리구에서 저장 최종일까지 약 2.0% 이하를 나타냈다. 포장내 대기조성으로 볼 때 1oC에서 1,300cc 필름, 8oC에서 5,000cc 필름, 그리고 20oC에서 10,000cc 필름이 최적 MA 조건에 가장 근접하였다. 저장 중 포장내 에틸렌 농도는 모든 저장온도에서 산소 투과도가 가장 높았던 40,000cc 필름 처리구가 낮게 유지되었다. 저장 최종일의 1oC 1,300cc 필름이 당도, 비타민 C 함량, 그리고 외관 품질이 우수하였 고, 8oC 5,000cc 필름이 당도와 이취 정도가 양호하였으며, 그리고 20oC 10,000cc 필름이 경도와 외관상 품질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포장내 대기조성과 과실의 내외적 품질을 비교한 결과 ‘후지’ 사과의 MA 저장시 1oC는 1,300cc 필름, 8oC는 5,000cc 필름, 그리고 20oC에서는 10,000cc 필름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non-perforated breathable package film on storability at 1oC, 8oC, and 20oC storage of ‘Fuji’ apples. The fresh weight loss rate was less than 2.0% in all non-perforated breathable films at three different storage periods and temperatures, 1oC; 210 days, 8oC; 75 days, and 20oC; 30 days except for the perforated film. 1,300 cc (1oC), 5,000 cc (8oC), and 10,000 cc (20oC) films were closed at the optimum MA storage condition by carbon dioxide and oxygen concentration. Ethylene concentration was lowest at the 40,000 cc film in every temperatures during storage. The 1,300 cc film established higher result in soluble solid and vitamin C content than any other films at 1oC, also showed higher in visual quality by panel test. The 5,000 cc film had the best results on soluble solid and off-flavor in 8oC. In the 20oC storage after 30 days of treatment the 10,000 cc film had highest firmness and visual quality. Following these results, it come to conclusion the suitable type of non-perforated breathable film such as 1,300 cc at 1oC, 5,000 cc at 8oC, and 10,000 cc at 20oC for MA storage in ‘Fuji’ apples.

      • KCI등재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액 재사용율이 여름작형 파프리카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1

        본 실험은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액 재사용율이 여름 파프리카의 생육 및 착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는 비순환식 수경재배를 대조구로 하여 폐양액의 혼합비율을 0, 20, 30, 50%로 처리하여 2015년 3월부터 9월까지 25주간 실시되었다. 실험결과 경경은 생육 초기인 1, 2그룹시에는 시험구간 차이를 보였지만 3그룹이상 진전될수록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엽면적은 배액 혼합율이 많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 마디수는 50% 재사용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1.4마디 적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확 마디수는 대조구가 11.1마디, 50% 재사용 시험구가 8.7 마디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배액을 재사용 할수록 수확마디가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확율 역시 수확마디와 동일한 경향을 보이며 대조구가 33.2%로 가장 높았고 50% 재사용 시험구가 27.6%로 가장 낮았다. 상대적 생산량은 1그룹에서 대조구를 기준으로 30%, 35%, 45%의 생산량이 감소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2그룹과 4그룹에서도 나타났다. 하지만 3, 5그룹에서는 50% 시험구의 생산량이 13%, 5% 증가하였다. 비상품과의 비 율은 0%, 20%, 30%, 50% 재사용 시험구에서 각각 2%, 4%, 4%, 7%로 재사용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초기 생육의 저하로 인한 생산량 감소를 유의하여 관리한다면 중기생육 이후부터는 무기이온의 불균형이 발생하여도 작물생육이 안정기에 접어들어 재사용으로 인한 생육 및 수량 감소를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drainage reuse rate on the growth and fruiting of summer paprika in closed hydroponic cultivation.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25 weeks from March to September 2015 with 0, 20, 30, 50% mixing ratio of waste nutrient solution using non - recycling hydroponic cultivation as a control. As a result, stem diameter of the test was different in the groups 1 and 2, but no difference showed as the group progressed more than 3 groups. L.A.I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drainage mixing ratio. The number of nodes in the 50% reuse test group was 1.4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number of harvested nod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ntrol group (11.1 nodes) and the 50% reuse test group (8.7 nodes), and the harvested nodes tended to decrease as the drainage was reused. The ratio of harvest wa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harvesting node, and the control was the highest at 33.2% and the lowest at the 50% reuse test at 27.6%. Relative yields were reduced by 30%, 35% and 45% in the control group in the first group, and this tendency was also observed in the second and fourth groups. However, in the 3 and 5 groups, the production of 50% test group increased by 13% and 5%. The ratio of unmarketable fruit was increased 2%, 4%, 4%, and 7% in 0%, 20%, 30% and 50% reuse test, respectively. In conclusion, if the decrease in yield due to the decline in early growth is carefully managed, even if the imbalance of inorganic ions occurs after the mid-term growth, the growth of the crop will enter into a stable period and the re-use will not be worried about the growth and the yield decrease.

      • KCI등재

        Effect of Water Content in the Substrate of the Scion and Rootstock during Pre- and Post-Grafting Period on the Survival Rate and Quality of Tomato Plug Seedlings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4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3 No.3

        본 실험은 토마토 플러그묘의 접목활착율과 묘소질 향상을 위한 적정 상토 내 수분함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구는 접수와 대목의 상토내 수분함량을 각각 3처리구(고, 중 저)씩, 총 9개의 조합을 설계하여 각 처리구별로 접목활착율과 묘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접수의 상토내 수분 함량의 차이는 접목 활착율에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목의 수분함량은 접목활착율에 영향을 미쳐 수분함량이 낮아질수록 활착율도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 함량에 따른 묘소질도 접목활착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접수의 수분함량차이는 생육지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대목에서는 잎(엽수, 엽장, 엽폭)을 제외한 초장, SPAD함량, 경경은 수분함량의 차이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묘의 충실도는 상토내 수분 함량이 접수는 중간, 대목은 높은 조합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다. 근권부의 생육에서도 대목의 수분함량이 주로 영향을 미쳐, 수분함량이 저하될수록 전 뿌리 표면적, 전 근장, root tip수 모두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water content in the substrate during pre- and post-grafting period on the survival rate and quality of tomato plug seedlings. Nine combinations of three water levels (high, medium, and low) were set up in the substrate of both scion and rootstock. The water content in the substrate of the scion did not affect the survival rate of grafted tomato seedlings, while the survival rate was statically different among the various water contents in the substrate of the rootstock. The maximum survival rates (100%) were observed in seedlings treated with high water levels in the substrate of the rootstock, and the survival rates declined with decreasing water content in the rootstock substr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fferent water content in the scion substrate, while they were statically different among the seedlings treated with various water contents in the rootstock substr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decreased with decreasing water content in the rootstock substrate. The highest value of compactness was observed in grafted seedlings, which combined medium water level in the scion and high water level in the rootstock substrate treatment. The root morphology of tomato seedlings was also affected by water content in the rootstock substrate. The total root surface area, total root length, and number of root tips decreased with deceasing water content in the rootstock subst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