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 일본어학습에 관한 기초조사 ‒ 서울소재 S대학의 교양 일본어학습자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근대학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8

        본 논문에서는 교양 일본어를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어 학습배경 및 일본어학습에 관한 신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양 일본어 수강생의 과반수 이상은 이미 일본어를 배운 경험이 있는 학습자로 일본문화에 관심이 있어서 일본어를 배운다고 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 2) 현재 자신의 일본어 능력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수강생들이 [하]라고 답했으며 일본어학습 최종목표에 관해서는 여행을 갔을 때 불편하지 않을 정도로 혹은 일상회화가 가능해 질까지 일본어를 배우고 싶다는 학습자가 가장 많았다. 3) 교양 일본어 수강생들은 언어의 4기능 가운데 말하기-듣기-읽기-쓰기 순서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실제 [기초일본어1] 수업은 말하기, 듣기 중심의 회화 수업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하는 수강생이 가장 많았다. 4) 교양 일본어를 수강하는 많은 학생들은 일본어를 그다지 어려운 언어는 아니며 자신이 일본어 습득에 특별한 재능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일본어를 잘 하고 싶다는 생각이 있는 만큼 매일 꾸준히 공부한다면 2년 이내에 일본어능력이 향상될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5) 일본어를 일본에서 공부해야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학습자 비율은 높지 않았으며 나아가 일본어를 공부하는데 일본인교사 및 일본인 친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학습자의 비율 역시 높지 않았다. 6) 일본어학습에 있어서 어휘 습득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수강생이 많았으며 일본어 학습방법에 있어서는 많이 반복하고 많이 연습하는 것/음성파일을 듣고 연습하는 것 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attended a Japanese language class as a liberal arts course at a university in order to examine their background and perception of learning Japanes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ho attended a Japanese language clas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 of learning Japanese before,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started to learn Japanese as they were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was the highest. 2)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level of their Japanese language skills was low. To the question about their final goal of learning Japanese, the number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anted to learn Japanese until they can feel comfortable when traveling to Japan or have a daily conversation in Japanese was the highest. 3)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speaking among 4 language skills is most important, followed by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he number of students who hoped the “Basic Japanese 1” class was a conversation class focusing on speaking and listening was the highest. 4) Most of the students viewed that Japanese is not a language that is difficult to learn. They also thought that if they continued to study Japanese everyday even without any special talent for learning Japanese, they could improve their Japanese skills in 2 years as long as they wanted to be good at Japanese. 5) The share of students who thought that they should study Japanese in Japan was not high, and the share of those who thought that they need Japanese teachers or friends to study Japanese was also not high. 6) Many students viewed that vocabulary acquisition is important to learn the language, and that it is important to repeat and practice a lot, and listen to audio files and practice in learning Japanese.

      • KCI등재

        한일 양국 초등학생 학교폭력 실태 비교연구

        한국일본근대학회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7

        한일 양국의 초등학교에서의 학교폭력은 증가하고 있는데, 일본에서는 신체적인 폭력유형이 한국에서는 언어적·정서적인 폭력유형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에 관해서는 한국에서는 학생 간 성폭력이 일본에서는 교사에 의한 성폭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학교폭력은 양국의 초등학생들의 스마트폰의 소지율의 증가로 인해 사이버폭력과 연계해 점점 복합적인 폭력의 양상으로 번져가고 있어 초등학교에 적합한 학교폭력예방 교육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School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s in both Korea and Japan is increasing. In Japan, physical violence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in terms of verbal and emotional violence. Regarding sexual violence, sexual violence among students is increasing in Japan, and sexual violence by teachers is increasing in Japan. Such violence is increasingly associated with cyber violence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the occupancy rate of smartphon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oth countries, It is urgent that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is urg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