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태재인을 이용한 디자인 발상 교육 프로세스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창의적인 디자이너를 육성하여야 하는 디자인 교육은 조형 활동의 경험을 통해 표현능력을 기르고 창의력을 개발하게 하는 것으로, 단순히 수업을 받는다는 개념이 아니라 형태교육의 기초를 습득하여 기초능력을 배양하는 것에 의의를 두어야 한다. 이를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세스는 학생들이 좀 더 흡수하기 쉽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그 성과에 대한 차이는 분명히 발생하고 있다. 이는 교육 프로세스의 문제점 뿐 만 아니라 그 외의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생 개개인의 형태처리방식에 있을 것이라고 추론하여, 창의적인 발상기법에 대한 제시 뿐 만이 아니라 학생 개개인이 어떻게 형태를 인지하여 재인하는지에 대해 파악하여 새로운 발상 교육과 어떤 관계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학생 개개인별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형태를 전체적으로 재인하는 상향처리방식의 학생과 형태를 부분적으로 재인하는 학생은 하향처리방식의 학생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자인 발상 교육 워크샵을 진행한 결과 상향처리방식의 학생들이 좀 더 나은 과정과 성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자인의 발상 교육과 더불어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디자인 발상 교육 프로세스의 효과를 더욱 증대될 수 있는 것이라는 결과와 이와 관련된 교육 체계 또한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Design education, which requires the development of creative designers, enhances expression and develops creativity through experience of formative activities. It should be meaningful to develop basic skills by learning the basics of formal educ ation, not just the idea of taking classes. Design training processes are being developed to make students more absorbable and more efficient, but performance differences arise. This can be seen as a function of the problem and other factors in the training process. This study deduces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process are likely to be in the formulation of each studen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students with the upward treatment method who overall re-sign the form and students who partially re-sign the form were classified as top-down students. Also, as a result of the design thinking training workshop, students with the upward processing method performed better. This suggests that the result is th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a student's individual along with the design concept education can further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design concept training process and the associated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공공예술 교육을 통한 동두천 원도심 도시재생 방안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 교수법을 적용한 공공예술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최종 발표한 내용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것들의 의미를 밝혀내는 데 있다. 연구진행을 위해 <공공예술의 이해> 교과에 대해서 PBL을 적용하여 운영하고 학습자들이 최종 발표한 내용에서 키워드를 추출한 후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학습자들이 제시하는 동두천 도시재생을 위한 키워드들은 크게 콘텐츠, 도시환경, 홍보로 범주화되었다. 콘텐츠 범주에 속하는 주요 키워드는 축제, 공연 등의 이벤트 요소와 먹거리, 체험, 학습프로그램 등이었다. 도시환경 범주의 주요 키워드는 복고풍, 리디자인 등이었다. 그리고 홍보 범주에서는 SNS와 유투브 등이 주요 키워드로 추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동두천, 특히 보산동을 중심으로 하는 원도심에 대한 학습자들의 니즈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학습자들은 공공미술에 대해서 PBL 학습과정을 통해 자기주도적이며 상호작용적으로 학습하였고, 학습결과를 위해 문제해결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도시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도 자연스럽게 학습을 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방안 발표내용은 이처럼 학습몰입의 결과이고, 다양한 전공자들로 구성된 다수의 팀에서 협동학습을 통해 나온 아이디어 속에 담긴 키워드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니즈를 파악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동두천의 미래발전을 위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he keywords from the final presentations of learners in the public ar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problem-centered teaching method and at clarifying their significance. For this research, the PBL method was applied to the subject of <Understanding of Public Art>, and 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leaners’ final presentations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learners’ presentations on Dongducheon City Regeneration Project were classified into following categories: content; urban environment; and publicity. The main keywords in the ‘content’ category were event factors including festivals and performances, as well as food, experience, and learning programs. The main keywords in the urban environment category were retro and redesign. And social network and YouTube were extracted as key keywords in the publicity category. The study results are interpreted to be reflecting the learners’ interest in the old city center of Dongducheon, in particular, in Bosan-dong of the city. The learners learned them proactively and interactively in autonomous manner in the public art classes via PBL learning process. Furthermore, they were also able to learn naturally about va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city by problem-solving to ensure their learning performance. The learners’ presentations containing the problem-solving method are the result of their commitment to learning. Therefore it is believed to be meaningful to grasp their actual needs, because they are the keywords contained in the ideas produced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learning by many teams that were composed of members with various academic majors and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future development of Dongducheon city.

      • KCI등재

        스마트 토이 유형별 어포던스 분석 - 유아용 코딩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과학기술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선진국에서는 코딩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래형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우리고 있다. 미국의 경우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모든 이에게 컴퓨터 과학을(Computer Science for All)’이라는 슬로건을 중심으로 코딩 교육에 적극투자를 하고 있고, 핀란드와 영국은 4-5세의 유아들이 코딩을 배우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2) 하지만 IT강국인 우리나라의 경우는 최근에서야 코딩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난 2015년에서야 개정된 교과과정에 따라 코딩교육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에 유아를 대상으로 한 코딩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아이들에게 새로운 언어와 사고법으로 놀면서 코딩 개념을 가르치는 다양한 유아 교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 스마트기능이 탑재된 토이형태의 교구들이 학부모들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타 교구에 비해 스마트 토이는 고가의 교구인데다 흥미위주로만 만들어진 교구들이 많아 문제해결 능력과 사고력을 증대시키는 요소와 유아들의 어포던스가 잘 반영된 교구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코딩교육을 위한 스마트토이를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국내 인터넷에서 판매순위가 높은 스마트 토이를 대상으로 어포던스 요소별로 사례 분석하고 코딩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감각적 어포던스는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타 과목에 비해 자신이 직접 만든 장남감이라는 인식이 강해 생명력을 느끼며 흥미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물리적 어포던스는 낮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는 직접 조립하고 연결하는 방식에 대한 흥미는 상대적으로 타 장남감에 비해 흥미도가 떨어지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In the era that the scientific technology is changing quickly, advanced countries are making many effort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oding education and train future talents. In the US, president Barack Obama is actively investing in the coding education focusing on the slogan ‘computer science for all’, and in Finland and England, children at the age of 4~5 are preparing for their future as learning the coding. However, South Korea, the IT power, recent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ding education and made the coding education mandatory through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Hereupon, various children teaching tools are appearing which teach the coding concept with the new language and thinking method as the concern for the coding education targeting children is getting higher. Toy-type teaching tools equipped with the smart function among them are attracting big attention from parents. However, since most smart toys are expensive and only focused on the interest compared with other teaching tools, they lack the elements which cultivate the problem-solving skill and thinking skills. The study on the teaching tool well reflecting the children’s affordance is poor now. Therefore, this paper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focusing on the smart toy for coding education, analyzed cases depending on each affordance element targeting the smart toys of which sale ranking was high on the domestic internet, and suggest a direction in which the coding education should proceed. As a result, the sensuous affordance showed a high figure and it was judged that if children felt the vitality of the toy friend they made in person, they had interest compared with other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 physical affordance showed a low figure; it was analogized that the interest in a way of assembling and connecting in person was less than the interest in other toys. The coding education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 creativity and the problem-solving skill not the answer as changing from explaining to experiencing. And it is possible to approach deeply to the matter in which children will become interested continually beyond the one-shot learning focusing on the episode.

      • KCI등재

        꽃차소믈리에의 성격 유형에 따른 꽃차에 대한 색채 감성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꽃차는 색, 향, 맛 중에서 먼저 눈으로 마신다고 할 만큼 색의 아름다움은 다른 차와 차별성 및 정체성이 뚜렷이 구별되고 있어 이러한 꽃차 고유의 특성을 발전 및 산업화를 위한 꽃차 시장의 확대에 따라 개인별 맞춤형 기호성 차로 발전시키기 위한 본 연구는 꽃차소믈리에의 성격유형에 따른 꽃차에 대한 색채 감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응답한 152명의 꽃차소믈리에 성격유형을 보면 본능중심형인 장형이 109명(71.7%), 감정중심형인 가슴형이 19명(12.5%), 사고중심형인 머리형이 24명(15.8%)으로 약 5.7 : 1 : 1.3 정도이었다. 꽃차에 대한 색채 감성에서 빨간색 꽃차와 노란색 꽃차에서 “따뜻한”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초록색 꽃차, 파란색 꽃차, 보라색 꽃차에서 모두 “기분 좋은”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 때 꽃차는 일반 차와는 달리 먼저 눈으로 마신다고 할 만큼 색의 아름다운 매력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조사는 앞으로 전문적 꽃차소믈리에 양성 시 다른차와 차별성 및 정체성으로 뚜렷이 구별되므로 꽃차 색채 감성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beauty of color is distinctively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cars because of its distinctive color, incense and flavor, which is distinctive from the other c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lor sensitivity of the flowering sommelie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flowering sommeli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152 flower tea sommeliers that responded, 109 (71.7%) were the abdominal type, 19 (12.5%) were the breast type, and 24 (15.8%) were the head type. In the color sensibility of the flower tea, "warm" showed the highest score in the red flower car and yellow flower tea, and "pleasant" in the green flower, blue flower, and purple flower showed the highest score.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rossover is the result of the beautiful charm of the color,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rdinary tea.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lor of the flower which can be distinguished clearly by differentiating and identity in the future when cultivating a professional flower tea sommelier.

      • KCI등재

        전통문화상품의 문화적 중요성에 따른 재활성화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Many traditional designs and products can be seen to be out of step with modern society. While being marginalized from the contemporary market for this reason, they are highly regarded in terms of their historical and traditional values embedded in ways of life in the particular community over time and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cultural significance embodied in such designs and products and clarify its meaning and interpretation for people today who make and/or use them. This will help craft makers and designers better understand what to bear in mind while trying to revitalize them without losing its essential meaning and value. Employing an in-depth case study method, 11-day field research was undertaken to explore traditional designs and products in New Mexico, USA as a successful example of well-sustained and thriving art and craft culture acknowledged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 Based on key informant interviews and site visits,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mainly around three areas: traditional crafts, artisans and place.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findings, key success factors of traditional designs and products in Santa Fe are discussed, from which implications for important elements that consist of cultural significance attached to the products can be dra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