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일본인의 시간과 공간 인식의 변화

        한경구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4 社會科學硏究 Vol.17 No.-

        시간과 공간은 인식의 기본 범주로 중시되어 왔으며 문화에 따라 상이하라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일본은 근대화 과정에서 산업화와 도시화를 경험하면서 근대적 시계의 보급과 시간의 혁명을 겪었으며, 국민국가의 성립과 교통통신의 발전을 통하여 공간에 대한 인식 및 사용 방식 또한 크게 변화하여왔다. 이 글은 장기적 연구의 첫 단계로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관련되는 주요 논의들을 두루 살펴보는 수준에 머물렀으나 여러 중요한 쟁점들을 검토하려 노력하면서 특히 세계화 과정에서 일본인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이해하려 노력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변지역에서의 한국위성방송 수용의 특성

        한경구 在外韓人學會 2002 在外韓人硏究 Vol.12 No.1

        연변지역의 조선족들이 알고 있던 ‘한국’은 ‘과거의 한국’이기 때문에 인적 교류나 한국위성방송을 통해 유입되는 현대의 한국문화는 상당히 낯설면서도 매력적이다. 위성방송 시청은 연변지역의 조선족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문화의 수용 및 변동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고 흥미있는 주제이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글은 "한국 위성TV가 연변사회의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라는 공동연구의 일부로서 "연변 조선족의 한국방송 수용이 연변사회에 어떠한 사회문화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려 노력하였다. 공동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는 언론학부 교수들과 공동으로 수행되었다. 매우 민감한 주제이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2001년 6월 29일부터 7월 6일까지 연길시에서 한국방송 수용의 전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일부 시도하였으며 주로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부분적으로 집단면접 기법 및 참여관찰도 사용하였다. 연변지역에서의 한국방송 시청은 공식적으로 금지되고 있는 행위이기 때문에 심층면접조사의 수행 자체가 상당히 조심스럽게 진행될 수밖에 없었으며 면접 대상자의 선정도 접근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중국의 한인은 재외한인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비록 문화대혁명기간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다른 그 어느 지역의 재외한인보다도 우월한 정치적 지위를 누리고 있으며 또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자신이 살고 있는 호스트 국가에서 호스트 민족과 동등한 대우를 받고 있으며, 자녀출산 등의 면에 있어서는 어느 의미에서 오히려 더 나은 대우를 받고 있다. 한국방송은 연변 조선족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고유한 민족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데 매우 커다란 기여를 할 수 있다. 나아가 3세, 4세 등 조선족 젊은이들의 한국어 학습과 한국실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 사회진출에도 기여할 수 있으므로 재중한인을 위한 장기적인 방송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연변 등 중국에서 한국방송을 시청하기란 정체성의 정치(politics of identity) 등 여러 쟁점 및 문제들과 관련되어 있어 매우 복잡하다. 그러므로 영향력의 확산이나 시청의 증가는 매우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연변의 조선족, 나아가 중국의 한인들은 매우 다양한 성격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방송 및 한국의 여러 영상물들에 대한 태도와 수용방법도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면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첫째, 한국위성방송의 영향력과 관련하여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며 민족정체성 문제로 중국당국을 자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한국방송의 시청은 직접적인 것도 중요하지만 연변방송과의 협력을 강화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시청의욕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하고 유익한 프로그램의 공급면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예를 들어, <태조 왕건> 같은 남성용 드라마의 지속적 개발, 일기예보 등 실생활 정보의 제공, 조선족관련 콘텐츠 개발, 민족문화 관련 교양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한다. 넷째, 모든 프로그램에 가급적 한글 자막을 넣는다. 특히 외래어나 어려운 용어 등에 대한 해설을 자막으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젊은층의 한국어 능력 유지와 발전에 커다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섯째, 경제적 사정과 안테나 설치의 금지 때문에 인터넷으로 한국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젊은이들의 경우 소액의 프로그램 시청료라 하더라도 환율 및 연변 조선족의 경제상태를 고려할 때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유료화에 신중을 기할 것이 요망된다. Korean residents in Yanbian area are fascinated with contemporary Korean dramas and news programs brought to their home through satellite TV. These new images of Korea are quite new to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Korean-Chinese who had known the "Old" Korea only. The impact of the satellite TV on the social and cultural life of the Korean-Chinese is a very significant and interesting theme that has been seldom studied so far.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 of Korean satellite TV on the Korean-Chinese living in Yanbian area. This study was carried as part of a joint research with mass communication studies specialists. As the watching of Korean satellite TV is a very sensitive topic-it is generally prohibited in Yanbian, this study was based on in depth interviews with selected informants who could be contacted with the help of native students. In addition to thi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urvey method, although limited in time and scale, were employed. Korean-Chinese comprise about 40% of the overseas Koreans and enjoy a much more favorable political status compared to other Korean residents in other parts of tile world,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ey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However, Korean-Chinese are under increasing apprehension that their ethnic identity is rapidly eroding due to urban migration and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and satellite TV is expected to become a major tool for maintaining cultural ethnicity. In this situation, Koreans might be tempted to use satellite TV as a tool of cultural nationalism, but this runs the risk of infuriating the Chinese authorities. Therefore,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irst, it is very important to be exceedingly careful concerning the possible impact of Korean satellite TV Secondly, it is important to put more effort into cooperation with Yanbian Broadcasting Service. Thirdly, it is important to develop more and more good and interesting programs, which include history dramas, practical informations for everyday life, history of Korean-Chinese, and studies of national culture and history. Fourth, it is necessary to put subtitles in Korean. This would help young Korean-Chinese learn and remember Korean language. Fifth, recent tendency to charge a fee for watching contents on the Internet must be reconsidered, because even a modest fee is a heavy burden for Korean-Chinese young men and women who heavily rely on Inter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