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양한 입자크기의 PVC 미세플라스틱에서 Cr과 Pb의 흡착특성 비교

        하태정(Taejung Ha),박혜민(Hyemin Park),양민준(Minjune Yang)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미세플라스틱은 5 mm 미만 크기의 플라스틱 조각으로, 환경으로 배출된 후 시간이 지남에도 분해되지 않아 광범위하게 축적된다. 특히, 수계 내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물질이 미세플라스틱에 흡착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생물 내에 흡입, 섭취, 농축되어서 생태계에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양한 입자크기의 미세플라스틱에서 크로뮴(Cr)과 납(Pb)의 흡착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PVC (Polyvinyl Chloride)를 대상으로 세 가지 크기(2.5 mm – 1 mm, 1 – 0.3 mm, < 0.3 mm)의 미세플라스틱 0.5 g과 Cr, Pb 용액을 교반 시켜 흡착 실험을 수행 후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VC에 의한 Cr 흡착량은 Langmuir 등온흡착식(R² > 0.94)에 적합하였으며 Pb의 흡착량은 Freundlich 등온흡착식(R² > 0.99)에 더 부합하였다. 미세플라스틱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커져 PVC에 의한 Cr과 Pb의 흡착량은 증가하였다. PVC를 대상으로 Cr과 Pb의 최대 흡착량은 0.3 mm 이하의 크기에서 나타났으며, Cr (0.17 mg/g)보다 Pb (0.19 mg/g)의 흡착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Pb (0.31 mg/g)보다 Cr (0.39 mg/g)의 최대 흡착능(Qm)이 우수했으며, 흡착세기(KL)는 Cr (0.05)보다 Pb (0.31)에서 더 우세한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중금속의 이온반경과 전기음성도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Pb의 이온반경이 Cr보다 크고, Pb의 전기음성도가 Cr에 비해 비교적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시계열 분석법을 이용한 도시지역 토지피복형태에 따른 지하수위와 강수량의 상관관계 분석

        허준용 ( Junyong Heo ),김태용 ( Taeyong Kim ),박혜민 ( Hyemin Park ),하태정 ( Taejung Ha ),강형빈 ( Hyungbin Kang ),양민준 ( Minjune Yang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6

        최근 도시화로 인한 토지피복의 변화로 불투수층이 증가함에 따라, 강수의 자연적인 지하수 함양이 방해되어 도시홍수와 같은 재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토지피복의 변화에 따른 강수와 지하수위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소규모 도심지역인 부산광역시 연제구를 대상으로 교차상관분석(Cross-correlation function, CCF) 및 이동평균분석(Moving average method, MA)을 통해 강수와 지하수위간 지연시간을 산정하였다. 지연시간을 산정하기 위해 자기상관분석, 교차상관분석, 이동평균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피어슨 상관함수를 목적함수로 설정하여 강수량과 지하수위 간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가지는 시차 값을 지연시간으로 결정하였다. 관측공 반경 250 m 내 토지피복형태와 지형은 토지피복지도와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Arc-GIS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토지피복형태가 도심영향이 많은 불투수층으로 이루어진 GW01, GW03, GW05 (Urban: 71-96%)의 경우 지연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며(CCF: 42-71일, MA: 148-161일) 식생영향이 많은 투수층으로 이루어진 GW04 (Urban: 35%)는 짧은 지연시간(CCF: 4일, MA: 67일)을 보였다. 토지경사도에 따른 지연시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토지피복형태가 강수와 지하수위 간 지연시간에 영향을 강하게 미치는 요소이기 때문에 토지경사도에 따른 영향이 작용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 연제구의 토지 이용에 따른 지하수위와 강수량의 지연시간을 규명함으로써 도시 내 강수의 자연적인 지하수 함양을 위한 도시 녹지공간 조성과 수문학적 재난 예방을 위한 관리계획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nd-use/cover change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in South Korea is one of the concerns in flood risk management because groundwater recharge by precipitation hardly occurs due to an increase in impermeable surfaces in urban area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ydrologic effects of land-use/cover on groundwater recharge in the Yeonje-gu district of Busan, South Korea. A statistical time 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emporal variations of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to estimate lag-time based on correlation coefficients calculated from auto-correlation function (ACF), cross-correlation function (CCF), and moving average (MA) at five sites. Landform and land-use/cover within 250 m radius of the monitoring wells (GW01, GW02, GW03, GW04, and GW05) at five sites were identified by land cover and digital map using Arc-GIS software. Long lag-times (CCF: 42-71 days and MA: 148-161 days) were calculated at the sites covered by mainly impermeable surfaces (GW01, GW03, and GW05) while short lag-times (CCF: 4 days and MA: 67 days) were calculated at GW04 consisting of mainly permeable surfaces. The results suggest that lag-time would be one of the good indicator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nd-use/cover on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provide guidance on t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time series analysis to environmentally important issues on creating an urban green space for natural groundwater recharge from precipitation in the city and developing a management plan for hydrological disaster prevention.

      • KCI등재

        해양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탐사 적용 가능성 검토

        박수현 ( Suhyeon Park ),김창민 ( Changmin Kim ),정성우 ( Seongwoo Jeong ),장성간 ( Seonggan Jang ),김수빈 ( Subeen Kim ),하태정 ( Taejung Ha ),한경수 ( Kyung-soo Han ),양민준 ( Minjune Yang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5

        전 세계적으로 모든 해양 환경에서 발견되는 미세플라스틱이 환경 문제로 대두되면서 해양 미세플라스틱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최근 국외에서는 대규모의 실시간 관측이 가능한 원격탐사 기술을 해양 플라스틱 모니터링에 적용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해양 미세플라스틱 원격탐사 관련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며 중대형 해양 플라스틱 원격탐사 연구만 일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와 국외에서 수행된 해양 플라스틱 원격탐사와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사례를 통해 국내외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해양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 시 원격탐사 기술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여 앞으로 국내에서의 연구 방향성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Microplastics have arisen as a worldwide environmental concern, becoming ubiquitous in all marine compartments, and various researches on monitoring marine microplastic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worldwide. Recently, application of a remote detection technology that enables large-scale real-time observation to marine plastic monitoring has been conducted overseas. However, in South Korea, there is little information linking remote detection to marine microplastics and some field studies have demonstrated remote detection of medium- and large-sized marine plastics. This study introduces research cases with remote detection of marine plastics in South Korea and overseas, investigates potential feasibility of using the remote detection technology to marine microplastic monitoring, and suggests some future works to monitor marine microplastics with the remote det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