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일그러진 초상 -조선지배층의 강희제상(康熙帝像)-

        하정식 ( Ha Jung-shik ) 연세사학연구회( 구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 2017 學林 Vol.39 No.-

        조선 연행사신의 견문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康熙帝像은 실제에 가까운 영명하고 위대한 군주일까, 아니면 무능하고 부패한 昏君이나 夷狄의 왕일까? 정신적으로 저항하면서 조공에 참여한 사신은 강희제의 사람됨과 거둥, 정책이나 치적, 청조사회의 안정과 번영 등 현지에서 견문한 사실에 대하여, 실상을 왜곡하거나 비판적인 언어로 아주 짧게 기록하였다. 또 청조 멸망을 기원하는 사신의 의식과 바람[所望]도 투영하였다. 그렇게 강희제와 청조 사회에 대한 이미지는 만들어졌고, 일그러졌다. 어린 강희제는 황제 역할을 못하는 허수아비로, 청년 강희제는 방탕, 무절제하고 불안정한 군주로, 장년 강희제도 황음하고 유희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는 昏君으로 묘사하였다. 황제의 순행은 유람이라고 비판했다. 황제의 소박한 복장이나 검소한 생활, 간편한 거둥은 군주의 위엄과 君臣의 分을 모르는 오랑캐의 추장으로 해석하였다. 드물게 황제의 통치 능력과 치적을 인정하는 경우에도 부정적인 요소를 함께 끌어다 희석시켰다. 金昌業과 부베는 같은 시기, 같은 환경과 다른 환경에서 강희제를 소개하였다. 김창업은 강희제가 자질과 능력, 성실성으로 청의 번영을 일궈낸 위대한 군주이지만 夷狄의 왕이라고 묘사, 평가를 제한했다. 부베는 강희제가 타고난 자질, 열성적인 수양과 연마, 근검절약과 성실성 등 제왕의 덕을 두루 갖춘 영명하고 위대한 군주라고 다소 부풀려 표현했다. 둘 다 연행사가 왜곡한 이미지를 수정하기에 족하다. 연행사절은 어떤 환경에서 견문하고 기록하였을까? 실제와 거리가 먼 일그러진 皇帝像은 제도의 한계에서 오는 제한된 정보 때문일까, 아니면 특정한 의식의 소산일까? 연행사절의 정보 탐지에 일정한 제약은 있었지만, 황제상을 왜곡할 만큼 정보가 부실하거나 부족하지 않았다. 聞見을 결정짓는 요소는 주자학적 명분론에 바탕을 둔 崇明反淸論과 小中華의식이었다. `인조반정`은 원죄였고 견고한 굴레였다. 사신의 의식으로는, 청조중국은 결코 中華일 수 없고, 夷狄의 세계이어야 했다. 이런 反淸·自尊意識은 청국에 대한 탐구나 학습의 동기를 억제했다. 현지의 견문은 중화 멸망의 확인이거나, 황제와 청나라가 얼마나 非中華인가에 대한 탐색이었다. 中華를 구현해가는 청국이란 실제를 견문하고 나서, 기록에는 관념 속의 청국, 胡·夷狄의 나라 청국[當爲]으로 바꾸어 기록, 전파하였다. 강희제의 인품과 업적, 그리고 청조정권의 안정과 번영이라는 실제는 긴 시간 속에서 점차 뚜렷해졌다. 선명해진 실제 앞에서 `청국=이적의 나라`라는 당위는 점차 희미해져 갔다. 숙종은 崇明反淸의식의 유지, 강화를 위한 기억의 장치로 大報壇을 설립하였다. 그러나 청조 문물이 내뿜는 빛과 바람은 시간과 함께 쌓이면서 반청의식을 퇴색, 풍화시켜갔다. 뒷날 英祖는 대보단 의례를 확대, 강화하지만, 기억과 장치의 老朽化가 진행되면서 淸朝大國觀이 형성되어갔다. 개방과 팽창이라는 세계사적 조류를 조선은 작은 우물 안에 의지하여 막아내고자 하였다. The view of ruling class in Joseon on the Kangxi Emperor and the society of Qing dynasty based on experience of Emissaries was distorted untruthfully. It was distinctly contrasted with image of Kangxi Emperor observed by Kim Chnag-Eop and J. Bouvet. The distorted view on Kangxi Emperor did not be caused by the lack of information of Emissaries but the strong consciousness of anti-Qing dynasty. The Emissaries were strongly restrained by the idea of `respect for Ming dynasty and opposite against Qing dynasty`. As the ruling power of Kangxi Emperor and the prosperity and stability of Qing dynasty was verified, the consciousness of anti-Qing dynasty was lagged, accordingly Joseon prepared the installation of Daedodan for propagation and continued to adhere to the idea of `respect for Ming dynasty and opposite against Qing dynasty`. The modification of distorted views on Kangxi Emperor needed to long time and hard eff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