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두변론을 위한 작문기법

        하재홍 ( Jaihong Ha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論集 Vol.20 No.1

        Despite of the enforcement of Criminal Procedure Act (2007) which mandates oral pleadings in the courtroom, Korean lawyers have been suffered from poverty of theory and education in oral argument. Collecting of a good scratch of literatures or sayings does not automatically promise an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or a telling conveyance of the meanings in oral argument. Good theory, imitation and practice are necessary to success, and in that sense classical theory of an oral argument for persuasion, that is rhetoric, provides many treasures such as effective skills and resources of an oral argument. Composition techniques are the primary key, and Classical Rhetoric have its’ own methods and various theories to train rhetorical composition skills. Although Alexander Bain formulated four modes of all discourses - description, narration, exposition, argument, Anglo-American lawyers still uses several extra modes in composing opening statement and closing argument which had been originated from Progymnasmata, classical primary composition exercise. This article introduced Progymnasmata for Korean lawyers to improve oral argumentation skills in criminal court. Concise outlines and examples of Narrative, Description, Exposition, Confirmation and Refutation are provided.

      • KCI등재

        『윈저의 명랑한 부인들』에 나타난 회복적 정의

        하재홍(Jaihong Ha),박미경(Mikyung Park)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연구 Vol.61 No.3

        셰익스피어의 윈저의 명랑한 부인들에서 몰락한 기사 폴스타프는 마을의 부유한 시민의 부인인 포드 부인과 페이지 부인을 유혹해 각각 자신의 동인도 회사, 서인도 회사로 삼을 속셈으로 완전히 동일한 내용의 연애편지를 써 보냈다가 두 부인을 포함한 윈저 마을 사람들에 의해 응징을 당한다. 그런데 윈저 공동체는 폴스타프를 응징하는 것만을 유일한 목적으로 이해하지 않으며, 그를 포용하면서 사과와 보상도 기대하고 있다. 현대의 형사법제에서 회복적 정의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고 있는데, 지역사회가 큰 책임감을 가지고 지역사회의 범죄에 대처하고 있으며, 또 범죄에 대한 맹목적 응징이 아니라 피해와 관계의 회복에 중점을 두는 점에서 윈저 공동체가 보여주는 태도는 이와 대단히 유사한 면이 있다. 본 연구는 극에 묘사된 윈저 시민들의 태도를 잉글랜드 형사법제의 특징과 연관지어 설명하고, 현대에 논의되는 회복적 정의의 특성도 잉글랜드 형사법제의 전통과의 밀접한 관련 하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전통적으로 잉글랜드의 형사법제는 중앙의 권력이 전역에 걸쳐 체계적인 법집행 시스템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에 범죄대처에 대한 자율적인 책임을 맡겨온 것이 기본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극에 나타난 폴스타프에 대한 응징도 지역사회가 범죄에 대해 자율적이면서도 궁극적인 책임을 가진다는 관념과 결부되어 있으며, 특히 도덕범죄자에 대해 지역사회가 공개 망신주기라는 민속 제의로 책임을 추궁한 것에 해당한다. 또한 윈저 공동체 내에는 다양한 갈등요인들이 존재하는데, 여기에 대해 윈저 시민들은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의 대화, 적극적인 중재, 사과와 피해보상의 원리에 따라 해소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이 극은 회복적 정의의 건강한 실천사례를 보여주면서 회복적 정의에 대해 개념적으로나 이념적으로 접근하는 태도를 경계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Recently, the administration of criminal justice has paid much attention to restorative justice, which involves a local community in coping with crimes with great responsibility. This article argues that in William Shakespeare’s comedy, The Merry Wives of Windsor, the Windsor community in fact practices restorative justice discussed nowadays in that the community does not just punish Sir John Falstaff for his crimes but utilizes him as a tool for restoring social order through public shaming and eventually reintegrates him into the community. In this sense, restorative justice needs to be understood in close association with the tradition of the British criminal justice system, which has shown strong reluctance to make police enforcement nationwide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but rather supported the idea that a local community has autonomy and responsibility for dealing with crimes. Falstaff, a poverty-stricken knight in the play, sends identical love letters to both Mistress Ford and Mistress Page in order to seduce and use them as his East and West Indies. But Falstaff’s dark scheme is frustrated by the merry and honest wives with the help of Mistress Quickly; hence, Falstaff gets disciplined by the entire community of Windsor. The Windsor community, however, does not concur on the punishment for its sole purpose; instead, it expects apology and compensation from Falstaff while embracing him. Thus, the Windsor community emphasizes healing and rehabilitation rather than punishment on Falstaff, thus resulting in a good example of restorative justice. Punishment on Falstaff in the play is not only linked to the belief that the community has both autonomous and ultimate responsibility for crimes, but also to folk rituals known as skimmington, public shaming against moral offenders. Likewise, various conflicts within the Windsor community are resolv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dialogues between victims and perpetrators, mediation, apology and compensation. Therefore, this play presents a healthy practice of restorative justice and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a conceptual approach to restorative justice as well.

      • KCI등재

        홉스와 자유주의

        하재홍(Ha, Jaihong)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論叢 Vol.52 No.-

        근래 홉스 연구에서 두드러진 현상으로 홉스를 자유주의자로 평가하는 견해가 많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정치사에서 홉스만큼 상반된 평가를 받아온 인물은 드물 것인데, 홉스는 전통적으로 절대군주권을 옹호한 인물이라는 평가를 받아왔기에 최근의 연구 경향은 관심을 끈다. 본 연구는 홉스를 자유주의자로 볼 수 있는가 하는 점을 검토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홉스 독해에 있어 정치적, 역사적 맥락을 출발점으로 삼아 잉글랜드의 전통 헌정이라는 관점에서 홉스의 견해를 분석하고 그를 자유주의자로 분류할 수 있는지 검토했다. 먼저 홉스 연구에서 어려운 점들을 몇 가지 소개했다. 첫째 텍스트의 불안정 문제인데, 여러 저술들에 모순된 진술들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연구자의 관점을 홉스의 견해와 혼동할 위험, 홉스 저술의 논증방식이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주장형태로 개진된 것에서 오는 오독의 위험을 지적했다. 이어 잉글랜드의 헌정주의자들이 가진 헌정구조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를 소개하고, 내전기에 이를 둘러싼 논쟁을 거치면서 현대에 계승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홉스의 공적으로 정염, 특히 두려움과 공포의 정치적 역할을 포착한 것을 들 수 있는데, 주디스 슈클라에게서 공포와 두려움이 법의 지배를 통한 자유 확장의 계기가 되는 점을 소개하고 이런 관점을 홉스의 견해와 비교해 검토했다. 결론으로, 홉스 연구자들에게 저마다의 홉스가 있겠지만 잉글랜드의 헌정 전통에 비추어 볼 때 홉스는 자유주의자로 분류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Recently, it is a prominent phenomenon that Hobbes, traditionally evaluated as an advocate of absolute sovereignty, has been re-evaluated as a liberal by some researchers. This trend draws academic attention. This article aimed to examine whether we could view Hobbes as a liberal or not. Firstly, this article introduced some difficulties in the Hobbes study. Problems of instability in the text, the danger of confusing the researcher"s view with Hobbes, and possible misreading resulted from Hobbes" argumentation method and writing strategy. In England, common lawyers have created a strong tradition of the Constitution of Liberty. In This tradition, England is a mixed monarchy, and the king and parliament make laws according to the consent of the people. The political conflict and civil war under the reign of Charles I stemmed from the ambiguity of this tradition. However, when they restored constitutional polity, the English re-established this traditional constitution and rejected Hobbes’ theory of absolute sovereignty. In many ways, Hobbes’ understanding of absolute sovereignty is far beyond England"s constitutional tradi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lassify him as a liber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itional constitution of England. Finally, one achievement of Hobbes includes capturing the political role of passions, especially fear. And J. Shklar introduced liberalism of fear that pursuit opportunities to expand freedom through the rule of law, and this article compared this view with Hobbes’s concept and role of fear.

      • KCI등재

        롤즈와 공동선

        하재홍 ( Ha Jaihong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서울법학 Vol.31 No.4

        In his A Theory of Justice(1971), Political Liberalism(1993), John Rawls writes that he opposes the concept of the common good.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over whether Rawls completely rejects the concept of the common good or rejects a historical, philosophical idea of the common good.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Rawls’s exact position on the common good. For this, one problem should be removed in advance. The problem is that the concept of the common good seems to have no clear meaning. To deal with this matter properly, this paper applied a method of dividing the role of the common good into several dimensions. We use common good to discuss the purpose and legitimacy of governance and also use it to discuss an individual way of life. We use common good to discuss the principles by which individuals are socially organized, that is, the conditions of cooperation in social life, and to deal with the question of what laws and policies can contain in improving and enhancing human life. Next, this paper examined Rawls’s position according to the role as classified above.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Rawls opposed the Utilitarian construction of the common good, and he tried to build another concept for the common good suitable for a society that prioritized equal freedom.

      • KCI등재

        『한여름 밤의 꿈』에 나타난 보통법과 법률가의 상상력

        하재홍(Ha, Jaihong),박미경(Park, Mikyu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3 No.4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의 초반에서 테세우스는 아테네 법에 근거를 둔 이지어스의 요구에 따라 허미아가 드미트리우스와 결혼하기를 원하는 아버지의 뜻을 거부한다면 죽든지 독신으로 살든지 선택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극의 후반에서 테세우스는 입장을 바꾸어 이지어스의 청구를 기각하고 허미아와 라이샌더의 결혼을 축복한다. 이 작품에 대한 전통적 비평은 바버나 프라이의 제의적 축제이론 또는 바흐친의 카니발이론에 근거를 두었다. 이들 이론에 의하면 이 작품은 민속축제(오월제)나 카니발을 소재로 전통적인 가부장 사회를 비판하고 풍자하는 극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이론에서 축제와 카니발은 기성질서를 완전히 변화시키지는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적 비평은 극의 후반에서 테세우스에 의해 아테네 사회에 일어난 법적 변화를 완전하게 설명하기 어렵다. 현대의 비평은 법과 권위, 젠더와 정치 등의 문제에 더 관심을 두고 있지만, 이 극이 가부장성이나 젠더의 문제를 극복해내었는가 하는 점에 있어서 전혀 의견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작품을 엘리자베스 여왕의 궁정정치, 특히 궁내 측근들의 결혼문제나 이들이 일으킨 스캔들에 대한 엘리자베스 여왕의 엄하고 완고한 태도가 이지어스로 대표되고 있고, 또 아테네 법에 대한 이지어스의 해석은 보통법 법률가들의 권위적 추론과 닮아있다고 본다. 반면 테세우스가 이지어스의 청구를 기각함으로써 젊은 연인들의 결혼문제에 유연성을 보여준 것은 여왕의 통치에 대한 대안적인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다고 본다. 끝으로 이 작품에는 상상력에 관한 셰익스피어의 견해가 나타나 있는데, 테세우스의 사례에 나타난 것처럼 보통법이 어떻게 사회변화에 맞추어 스스로 변화하는 능력을 발휘하는 것인지를 법률가의 상상력과 관련해 설명했다. In A Midsummer Night’s Dream by William Shakespeare, Theseus says that at the request of Egeus based on Athenian law, Hermia must choose either to die or live alone if she disobeys her father’s will to marry her to Demetrius. In the latter half of the play, nonetheless, Theseus changes his position and overrules Egeus’s claim, blessing the marriage of Hermia and Lysander. The traditional reviews on this play were based on Barber and Frye’s Festival Theory or Bakhtin’s Carnival Theory. They believed that the festivity or carnival shows critiques and satires on traditional patriarchal social order. However, these theories do not completely explain the fact that traditional social order was changed anyway by Theseus. While modern criticism pays more attention to such issues as law and authority, gender and court politics, there is no consensus on whether the play overcomes a patriarchal hierarchy or gender problems or not. This article asserts that this play represents through Egeus the court politics of Queen Elizabeth Ⅰ, especially the monarch’s attitude towards the marriage problems of court ladies and courtiers, and the scandals they caused. Above all, Egeus’s rigid attitude resembles the authoritative method of legal inference in the common law. On the other hand, Theseus’s flexibility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the queen’s policies. It also claims that Shakespeare’s views on imagination are presented in this play, which, as seen in the case of Theseus, explains the way in which how the common law exercises its ability to change its own rules with the help of the lawyer’s imagination that is distinct from fancy.

      • KCI등재

        『코리올레이너스』로 성찰하는 법률가의 소명

        하재홍(Ha, Jaihong),박미경(Park, Mikyu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4 No.3

        법학전문대학원 제도의 도입을 통해 법학교육에 큰 전기가 마련된 후로 매년 많은 법률가들이 사회로 진출하고 있다. 그러나 법학교육의 현장에서는 기초법학 교육의 위기를 염려하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전문직으로서 새출발하는 법률가들이 사회에서 직업적 소명을 다함으로써 사회발전과 변화에 큰 힘이 되어야 함은 마땅한 일이다. 하지만 법률시장을 둘러싼 여러 변화 양상들이 법률가들의 건전한 소명의식 형성을 위협하는 현상도 더러 볼 수 있다. 예비법률가들은 법학전문대학원을 마치기까지 긴 교육과정을 통해 법률가로서 합당한 인격과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주도적으로 준비해야 하며, 여기에 법학교육을 맡은 기관과 교수들도 큰 책임을 지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법심(法心)’의 함양에 관한 한 누구도 자신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 아닌가 염려된다. 본 연구는 셰익스피어의 『코리올레이너스』를 통해 법률가의 소명이 무엇이며 어떻게 마련될 수 있는지 성찰해보려는 시도이다. 미국의 정치철학자 앨런 블룸(Allan Bloom)은 미국의 대학생들이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통해 정치에 관해 깊이 이해하게 되기를 희망했는데, 그 이유는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에는 통치의 문제가 잘 묘사되어 있어 내면의 가치와 태도를 형성하기를 원하는 젊은 영혼들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 했다. 그는 통치의 문제를 다루는 비법을 알고 실천한 시저를 높이 평가한 반면, 코리올레이너스는 실패한 정치가로 비난했다. 본 연구에서는 코리올레이너스의 성공과 몰락에 관해 블룸이 내린 평가를 재검토했다. 흔히 법률가로서의 성공을 세속적 성공, 특히 정치적 성공과 동일시하는 경우를 더러 보게 된다. 블룸은 고대 로마 시대나 셰익스피어 시대나 현재나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정치의 우선성(우월성)이라 지적했다. 우리 사회에서 정치적 성공도 추구하려는 법률가가 있다면 블룸의 견해를 공유할 것이라 여겨지므로 이에 관해 재검토했다. 자유주의는 자유를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관념이 아니다. 자유주의는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영역들이 있으며, 상호간에 독자적이고 자율적으로 기능함으로써 사회가 발전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법을 지배와 통치를 위한 수단으로 믿고 법의 영역을 다른 사회 영역들에 우선시했던 통치자들도 보았다. 법률가들이 과거의 경험에서 배운 것은 법이 시민의 자유를 보장하는 수단이지 통치의 수단이 아니라는 것이다. 사회를 지배하는 수단으로 법을 이용하려는 통치자에게 이용당하지 않으려는 자유주의적 법률가라면 법이 다른 사회 영역에 우선하지 않는 것처럼 정치가 모든 사회 영역에 우선하거나 우월하다는 믿음을 공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믿음과 태도를 가진 법률가는 사회 각 영역을 존중하는 겸손함을 겸비한다. 사회에 일생을 통해 헌신하고자 하는 법률가의 소명은 이런 겸손으로부터 준비될 수 있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school system in 2008 in Korea, legal education has made a contribution to training new lawyers and public-service jobs. However, the huge number of young lawyers graduating from law schools has failed to stop concerns regarding the crisis of foundational education that they are required to learn so as to fulfill their professional calling of serving the public interest. Recently, it is noticeable that the legal industry may threaten the vocation of a lawyer. Thus, law schools should urge would-be lawyers to shape a good personality and attitude through a long curriculum that helps complete legal education. Moreover, both legal institutes and professors should take great responsibility of tackling current problems and developing innovative curriculum. This article aims to reflect on the vocation of a lawyer and how to shape it by reading William Shakespeare’s Coriolanus. Allan Bloom, one of the most famous political philosophers, once believed that Shakespeare’s works inspire American college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politics because his plays represent tyrants and good rulers. According to Bloom, furthermore, Shakespeare’s plays serve to nurture virtues and the legal mind for students. While Bloom praises Caesar for knowing and practicing ways of dealing with ordinary people, he accuses Coriolanus as a failed politician. In this precise context, we propose re-examining Bloom’s assessment of the extent of success and downfall that Coriolanus demonstrates not only as a warrior hero but also as a politician. It is often the case that success as a lawyer is equivalent to worldly success, in particular, political success. Bloom points out that the priority of politics is the essence in every society including ancient Rome, Shakespeare’s, and our own. It is highly likely that a lawyer who seeks political success shares Bloom’s view. In order to prevent the lawyer’s calling from degenerating, we suggest training young lawyers with the ideas of liberalism through Shakespeare’s plays. Liberalism is not an idea of blindly pursuing freedom but a belief that society develops only insofar as sectors that make up society function independently and autonomously. We have seen rulers who utilized law as a means of domination and consequently prioritized the realm of law to other areas. What lawyers have learned from past experiences is that law is a means of ensuring civil liberties, not a means of domination. Libertarian lawyers who do not want to be directed by political rulers do not agree that politics takes precedence or superiority over other areas, just as laws do not take precedence over other areas. Lawyers with these beliefs are necessarily humble and show respect to all the other areas of society. It is from this modesty that a lawyer’s commitment to devoting his or her life to society can be prepared.

      • KCI등재

        형평론 재고(再考)

        하재홍 ( Jaihong Ha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論集 Vol.25 No.4

        우리 법세계에서 형평은 중요한 지위와 역할을 인정받고 있다. 법률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 형평을 고려하도록 명시적으로 요구하는 법률들이 있을 뿐 아니라, 비단 그런 명문의 규정이 없더라도 형평은 재판에서 사실인정이나 법률 및 법률행위의 해석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당연시되고 있다. 대법원도 정의와 형평을 헌법이념이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형평은 법률가들로부터 정당한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개별 사건에서 형평을 고려하라는 요구가 법률가들에게 무제한적인 재량권을 행사해도 좋다는 의미가 결코 아님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무엇이 형평이며, 언제 어떻게 행사되어야 하는 것인지에 관해 분명한 이해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면 사건에 형평의 관념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자칫 법률가의 전횡을 초래할 가능성은 언제든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서구에서 발전해 온 형평관념이 무엇인지를 소개하면서 아울러 형평과 관련해 선행연구들에서 논의된 몇 가지 논점들을 재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서구에서 형평 관념이 처음으로 정식화된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과 『수사학』에서 논의된 내용을 소개하면서 이에 관한 선행연구의 논점들을 재검토했다. 아울러 키케로 및 아퀴나스를 거치면서 형평이 구체적으로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발전했는지 소개하고, 끝으로 어거스틴과 형평 문제, 그리고 법의 흠결 및 보충이라는 관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 및 아퀴나스에서 형평의 쓰임새에 관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견해들을 재검토했다. Judges and lawyers of Korea have always recognised equity as vital element in legal world. Some laws declares to consider equity in their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and even without such legislation, equ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finding facts or in the interpretation on contracts in trials. The Supreme Court of Korea also emphasizes that justice and equity are constitutional principles. But despite of this, equity has not received due attentions from lawyers. There is no doubt that the demand for equity in individual cases does not mean that unlimited discretion can or should be exercised by court. However, if there is no clear understanding of what exactly equity means, when and how it should be exercised by the court, then there are always huge dangers that the demand for equity may lead legal world to tyranny by jurists. This article aims to re-examine some issue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on equity, while introducing what equity means in western legal tradition. The concept of equity first formalized by Aristotle in Nicomachean Ethics and Rhetoric and inherited by Cicero and Aquinas respectively was discussed in turns. And addition to this, the questions whether Augustine despised exercising equity in trial, and whether Aquinas always denied equity in legal interpretation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헌법과 자연법이론

        河在洪 ( Jaihong Ha )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1

        헌법전문은 규범성을 인정받으며 헌법해석의 지침이 되고 또 모든 국가권력과 국민의 삶에 지도적 원리를 제시한다. 우리 헌법의 전문에는 “모든 사회적 폐습과 불의를 타파하며”라는 문구가 있다. 헌법학계에서는 위 문구를 거의 외면해 왔는데, 본 논문은 이 문구를 자연법이론에 따라 해명해보려는 시론적 탐색이다. 한국 현대사에는 많은 긍정적 변화가 있었고, 또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이런 변화를 만들어낸 가장 큰 힘은 올바른 삶에 대한 열망에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열망은 현재에도 다양한 목소리로 표현되고 있으며, 특히 공정하지 않은 사회적 관행의 폐지를 줄기차게 요구한다. 이런 목소리를 외면할 것이 아니라 헌법이 상정하는 사회상의 원리로 해명하고, 특히 ‘사회적 폐습과 불의의 폐지’라는 헌법정신의 실천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아퀴나스의 자연법이론과 공동선 개념을 통해 헌법을 조망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위 문구를 자연법이론의 공동선 개념, 즉 자유와 번영, 질서가 조화를 이루며 추구되는 사회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자연법이론은 헌법에 많은 흔적을 남기고 있지만, 헌법을 이해하고 헌법 문제에 대처하는데 현실성은 없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도 지나친 개인주의와 집단적 이익의 추구로 점철된 헌법현실과 정치문제를 공동선 개념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으며 이를 위해 자연법이론의 전통과 공동선 개념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헌법해석론으로서 공동선 헌정주의가 제안되기도 했다. 헌법전문은 정치적 미사여구에 그칠 수 없다. 헌법의 관점에서 현실을 바라보고 헌법을 살아있게 하려면 헌법정신과 일상의 삶을 지도할 수 있는 바람직한 원리를 찾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자연법이론은 상당한 유용성을 보여줄 수 있다. In the preamble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ere is a phrase, Breaking all social abuses and injustice. It’s widely accepted that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has normative nature, serves as a guide to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and presents principles to all official power and people. But this phrase was not recognized for its significance.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is phrase by the natural law theory. There have been many affirmative changes in modern Korean history, and it is still ongoing. It is thought that the greatest force that has made this change lies in the desire for a righteous life. This aspiration is still expressed in various voices today, and in particular, it constantly demands the abolition of unfair social practices. We should not turn a blind eye to this voice. It is necessary to accept it as the practice of the constitutional spirit of Breaking all social abuses and injustice and to explain it with the social principles assumed by the Constitu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stitution can be viewed through Aquinas's theory of natural law and the concept of the common good and that the above phrase can be explained by the principle in which prosperity and freedom are pursued in harmony with the order. The theory of natural law leaves many traces in the constitution but tends to be considered unrealistic in coping with constitutional issues. However, there are many voices in the U.S. that the constitutional reality and political issues, which have been marked by excessive individualism and the pursuit of collective interests, should be dealt with with the common good concept. Attempts are being made to restore the tradition of natural law theory and the concept of the common good.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common-good constitutionalism has been proposed as a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theory. The full text of the Constitution is not political rhetoric. To look at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titution and keep the Constitution alive, it is necessary to find desirable principles that can guide daily life. Here, the theory of natural law can show considerable usefulness.

      • KCI등재

        구두변론의 구성과 내러티브(Storytelling) 기법

        하재홍(Ha Jaihong) 대검찰청 2015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48

        우리의 형사법정에서 구두변론의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아직까지 실무가들이 구두변론의 개념이나 대상, 요령에 대해 충분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법원이 주도하는 사법개혁의 일환으로 공판중심 주의와 국민참여재판이 시행되다 보니, 정작 법정에서 구두변론을 수행해야 하는 것은 검사나 변호인임에도 불구하고 변론의 문제도 재판을 진행하는 법관 입장에서 접근 하는 경향도 보게 된다. 구두변론과 구술심리를 혼동하는 것도 그런 연유에서 생겨난 것이다. 그런 점에서 구두변론이란 무엇이며, 형사절차에서 무엇이 구두변론의 대상 인지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구두변론은 듣기 좋은 말이나 훌륭한 말을 긁어 모은다고 해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구두변론에 사용되는 글(이것은 서면 변론문 과도 다른 것이다)은 철저한 사건분석 후에 일정한 이론에 따라 작문해야 하는 것이다. 구두변론문을 작문하는 요령은 글의 유형에 따라 몇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Narrative이다. 구두변론과 관련해서 실무가들이 가장 많이 들을 수 있는 것이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배심원에게 말하라’는 말이라 생각되는데, 이것이 ‘Narrative’ 라는 작문 유형을 전제로 한다는 사실은 매우 생소하게 여겨질 것이다. 구두변론은 하나의 글 유형이 아니라 여러 유형이 글이 모아져서 하나의 구두변론용 글을 이루는 것인데, 그 요소가 되는 글 유형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사건에 맞게 적절하게 작문해야 한다는 점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듯하다. 어떤 점에서 구두변론은 법지식의 문제가 아니라 국어작문의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형사절차에서 구두변론의 개념과 대상, 구두 변론의 구성과 Storytelling 기법을 중심으로 우리의 형사소송법이나 실무를 염두에 두고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영미의 법정변론 교과서들에 소개된 이론을 참고해서 소개 하였다. This article intends to introduce basic theory and method of oral argumentation in criminal court. Criminal Procedure Act(Act No. 8496, Jun. 1, 2007) proclaims that “Pleadings in the courtroom should be made orally”[ Article 275-3 (Principle of Oral Pleading)]. However, criminal court practice in korea has not developed oral argumentation tradition and lawyers still suffer from deficiencies in oral pleadings. Oral argumentation in court does not simply mean that lawyers argue for their case with quite a good many verbal expressions. Not at all. Trial advocacy has its own method and logic. Lawyers should be well acquainted in procedure and their what-to-dos at each stage. For example, opening statement has it’s own purpose, elements and structure. To prepare and organize opening statements means to develope case-theory and theme through case research ahead. Narrative(Storytelling) skills are useful to present case and give great help in making judge and the jury understand the case in clients’s point of view. To make impressive oral argumentation, most of all, lawyers should be efficient in writings, which means they should be well trained in literatures and acquire some composition skills. In this sense, progymnasmata for composition training and rhetorical exercises give useful instruction to understand writing skil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