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東三洞貝塚 文化에 관한 試論

        하인수(Ha In Soo)(河仁秀) 한국신석기학회 2010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8

        본고의 목적은 한반도 신석기문화를 대표하는 유적으로서 뿐 만 아니라 남해안지 역 패총문화를 상징하는 유적으로 널리 알려진 동삼동패총 분석을 통해 그 문화적 성 격과 특징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지금까지의 발굴 결과와 그 간의 연구 성과를 참고하 여 동삼동패총 문화를 검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삼동의 즐문토기 문화는 바다라는 생업환경과 이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생 산활동을 통해 생성·전개되어 갔으며, 수천년 간 변함없이 지속된 생업환경은 동삼 동패총 문화를 특징짓고 내륙지역과 차별화되는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삼동패총 문화는 융기문토기 단계에 출현하여 남부지방 즐문토기문화 말기에 걸쳐 점진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었지만, 각 시기별 출토유물의 성격, 관련 유구, 문화 층의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볼 때 동삼동패총 문화의 중심은 동삼동 Ⅲ기로 생각된다. Ⅲ기를 기점으로 동삼동패총 문화는 생업형태와 집단의 사회적 성격이 이전과 확연히 구분되는 양상을 보이고, 이 단계부터 동삼동유적은 주변의 소규모 집단을 아우르 는 동남해안지역의 중심 집단 내지 거점집단으로써의 역할과 기능을 담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삼동집단이 남해안의 타유적에 비해 차별화되는 특징이나 입지 상의 이점이 없음 에도 불구하고 Ⅲ기를 기점으로 타집단과 차별화되는 거점집단으로 두각을 나타낼 수 있었던 것은 동삼동Ⅰ기부터 지속되어 온 일본 구주지역과의 교류활동과 조개팔찌의 대량생산을 통한 교역활동, 잡곡농경을 통한 생업구조의 다변화로 성장·발전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양상은 동삼동Ⅴ기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추정 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Dongsam-dong shell midden, which is well known not only as the remain symbolizing the shell midden culture in the South Coast region but also as the remain representing neolithic culture of Korean peninsula. In reference to the findings so and achievement so far, Dongsam-dong shell midden culture was examined,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zeulmun earthen vessel’ culture of Dongsam-dong was developed through various productive activities based on the occupational environment of the sea, which had been lasting for thousands of years without change and thus feature the Dongsam-dong shell midden and differentiated the culture from those of inland regions. Dongsam-dong shell midden culture emerged with ‘yunggimun earthen vessel’ and was formed gradually up to the end of ‘zeulmun earthen vessel culture in the southern region. However, in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each period’s remains, related structural patterns, and scale of the cultural features, the core of Dongsam-dong shell midden culture is the era of Dongsam-dong Ⅲ. Centering on the era of Dongsam-dong Ⅲ, Dongsam-dong shell midden culture started to be distinguished from those in the past in terms of the occupational features and social features of the group.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from this time period, Dongsam-dong remains played the key role and function as the central group of the Southeast coast regions affecting the surrounding small groups. Although Dongsam-dong group has neither differentiated features nor geological advantage compared to other remains in Southern coast, this group, especially since the era of Dongsam-dong III, stood out among the groups probably because of the association with Guju region, Japan, which continued from the era of Dongsam-dong Ⅰ, trading activity based on mass production of clam bracelets, and development of the occupational system based on miscellaneous cereals farming. It is assumed that such aspects maintained till the era of Dongsam-dong Ⅴ.

      • KCI등재
      • KCI등재

        新石器時代 骨角器의 樣相

        하인수(Ha In Soo)(河仁秀) 한국신석기학회 2006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1

        본고는 최근 발굴 자료를 중심으로 신석기시대 영남해안지역의 골각기의 양상을 개괄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신석기시대 골각기는 식량자원을 생산 혹은 획득하는데 1차적으로 관계하는 생산도구와 획득된 자원을 처리하는 가공구, 실제 생업에 관계하지 않지만 의례적 혹은 정신생활과 관련한 비실용구로 대별 할 수 있다. 생산용구는 생업영역에 따라 수렵구, 어로구, 채집 · 가공구로 나누어지며, 비실용구는 장신구와 의례구로 구분할 수 있다. 골각기 소재는 동물과 어류의 뼈 형태에 좌우되고 규정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주어진 소재의 형질 범위 안에서 형태와 기능이 대부분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소재는 사슴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골각기는 형태와 기능에 따라 자돌구, 결합식 낚시바늘, T자형 낚시바늘, 작살, 뼈바늘. 뼈톱, 장신구 등으로 구분된다. 대부분의 골각기는 생산용구인 자돌구류와 어로구에 집중되어 있고 수렵구나 농경구는 보이지 않는다. 영남해안지역의 골각기는 동삼동, 범방, 연대도, 욕지도, 수가리패총 등의 예로 볼 때 전시기를 통해 생산과 관련한 생업도구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유적마다 출토되는 골각기의 종류와 기종구성에 차별성도 간취된다. 이러한 차별성은 유적의 성격을 반영하는 한편, 시기에 따른 생업유형과 일상생활의 변화과정을 어느 정도 보여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중기 단계에는 전후 시기와 달리 골각기의 기종구성과 사용양이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그것은 즐문토기시대 중기부터 전지역으로 확산된 잡곡농경으로 기존의 생업구조 및 생계양식이 다변화되고 도구체계가 분화된데 원인이 있올 것으로 추정된다. Thi study generall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bone and shell made tools from the Neolithic Age in the seaside of Youngnam area focusing on the recent excavation materials. The bone implement from the Neolithic Age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wo: one belonged to the tools that was directly related to the production and acquirement of food resources and processed obtained resources; the other one belonged to the non-utility tools related to ceremonial or spiritual lives of people even if they had nothing to do with people real occupation. Production tools were subdivided into hunting tools, fishing tools, collecting & processing tools according to the occupation scope and non-utility tools could be subdivided into personal ornaments and ceremonial tools. The materials of bone implement and shell made tool strongly tended to depend upon and to be defined by the bones of animals and fishes. Especially,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 form and function were largely determined within the scope of characteristic form and quality of given materials and the deer was used as one of the most dominant materials. bone implement were divided into Jadol-gu (sudden stabbing tool), adjustable hook, T-shaped hook, harpoons, bone needles, bone saws and personal ornam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form and function. Most of them were production tools such as Jadol-gu and its kind and fishing tools, but no hunting tools or agricultural tools were found.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bone implement in Youngnam coast area were continuously used as occupation tools related to the production throughout the period when looking at the examples such as Dongsam-dong, Beombang, Yeondae-do, Yokji-do, the Molluscan assemblages of the Sugari Shell midden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kind and tool composition ofbone implement excavated in all relics. Such differences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relics, while they were thought to more or less represent the changing process in the types of occupation and daily lives by period. Unlike other periods, the tool composition and the amount of the use of bone implement increased to a great extent in the middle stage of the Neolithic Age, and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farming of miscellaneous cereals spread to the entire regions from the middle period of Jeulmun Togi (comb pattern pottery) Age has brought the diversification of existing occupation structure and living style and the differentiation of tool systern.

      • KCI등재

        末期 櫛文土器의 成立과 展開

        하인수(Ha In Soo)(河仁秀) 한국신석기학회 2006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2

        본고는 율리식토기 혹은 이중구연토기로 불리며 남부지방 즐문토기 중에서 가장 늦은 형식에 속하는 일군의 토기인 말기 즐문토기의 성립과 변천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말기 즐문토기는 구연부의 형태적인 특징에 따라 이중구연토기와 평구연토기로 나누어지며. 문양의 시문 여부에 따라 다시 세분된다. 이들 기형은 문양의 조합과 기형의 세부 형식적인 특징에 따라 다양한 변이를 갖기도 한다. 다양한 형식적인 변이를 갖는 이중구연토기는 신석기시대 후기의 봉계리식토기의 성립기에 출현하며, 그 중심지는 남해안을 중심으로 하는 인접지역일 가능성이 높다. 이중구연토기는 구연부의 형태와 제작기법, 시문되는 문양의 형태적 속성에 따라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 이들 형식은 특히 기형과 문양의 속성 변화에 다라 크게 봉계리식 이중구연의 특징을 갖는 I 단계, 이중구연의 단면 형태가 두터워지고 형태가 역삼각형을 이루며 전형적인 이중구연토기로 전환하는 II 단계, 이중구연토기가 완성되고 남해안을 중심으로 성행하는 3단계로 구분된다. 말기 즐문토기의 연대는 그 범위를 명확히 할 수 없으나 최근 발굴 자료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를 참고할 때 중심은 BC. 2,000년 전후한 시기로 추정되며, 하한연대는 다소 내려올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ment and changing process of late Chulmun pottery called Yulri-type pottery or pottery with double mouth rim that belonged to the latest types among southern region Chulmun potteries. Late Chulmun pottery could be divided into pottery with double mouth rim and pottery with plain mouth rim according to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mouth rim part, and it could be also sub-divid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attern engraving. The forms of potteries were varied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of patterns and their detailed formal characteristics. It has been highly probable that the pottery with double mouth rim equipped with diverse formal variation and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establishment period of Bonggyeri-type pottery in the Late Neolithic Age and its center was somewhere near the southern coast. There have been diverse forms of potteries with double mouth rim in accordance with the form of mouth rim, manufacturing method and formal attribute of engraved patterns. These forms could be divided largely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attribute change in pottery forms and patterns as below: the first stage with the characteristic of Bonggyeri-type with double mouth rim; the second stage that changed into typical pottery type with thick sectional form in double moulh rim and with a form of an inverted triangle; and the third stage of the pottery with double mouth rim popular in the southern coast. The date of late Chulmun pottery could not be classified clearly in its scope, but when considering the measuring value of radiometric carbon dating of recent excavation data, it has been estimated that it was somewhere in 2,000 BC and the lowest possible date would be more or less going down further.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