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숲해설가 직무요구가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하시연(Ha, Si-Yeon),엄문설(Eom, Mun-Seol),이연희(Lee, Yeon-Hee)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5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2015년 사회서비스 일자리 사업에 선발되어 직무교육에 참여한 숲해설가를 405명을 대상으로 직무요구, 직무열의, 직무소진에 대해서 알아보고, 직무요구와 직무열의 및 직무소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숲해설가 직무요구요인분석 결과 역할과부하, 직무전문성, 역할갈등, 역할인지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직무소진은 평균 2.39점으로 중수위 보다 낮게 나타났고, 직무열의는 평균 4.12점으로 중위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숲해설가의 직무요구가 직무소진 및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요구가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직무요구 요인 중에서 역할과부하의 상승이 직무소진을 높이며, 역할 갈등이 심화될수록 직무열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숲해설가의 역할인지가 높아질수록 직무소진이 낮아지는 반면 직무열의는 상승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job demand, job engagement, job burnout targeting 405 forest interpreters chosen from social services jobs and attended in work-training course in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factors of job demand for forest interpreters are role overload, work profession, role conflict, role cognition. Second, the mean of job burnout of forest interpreters was 2.93 lower than the median and the mean of job engagement was 4.12 higher than the median.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zing the impact of job demand on the job burnout and engagement, it showed that job demand effected on job burnout and engagement and increasing of the role overload among the factors of job demand increase the job burnout, and job engagement decreases as role conflict increases. Also, it was found that as the role cognition of forest interpreters increases, the job burnout decreases and the job engagement increases.

      • KCI등재

        ◇ 5분과 : 아름다운 산림풍경 유형의 선호도 및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이연희 ( Yeon Hee Lee ),박찬우 ( Chan Woo Park ),하시연 ( Si Yeon Ha ) 한국임학회 201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4 No.4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풍경사진을 모집단으로 분류한 22개의 아름다운 산림풍경 유형을 유형별 사진의 매수 비율과 인문자원 유형의 제외 등을 통해 선발한 10개의 풍경유형에 대한 선호경향 도출과 이미지 분석을 위해 실시되었다. 풍경유형의 선호도 평가는 편차치(Z척도)와 일대비교법을 사용하였고, 풍경유형의 이미지 분석은 SD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편차치와 일대비교법에 의한 풍경유형의 선호도 평가 결과, 각 풍경유형의 요소 및 특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평가 결과의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임내풍경, 계곡과 바위와 같은 풍경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능선 풍경, 기암봉우리의 암릉, 폭포와 절벽 풍경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고사목 군락의 풍경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둘째, SD법에 의한 풍경유형의 이미지 평가 결과, 요인 1 ‘신비로운 매력’, 요인 2 ‘화려한 색감’, 요인 3‘생동감·다양함’으로 구분되었다. 각 요인에 대한 풍경유형의 분포를 살펴보면 ‘신비로운 매력’의 이미지는 능선 풍경으로부터, ‘화려한 색감’의 이미지는 색으로 표현되는 계절감으로부터, ‘생동감·다양함’의 이미지는 물과 단풍, 기암봉우리의 동적이고 다양한 변화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tends to evaluate visual preference and image for 10 types of forest sceneries which have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among 22 types of beautiful forest sceneries based on Korea National Parks. Z scale and paired comparison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visual preference for forest scenery, and SD scale method was also adopted to assess visual image for forest scene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3 different university students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results of Z scale (N=70) and paired comparison (N=64) methods show similar visual preference for different types of forest scenery. ‘Scenery inside forests’ and ‘valley and rock’ sceneries have the highest level of preference, and ‘panorama of ridges’, ‘ridge of curious rock peaks’, and ‘waterfall and cliff’ also have relatively higher preference level than others. However, ‘community of dead trees’ has the lowest preference in forest sceneries. Second, the factor analysis outputs of the image scores for beautiful forest scenery types by SD scale (N=66) show 3 factors of ‘mysterious charm’, ‘colorful sense’, and ‘vividness/ variety’. Examined the variables of forest scenery types for each factor, the image of ‘mysterious charm’ is based on the sceneries of mountain ridges, the image of ‘colorful sense’ is focused on the sceneries of colorexpressed sense of the season, and the image of ‘vividness/variety’ is based on the sceneries of waterscape and curious rock peaks.

      • KCI등재

        논문 : 숲길 특성에 따른 이용객의 이용행태 비교에 관한 연구

        손지원 ( Ji Won Son ),하시연 ( Si Yeon Ha ) 한국임학회 201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1 No.2

        숲길은 산림휴양서비스의 주요한 축으로 기존의 정상정복형 등산문화에서 벗어나 숲길이 가진 자연 및 역사문화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활동에 대한 국민의 요구와 수준도 동시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각 숲길 특성에 따른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이용유형에 적합한 방향으로 숲길의 관리 및 운영, 휴양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접근성, 물리적 속성 등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북한산 둘레길, 울진 숲길, 지리산 둘레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숲길 이용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탐방동기, 이용행태 등에 있어 전반적인 특성을 도출하였고 숲길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북한산 둘레길은 중·노년층의 이용이 많고 등산, 트레킹 및 건강프로그램을 선호하며 인근주민의 가벼운 산책코스로써 이용이 두드러진다. 울진 숲길은 일부러 시간을 내어 방문하는 유형이 많았고, 트레킹 외에도 다양한 체험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산 둘레길은 젊은 층의 이용이 많고, 트레킹에 대한 선호와 보행편의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 다른 숲길에 비해 걷는 것 자체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visitor survey which provide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 profile of the characteristic, travel behavior in different forest trails; Bukhansan trail, Uljin trail, Jirisan trail. Bukhansan trail (second course) is about 3 km and many visitors are nearby residents for the walking. Uljin trail is 80 km, especially conducting visitor reservation guide system and most visitors are 30s and 50s. Jirisan trail is total 209.3 km (a total of 17 courses), networking regional trail routes and was most popular between the ages of 20 and 39. The results showed that Bukhansan trail was used for light walking course, and visitors preferred health related activities. In Uljin trail, visitors expected trekking with nature-based activities and visitors of Jirisan trail seemed to prefer trekking and request more trail`s walkability than other trail users.

      • KCI등재

        산림교육 교원직무연수가 교사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 2020 산림교육 교원 직무연수 교육과정 효과성 평가 분석

        최선혜(Choi Seon Hye),하시연(Ha Si Yeo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산림교육을 위한 교사대상 직무연수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은 2011년 교원의 산림교육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표준 커리큘럼이 개발되어 현재 2021년까지 시행 중이다. 2020 산림교육 직무연수 교육과정은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숲과 자연환경에 대한 가치관 변화와 상생의 중요성 인식’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산림을 통한 미래 시민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은 산림복지 사업의 이해, 청소년 산림교육의 효과, 올바른 숲 트레킹, 곤충·수목 식별, 숲 생태놀이, 산림교육 체험, 안전한 숲 체험, 산림치유체험, 숲 밧줄놀이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2020년 7월에 4박 5일 일정으로 진행되었고, 총 95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산림교육을 통한 효과성은 문헌과 전문가 조사를 통해 개발된 교원 산림교육 직무연수 교육과정 효과성 평가를 위한 루브릭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직무연수 참여 전과 후를 비교하였을 때 교사들의 인지적(지식, 사고력)효과와 정서적 효과(흥미, 태도, 가치)가 유의미하였다(p<.001) 산림교육 직무연수 교육과정이 목적에 맞게 구성되어 있고, 교육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하위요인별 수준별로 확인한 것과 산림교육 맞춤 효과성 도구를 이용하여 산림교육 효과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er Job Training Program curriculum for forest education. The Forest Education Job Training Program developed a standard curriculum in 2011 to strengthen teachers’ expertise in forest education, and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until 2020. The contents of the forest education Job Training Curriculum aimed at ‘a change in the values of forest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win-win growth’. The curriculum consists of understanding forest welfare programs, effects of adolescent forest education, proper forest trekking, tree identification, forest ecology play, forest education experience, safe forest experience, forest healing experience, and forest rope play.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a schedule of 5 days and 4 nights. The effectiveness of forest education was investigated using a Rubric evaluation tool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forest education Job Training Curriculum developed through expert surveys. When examining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Job Training Program, teachers’ cognitive domain (knowledge and thinking skills) and emotional domain (interest, attitude, and value) are significantly effective (p<.001).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est education Job Training Curriculum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purpo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education Job Training Program by level of each sub-factor and i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forest education by using the forest education customized effectiveness tool.

      • KCI등재

        숲체험이 여고생의 숲태도, 환경감수성 및 상태-특성불안에 미치는 영향

        엄문설(Eom, Mun-Seol),하시연(Ha, Si-Yeon),이연희(Lee, Yeon-Hee)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5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숲체험 프로그램이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여가활동으로써 숲체험 활용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2015 그린캠프에 참가한 여자고등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숲태도, 환경감수성, 상태-특성불안에 대하여 자기보고식 척도를 활용하여 캠프 전·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참가자의 숲태도와 환경감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또한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즉, 숲체험이 여자 고등학생의 숲태도와 환경감수성 증가와 상태-특성불안의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여가활동 증진의 일환으로 청소년 숲체험의 중요성과 효과를 검증하고, 숲체험을 활성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forest experience as an leisure activity by examining the effect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adolescents.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2015 Green Camp were measured by participants’ self report: attitudes toward forest,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state-trait anxiety.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n attitudes toward fores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High school girls’ forest experiences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attitudes toward fores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were effective on the decrease of state-trait anx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effect and the importance of adolescent’s forest experience, as a part of promoting leisure, was identified. Furthermore, the result proposes the necessity of promoting forest experience.

      • KCI등재

        교사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이윤주 ( Yoon Joo Lee ),하시연 ( Si Yeon Ha ),최선혜 ( Seon Hye Choi ),이연희 ( Yeonhee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3

        본 연구는 2017년 8월 국립횡성숲체원에서 진행된 교원 산림교육 직무연수에 참가한 유치원 및 초ㆍ중ㆍ고등학교교사 46명을 대상으로, 사전ㆍ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직무연수 참여 전과 후에 교사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교사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여,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효능감과 관련해 교사의 자신감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실질적인 교수역량 개발을 위한 연수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태도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산림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보다 효과적인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 training. The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at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Activities, in Hoengseong, Korea in August 2017. Presurveys and postsurveys were administered to 46, K-12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eachers’ environmental sensitivity, eco-friendly teaching attitude, and teacher efficacy after the program. Survey participants expressed a slightly lower confidence in terms of teacher efficacy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is confirms the need for a training program with a focus on practical teaching skills, which would help teachers become more confident in providing forest education.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for teachers,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co-friendly attitude. Furthermore, it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