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식민지 시대의 아나키즘과 농민공동체

        하승우(Seung Woo Ha)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0 OUGHTOPIA Vol.25 No.3

        이 논문은 일제 식민지 시기의 식민권력과 그에 기반한 경제체계가 농민공동체에 미쳤던 영향과 그런 억압에 맞서 농민들이 스스로 조직했던 공동체에서 아나키즘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핀다. 그동안의 아나키즘 연구들은 주로 아나키즘 운동의 전개과정이나 몇몇 인물의 사상적 특징을 밝히는데 머물렀고 아나키즘 사상과 농민공동체의 연관성에 주목하지 못했으며 공동체를 구성하는 원리로서 아나코-코뮨주의의 의미를 다루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의 한국 농민들이 수동적으로 지배를 받아들이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일제에 대항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특히 식민지 시기의 농민공동체는 새로운 사상의 싹을 틔우는 배양기였다. 3ㆍ1운동 이후 농민들은 일제에 파괴된 농민공동체를 복원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펼쳤고 이는 아나키즘과 연결된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아나키즘 사상이 이런 농민공동체 형성에 미친 영향과 공동체 질서의 정치적 측면을 조명하려 했다. This essay is the study of anarcho-communism and peasant community during colonial period. Kropotkin criticized Statism and capitalism, and he suggested federalism and small garden city based on peasant. Korean society was in accorded with anarcho-communism, because it had mutual aid tradition and cooperative labor culture. And then anarcho-communism was getting more mainstream of social movement. In the darkness of Japanese period, the many peasant communities struggle against coercive colonial power. 3.1. Independence Movement is the typical instance of peasant movement. I notioe the diversity of social movements during that period and focus on its variation. Though anarcho-communism was the original thought, there are many mixtures in peasant communities. In this paper,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how anarchism interact with other ideologies.

      • KCI등재

        특집논문 :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초반 조선영화 비평사 재검토

        하승우 ( Seung Woo Ha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2

        이 글은 1920년대 후반에서 193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조선영화 비평사의 핵심 논점들을 재검토한다. 특히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과 <아리랑 후편> 논쟁을 새로운 시각에 입각하여 분석한다. 이 시기는 서구로부터 유래한 사회주의 이념을 받아들이면서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이 본격적으로 개진되었던 시기다.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에 대한 검토는 ‘조선프롤레타리아 예술동맹’ (카프)에 대한 검토를 필수적으로 수반한다. 그러나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에는 카프의 노선으로 완전히 환원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 글은 서광제, 김유영, 특히 그 중에서도 서광제를 중심으로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과 카프의 복합적 관계망의 의미를 추적하려고 한다. 궁극적으로 이 글이 초점을 맞추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하나는,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을 카프 내에서 있었던 대중화운동에서 창작방법론으로의 이행과 관련지어 생각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아리랑 후편>의 논쟁을 재검토하고, 이 논쟁을 현재의 시각에서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 글에서의 핵심적인 주장은 영화 제작과 비평 사이에 근본적인 불화, 간격, 거리가 존재한다는 점, 그러나 이러한 불화는 부정적인 계기가 아닌 긍정적인 계기일 수 있다는데 있다. <아리랑후편> 논쟁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이 논쟁을 카프 영화인 대 비카프 영화인의 대립으로 보거나, 아니면 영화를 제작하는 진영과 영화를 비평하는 진영의 대립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글은 이 논쟁을 영화 제작과 비평의 근본적인 불화를 사고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대립의 구도에 입각해서 재검토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이 글은 조선영화 비평사를 새로운 방법과 각도에서 재구성할 수 있는 프레임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focuses on how Joseon film criticism between the late 1920s and the early 1930s was arranged, thus exploring which criteria we need to interpret the multi-layered trends of film criticism during that time. In order to perform this task, we will first explore the trajectory of the Joseon proletarian film movement and then examine how it was influenced by KAPF (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 This approach will be taken because it is impossible to outline the Joseon leftist film movement without thinking of KAPF at that time. Despite arguing that the Joseon proletarian film movement of those days was massively influenced by KAPF, this paper, however, also argues that there are different critical points between KAPF members and critics such as Seo Kwang-je and Kim You-young. For example, Yun Ki-jeong, one of the most influential leftist critics in KAPF, criticized Seo Kwang-je because Seo’s theoretical orientation is too abstract and hollow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Joseon film production environment. However, this paper seeks to re-examine the terms and conditions from which we can interpret the dissonance between theory and filmic practice from a different angle. The main point here is that the dissonance works not as an obstacle to be overcome but as a productive condition to trigger diverse, multiple, and even creative cinematic productions in the future. My point is manifested in the re-examination of debates surrounding A Story of the Day after Arirang (Lee Ku-young, 1930). While many have dealt with this debate in terms of the conflict between leftist and rightistfilm movements or the conflict between production and theory, I insist thatthis debate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unbalanced relationship, i.e. adissonance between production and theory, and that this dissonance should beseen as a positive moment in which to think of a renewed Joseon film.

      • 고온 플랜트 배관의 국부 응력 계산을 위한 개선된 수치 해석 기법

        하승우(Seung Woo Ha),황원식(Won-Shik Hwang),이재빈(Jaebin Lee) 대한기계학회 202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0 No.12

        In general, thermal power plant piping is designed based on ASME B31.1. In the old power plant piping due to long-term operation, pipe damage may occur due to displacement beyond the design value. To predict pipe failure in advance,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local stress at the point of failure. Existing numerical analysis techniques for predicting local stresses in power generation piping could only be performed under limited boundary conditions. In this study, an Advanced numerical analysis technique using displacement and rotation information of a pipe in operation was presented, and the results of the improved numerical analysis technique for sample intuition were compared and verified with the analytical solution.

      • KCI등재

        특집논문 -문화의 맥락을 번역하기 : 비교영화연구의 방법과 과제

        하승우 ( Seung Woo Ha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1

        이 글은 비교영화연구를 위한 이론적 틀의 정립을 시도하는 글이다. 미래의 비교영화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방법론은 번역의 방법이다. 이를 살피기 위해 이 글에서는 사카이 나오키가 『번역과 주체』(2005)에서 제시한 번역 개념을 살펴보면서, 번역 개념이 비교영화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사카이는 두 개의 상이한 문화가 자신들의 문화를 하나의 통일적 단위로 인식하는 것이야말로 이미 두 개의 문화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는 번역 과정을 억압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쉽게 말해,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의 경우, 영어와 한국어간에 번역상의 오류와 오해가 발생하리란 것은 통념적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번역 상의 오류는 영어와 한국어 사이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언어를 사용한다고 가정되는 공동체 내부에도 역시 존재한다. 다시 말해, 동일한 언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 오해가 없으리란 보장은 처음부터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사카이의 주장이 비교영화연구를 위한 중요한 축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이와 동시에 비교영화연구를 세계체계적 맥락 속에서도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세계체계의 맥락에서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타진했던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의 문제틀을 비판적으로 참조할 것이다. 세계체계 하에서 문학 텍스트의 생산이 외부적 형식과 지역적 소재의 협상과 타협에 의해 형성된다는 모레티의 주장은 세계문학 및 비교문학연구와 관련하여 매우 유용한 문제를 제기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적 형식과 지역적 소재의 대당 관계 자체를 재고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외부적 형식이라는 것이 무엇보다도 자본주의와의 조우에 의해 대체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비교영화연구에 관한 폴 윌먼(Paul Willemen) 의 선구적 연구를 검토하면서 비교영화연구의 기초적 기반을 외부적 형식 대 지역적 소재의 대당 관계 대신에, 하나의 지역적 문화 텍스트가 자본주의와 조우하는 과정으로 여기고자 한다. 비교영화연구의 기반을 자본주의와의 관련성 혹은 역사의 ‘작동들’(workings) 속에서 사고하는 윌먼의 입장을 수용하면서, 이 논문은 우리가 다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면, 이는 각각의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 차이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조건, 즉 자본주의적 경험에서 비롯된 것임을 강조할 것이다. 이와 같은 이론적 시도들이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에서 실제로 어떻게 행사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영화 <오발탄>(1961)을 비교영화연구의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ses the founding conditions for comparative film studies. In order to perform this task, it examines the notion of an ‘heterolingual address’ suggested by Sakai Naoki (2005). In his definition of translation, it does not refer to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one culture and another, but refers to an incommensurable gap of one culture itself. The notion of Sakai’s translation constitutes an essential part of a future comparative film studies. The thesis also claims that there can be the other methods in developing a theoretical condition for comparative film studies. That is because comparative film studies needs to be understood as a specific form of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he force-field of world system. Franco Moretti(1999)’s idea on world literature and comparative literature is also examined here. While Morreti offers an excellent formulation for a possible comparative studies, I argue that we need to go beyond his notion, because a culturally specific product is a product from its encounter with capitalism rather than a compromise between foreign form and local material. In this sense,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valence of Paul Willemen’s suggestion on comparative film studies and examines how this notion can be productively articulated through the analysis of An Aimless Bullet (196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