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의 식생형에 따른 조류 서식지 유형분석

        표재훈,유영한 한국습지학회 2011 한국습지학회지 Vol.13 No.1

        우리나라 중부지역에 입지하는 3개 하천(안양천, 갑천, 섬강)을 대상으로 식생형에 따른 조류의 서식 유형 을 파악하였다. 식생 유형은 교목형, 관목형, 장경-습생초지형, 단경-건생초지형, 기타 경작지형 등 5가지 유형이 었다. 식생형과 출현 조류는 상관성이 높았는데, 교목형 에서는 멧비둘기(Streptopelia orientalis) 및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등의 종이, 관목형에서는 붉은머리오목눈이(Paradoxornis webbiana), 딱새(Phoenicurus auroreus) 등이, 장경 및 습생초지에서는 덤불해오라기(Ixobrychus sinensis), 개개비(Acrocephalus arundinaceus)등이, 단경초지에서는 꿩(Phasianus colchicus),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등의 종이, 경작지에서는 중대백로 (Egretta alba modesta),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및 밭종다리(Anthus spinoletta) 등의 종이 각각 번식 및 채식지로 이용하였다. 현존식생 및 입지유형에 따라서 조류의 종별 분포유형이 뚜렷이 구분되었다.

      •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의 식생유형 및 분포특성 - 안양천, 갑천, 섬강을 중심으로 -

        표재훈 한국자연보호학회 2011 한국자연보호학회지 Vol.5 No.1

        To investigation the type of riparian vegetation and distribution, I studied the three streams, which is located in central district of Korea (Anyang Stream, Gap Stream, Seom River) from March of 2007 to December of 2008. Five different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exception naked and openwater region. Natural forest type includes forest vegetation like as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and riparian woodland like as Salix koreensis community. Long and wet type of grassland consists of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and so on. 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was representative of Woodland afforestation type. Short and dry type of grassland includes Elymus annuus and Humulus japonicus community. Cultivation land type. On the natural streamside was mainly made of natural riparian vegetation type, but in the artificial streamside consists of short and dry type of grassland. Riparian vegetation correlated with revetment structure, stream terrace, and microtopographical diversity. It showed that the vegetation type was divided clearly in the natural or artificial streamside.

      • SCOPUSKCI등재

        잣나무 조림지의 탄소수지에 관한 연구

        표재훈,김세욱,문형태 한국생태학회 2003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6 No.3

        공주 근교의 15년 된 잣나무 조림지에서 물질생산을 통한 탄소고정량과 토양호흡을 통한 탄소 방출량을 조사하였다. 연 순생산량은 상대생장법에 의해 보고된 물질생산 식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것을 이산화탄소의 고정량(순 흡수량)으로 환산하였다. 토양호흡은 대조구, 뿌리제거구, 낙엽제거구로 구분하여 2001년 4월부터 2002년 4월까지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때 토양온도, 토양수분함량도 함께 측정하였다. 이들 자료를 기준으로 잣나무 조림지의 탄소수지를 파악하였다. 조사지역 잣나무 조림지의 연 순생산량은 25.7t·ha/sup -1/·yr/sup -1/이었으며, 이를 CO₂량으로 환산한 결과 연간 CO₂ 고정량은 42.5 t CO₂·ha/sup -1/·yr/sup -1/이었다. 잣나무 조림지 대조구의 연간 총 호흡량은 5.0 t CO₂·ha/sup -1/·yr/sup -1/이었다. 연간 이 산화탄소 발생량 중 낙엽층의 기여도는 전체의 32.0%, 뿌리의 기여도는 46.0%이었다. 임목밀도에 따라 연 순생산량에 차이가 있지만 본 조사지역의 경우 CO₂순 흡수량과 토양호흡에 의한 방출량의 차이는 37.5 t CO₂·ha/sup -1/·yr/sup -1/로 삼림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Amounts of CO₂ fixed by net primary production and released by soil respiration were determined on big-cone pine plantation. Net primary production, which was determined by allometric method, was converted into CO₂. CO₂ evolution in forest ecosystems are mainly through soil and root respiration. In order to separate root respiration from soil respiration, root-free sites were made in stand. Litter removal sites were prepared to estimate CO₂ evolution through litter layer. Respiration was measured at every two weeks intervals from April 2001 through April 2002, and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Net primary production of this big-cone pine plantation was 25.7 t·ha/sup -1/·yr/sup -1/. The amount of CO₂ fixed by this plantation was 42.5 t CO₂·ha/sup -1/·yr/sup -1/, The amount of CO₂ released by soil respiration was 5.0 t CO₂·ha/sup -1/·yr/sup -1/.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root respiration and litter layer respiration to total respiration was 46% and 32%, respectively. Net amount of fixed CO₂ was 37.5 t CO₂·ha/sup -1/·yr/sup -1/ in this big-cone pine plantation. From this result, this big-cone pine plantation play a carbon sink source from the atmosphere.

      • 여천공단 주변지역 토양의 화학적 성질

        표재훈,김준호,문형태 公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8 自然科學硏究 Vol.7 No.-

        여천 공단 주변지역에서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토양 성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토양의 산도는 평균 4.3 ±0.31이었으며, 제석산의 기부에서 능선부로 갈수록 토양의 산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 유기물 및 전질소 함량은 각각 19.2±2.6%와 4.7±0.25mg/g으로 비오염 지역인 공주 근교의 토양에 비하여 높았다. 가용성 인의 경우 평균 41.2±3.7μg/g로 비오염 지역인 공주 근교의 토양에 비해 4배이상 높았다. 제석산에서는 산의 높이에따라 가용성 인의 함량변화가 매우 뚜렷하였는데, 토양의 산도가 증가함에따라 가용성 인이 불용성으로 전환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otal-Sdm의 함량은 283.5±14.1μg/g으로 비오염지역인 공주 근교의 토양에 비하면 10배이상 높았다. 가용성 알루미늄의 평균 함량은 0.43±0.03mg/g으로 비오염 지역에 비해 2배정도 높았으며, 토양의 산도가 증가할수록 가용성 알루미늄의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지역의 치환성 칼슘, 칼륨, 마그네슘 함량은 비오염 지역에 비해 매우 낮았다. 이는 토양의 산성화로 칼슘과 마그네슘이 세탈되었기 때문이다.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Yoch'on industrial complex were investigated. Soil pH showed severe acidity with average value of 4.3±0.13. Soil pH decreased along the increase in altitute of Mt. Jeseok. Soil organic matter and total N was 19.2±3.6% and 4.7±0.25 mg/g,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unpolluted area, Kongju. Available P was 41.2±3.7g/g, which was 4 times greater fhan that of unpolluted area, Kongju. Average content of total-S was 283.5±14.1 g/g, which was 10 times greater than that of unpolluted area. Content of available Al was 0.43±0.03 mg/g, which was 2 times greater than that of unpolluted area. Available Al increased as the soil pH decrease. Contents of exchangeable K, Ca and M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unpolluted area, because of severe leaching in acid soil.

      • KCI등재

        연구논문 : 비생물 및 생물 요인에 기초한 통합적 하천자연도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표재훈 ( Jae Hun Pyo ),문형태 ( Hyeong Tae Mun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1 환경영향평가 Vol.20 No.1

        Integrated stream naturalness based on abiotic and biotic factors were developed. Abiotic factors considered in this study were types of land use in the riparian area, river bank and high water bed streamside, revetment, bed substrate and artificial construction of streamside. Biotic factors included types of vegetation, assemblages of fish, macroinvertebrate, bird and mammal(Otter) in streams. The presence/absence of legal species and biological assessment index were also weighted as important parameters in this study. Scoring criteria selected for each matrix was five rating system; 1=poor, 2=moderate, 3=fair, 4=good, 5=excellent. Numerical ratings for the matrix were then summed. This resulted in a minimum score of 13 if all matrix at a site were poor, and a maximum score of 65 if all matrix were excellent. Five grade system from poor(I) to excellent condition(V) was employed. To verify its validity in natural environment, the evaluation system was applied to the Gapchun stream which is a test bed selected. Our result showed that stream naturalness of each reach was clearly distinguished by biotic and abiotic characteristics. Determination of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biotic and biotic factors was also high (R2=0.96, p<0.05). In conclusion, assessment for stream naturalness reflecting abiotic and biotic factors was useful method representing stream integrated.

      • 기후변화환경 하에서 멸종위기식물 섬시호(산형과)의 보전을 위한 환경요인에 대한 반응 연구

        조규태,표재훈,유영한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본 연구는 멸종위기식물인 섬시호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의 원인인 CO2 + 온도 상승과 식물의 생육 및 분포에 중요 한 광, 수분, 영양소를 조합 처리하여 지구온난화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고, 기후변화환경 하에서의 보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야외의 CO2 농도와 온 도를 반영한 대조구와 유리온실에서 대조구보다 CO2 농도 가 약 2배, 온도가 약 2℃ 높게 유지한 CO2 + 온도 상승구로 구분하여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생육시켜 관찰하고 비교 하였다. 섬시호의 생육반응은 광, 수분, 영양소보다 CO2 + 온도 상승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고, CO2 + 온도 상승구에 서 영양소가 많은 조건에서 잘 자랐다. 잎 수는 대조구에 비해 CO2 + 온도 상승구에서 광이 낮은 구배와 영양소가 높은 구배에서 많았고, 잎 폭은 대조구에 비해 CO2 + 온도 상승구에서 광과 영양소가 중간 구배에서 좁았다. 그러나 지상부 길이, 잎몸 길이 그리고 잎자루 길이는 대조구와 CO2 + 온도 상승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으로 볼 때, CO2 농도와 온도의 증가에 의한 식물들의 생육반응은 연구 대상종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는 모든 종마다 CO2 농도와 온도에 반응하는 특이성을 가지고 있고,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식물의 생장이 이루어지기 때문 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기후환경 하에서 섬시호의 보전을 위해서는 섬시호 자생지에 영양소를 공급 하고 섬시호 자생지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섬시호의 자생지와 유사한 환경조건을 가진 곳을 선정하여 복원함으로써 서식지를 확대하여야 한다.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여천공단 주변지역 토양의 화학적 성질

        문형태,표재훈,김준호 한국생태학회 1998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1 No.1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Yoch'on inductrial complex were investigated. Soil pH showed severe acidity with average value of 4.3$\pm$0.13. Soil pH decreaed along the increase in altitute of Mt. Jeseok. Soil organic matter and total N was 19.2$\pm$3.6% and 4.7$\pm$0.25mg/g,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unpolluted area, Kongju. Available P was 41.2$\pm$3.7 $\mu$g/g, which was 4 times greater than that of unpolluted area, Kongju. Average content of total-S was 283.5$\pm$14.1 $\mu$g/g, which was 10 times greater than that of unpolluted area. Content of available Al was o.43$\pm$0.03 mg/g, which was 2 times greater than that of unpolluted area. Available Al increased as the soil pH decrease. Contents of exchangeable K, Ca and M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unpolluted area, because of severe leaching in acid soil.

      • 천연기념물 모감주나무군락의 실태조사를 통한 맞춤형 보전관리 방안

        조규태,김호국,표재훈,유영한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7 No.2

        조본 연구는 태안 안면도 모감주나무군락(천연기념물 제 138호)과 완도 대문리 모감주나무군락(천연기념물 제 428호)을 대상으로 천연기념물의 존속을 저해하는 외부요 인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상지에 맞춤형 보전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실태조사는 2016년에 3회(봄, 여름, 가을)에 걸쳐 식물상, 매목조사, 생육상태, 후계목 실태, 주 변시설물, 관리실태 등을 조사하였다. 태안 모감주나무군락 에는 60과 109속 115종 11변종 4품종 3아종 총 133분 류군이 출현하였다. 모감주나무는 높이 2~8m로 253개체 생육하고 상태는 양호하며, 후계목은 비교적 넓은 공간에서 발아에 의한 치수가 발달하고 있으나 무차별적인 하예작업 으로 후계목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외곽에는 보호책, 지주, 안내판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탐방로와의 거리가 가 깝고 구역내로 출입이 잦아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완도 모감주나무군락에는 46과 76속 76종 10변종 총 86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모감주나무는 높이 2~17m로 600 개체가 생육하고 상태는 양호하며, 후계목은 모감주나무군 락 가장자리와 여유 공간에서 발아에 의한 치수가 발달하였 다. 시설물은 안내판, 보호책, 경고문 등이 설치되어 있으나 일부 구간이 손상되어 있고, 주변에 농자재와 어구들이 무 차별하게 버려져 있어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천연기 념물의 보전관리를 위해서는 보호구역내 상시관리 강화와 하층식생 정비방법 개선, 개체군 유지를 위한 정기모니터링 및 생육환경 개선, 인위적 피해 방지를 위한 지역주민 참여 강화 등의 보전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