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콩 한국어 입문기 교육에 관한 고찰 - 문법 및 문화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

        폴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6 한국언어문화학 Vol.13 No.2

        본고는 동일한 교육 기관의 다섯 가지 서로 다른 언어(한국어, 일본어, 태국어, 러시아어, 북경어)의 입문기 교육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홍콩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입문기 교육에 대해 제고하고자 하였다. 언어별 입문기 교육 내용을 정리한 결과 어휘, 문장, 담화의 세 가지 문법 교육 내용 중 어휘 교육 내용의 비중이 제일 높았고, 담화 교육 내용의 비중이 제일 낮았다. 모든 언어의 입문기에서 어휘 및 문장 낭독 연습을 기초 학습 활동으로 포함하고 있었으며, 문장 만들기, 어휘 및 문장 차원의 통·번역 연습도 대표적인 언어 학습 활동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입문기 문화 교육 내용의 경우 이해 중심 교육 내용의 비중이 문화 비교 중심 내용보다 더 높으며, 일부 교재에는 문화 교육에 관한 내용이 부족하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언어별 입문기 교육 내용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별 입문기 교육 내용 중 공통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교육 내용 및 학습 활동을 참고로 하여 한국어 입문기 교육을 위한 교재 및 내용 등에 보완해야 할 사항들은 없는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어 입문기 교육 내용 중에서 홍콩 지역 학습자의 언어문화 배경에 관한 어휘를 개별적으로 보완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학습자의 선행 언어 지식으로부터 긍정적 전이 및 부정적 전이가 있을 만한 부분을 미리 파악하여 수업 내용과 학습 활동에 활용하거나 보완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재 상 한국 문화에 관한 언급이 적은 경우 어떤 문화 교육 내용을, 어떻게 추가해야 할지 고민하여 추가 내용으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comparing the grammar and cultural contents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program with the elementary programs in four other different languages (Japanese, Thai, Russian, Putonghua). The results show that among the three grammar education contents that is, vocabulary education content, sentence education content and conversation education content, the proportion of vocabulary education content is the highest while the proportion of conversation education content is the lowest. During the elementary stage, students are required to read aloud frequently to enhance their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proficiency as well as accuracy. The most common class activities are grammar translation exercises and comparisons with students’ first language. Regarding cultural education content, the main focus is on the understanding of general information and knowledges of the target language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understanding of the target culture, some of the class activities require students to compare their own culture with the target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