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ow Production Processes of TV Body Makeover Shows Works :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roducers

        추혜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tain qualitative data on TV producers’ cultural work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body makeover programs. It focuses on power relation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fitness media by employing an original synthesis of Elias’s theory of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and Bourdieu’s cultural field. To this end, two representative programs (Extra.Ordinary Men 2 and Diet War 6) were selected and the processes of production of the programs were analyzed by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producers. In the production processes, the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of producers and staff, with the owner and sponsorship were examined. Producers and staff in the media field showed dynamic relations in coordinating their opinions about media contents. However, the final decision was made by the established management line that reflects Korean bureaucratic and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By pursuing fun elements, the producers were eager to present the creative forms and contents of the programs within the pre-approved boundaries of safety. In this processes, TV programs switched the economic issue of consumption to one where the body can become a symbolic capital. Lastly, we believe that this research will give grounds to boost an understanding of media production and cultural work in this field given that a burgeoning number of people wants to fulfill in the media industry.

      • KCI등재

        주부들의 시각에서 본 한국 사회에서 반려견 키우기의 가치

        추혜원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is study explores how raising companion dogs became socially valuable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experiences of housewiv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housewives (ages 30-70) with experience owning a companion dog or who had never owned one. Examining the value of raising a companion dog to the participan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in Korea, dogs serve as guard dogs, food, and medicine as tools for humans; second, companion dogs are considered family members and provide emotional bond; and third, companion dogs appear to as objects of consumption and taste. To the participants, the concept of a companion dog held a different meaning depending on the time and space in which they grew up and the social relationships they had formed.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a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and their companion dogs, but it also contributes academically in that it examine the value of raising companion dogs in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 housewife. For future research, a follow-up study on companion dogs targeting area other than Seoul and a younger generation is recommended for a more in-depth exploration of lifestyle, consumption, tastes, and value.

      • KCI등재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과 영화 〈기생충〉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신문 분석 : 기득권과 아웃사이더 권력관계를 중심으로

        추혜원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6

        This study analyzed newspaper report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hat focused on Parasite’s unprecedented performance at the 2020 Academy Awards. The research focused on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established and the outsiders (Elias & Scotson, 1994)’ as represented by the Academy Awards and Parasite, respectivel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ext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porting of American and South Korean newspapers and illuminate three aspects of the power relations between the Academy Awards and Parasite. Three major findings were derived. First, the Academy traditionally has a reputation for marginalizing films with a non-English or Asian background, but recognition of Parasite at the 92nd ceremony changed the Academy’s established position of power. Second, historically, the Academy Awards had been characterized by a group charisma that exerts stigmatization (through an English-oriented policy and language stigmatization) and accords North American films priority over non-English movies. Lastly, the reports of newspapers in the two countries are generally similar, but the Korean articles internalized the individual, society, and the state. 본 연구는 노베르트 엘리아스의 진행형 사회학 알려진 문명화 과정 이론을 중심으로 전통적으로 비영어권 또는 아시아권 영화에 대한 시상이 드물었던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처음으로 4개 부문의 오스카 트로피를 수상한 영화 〈기생충〉과의 ‘기득권과 아웃사이더 (Elias & Scotson, 1994)’ 권력관계를 연구했다. 연구 분석을 위하여 지난 제92회 수상식 전후 한 달 기간의 미국과 한국 6개의 신문을 질적 내용분석을 했다. 첫 번째로, 전통적으로 아카데미 시상식은 비영어권 또는 아시아권 영화들에 기득권적 배경이 있었다. 하지만 지난 제92회 시상식에서 영화 〈기생충〉의 4개 부문 수상으로 전통적인 아카데미의 기득권에 변화가 나타났다. 두 번째로 역사적으로 비영어권 영화에 대해 아카데미 시상식의 전통적 낙인(언어적 낙인)과 집단 카리스마 (아카데미 시상식)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카데미 시상식에 관한 양국 신문 보도는 일반적으로 유사하지만, 한국 신문의 경우 기사를 통한 개인, 사회 그리고 국가의 일체화 양상이 발견되었다.

      • KCI등재

        퍼스널 트레이너에 대한 탐색적 고찰: 강남과 강북 트레이너 간 몸의 기득권자-아웃사이더 권력관계를 중심으로

        추혜원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7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0 No.1

        This article is a socio-cultural research on the personal trainer culture in Korean society by employing an original synthesis of the work of Elias and Bourdieu.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multidimensional and in-depth analysis of personal trainers, by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r groups with differing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e.g. Gangnam and Gangbuk, private and public center). Throug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of personal trainers in both Gangnam and Gangbuk are examined (Gangnam 13: Gangbuk 10). The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of the body among trainers are distinguished by their symbolic spaces(Gangnam and Gangbuk), sites(private and public), civilizing process of the bodies, and forms of capital (especially, 'Hakbeol' capital). Established trainers stigmatize outsider trainers by using the means of dissemination via blame gossips: ‘they do not even know what PT is’, ‘the nogari trainers are killing time with unnecessary words’, and ‘they are playboys.’ Gangnam trainers have both visible and invisible cohesions in connecting with the Gangnam collective identity. A group image of Gangnam trainers represents the best image of all trainers, while the image of outsider group consists of the worst characteristics of the worst members. Gangbuk trainers have low cohesion, so they cannot resist these negative stigmatizations – thus, they internalize them.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of self-segregation is that reproduction of these social differences is entirely determined by each group’s level of cohesion. Their extant social differences make Gangnam’s cohesion stronger and Gangbuk’s cohesion weaker. A trainer’s cultural capital and habitus can have influence on club members who learned from other established trainers and the outsiders. Therefore, the hierarchies of fitness consumer (club, member, trainer) reproduce socially and culturally through these processes. 본 연구의 목적은 Elias와 Bourdieu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이 달리 나타나는 서울 강남과 강북의 피트니스 장에서 트레이너들 간 권력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인터뷰와 참여관찰 방법을 통해 강남과 강북 트레이너들 간 기득권자-아웃사이더(Established-Outsider, E-O) 권력 관계를 강남과 강북이라는 상징 적 공간, 클럽 아비투스(프라이빗과 퍼블릭 센터), 몸의 문명화 과정, 그리고 자본의 형태(특히 학벌자본) 측면에 서 살펴보고자 하였다(강남 13명: 강북 10명). 연구결과, 기득권자 위치에 있는 트레이너들은 아웃사이더 트레 이너들에 대해 ‘그들은 PT가 무엇인지 모른다’, ‘불필요한 말만하고 시간만 때운다’, ‘그들은 바람둥이다' 라는 가십을 통해 낙인을 찍고 있었다. 강남 트레이너들은 강남이라는 집단 정체성과 연결되는 보이는/보이지 않는 사회적 유대감(social cohesion)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강남 트레이너들은 모든 트레이너의 최 고의 이미지를 대표하며, 강북 트레이너들은 가장 나쁜 특성을 구성하는 아웃사이더 집단의 이미지를 가진 것처 럼 인식되어졌다. 강북 트레이너들 간 사회적 유대감은 약하기 때문에, 이들은 이러한 부정적 낙인에 저항할 수 없었으며 오히려 이러한 이미지를 내면화하고 있었다. 결국, 기득권자-아웃사이더(E-O) 권력 관계 및 사회적 차이의 재생산은 각 그룹의 사회적 유대감 수준에 의해 전반적으로 결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현 존하는 사회적 차이들은 강남의 유대감을 더욱 강하게 하고 강북의 유대감을 더욱 약하게 하고 있었다. 더 나아 가 트레이너의 문화자본과 아비투스는 클럽 회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피트니스 소비자(클럽, 회원, 트레이너)의 위계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회적·문화적으로 재생산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 이다.

      • KCI등재

        피트니스 소비자에 대한 탐색적 고찰

        추혜원(Hye-Won Choo)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이 글은 엘리아스(Elias)와 부르디외(Bourdieu) 이론들을 바탕으로 한 한국 사회의 피트니스 회원에 대한 사회문화적 연구다. 이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이 달리 나타나는 피트니스 회원(강남/강북, 프라이빗/퍼블릭 센터) 사이의 권력관계에 대해 다차원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터뷰와 참여관찰 방법을 통해 강남과 강북 피트니스 회원들(강남 12명: 강북 12명)을 대상으로 몸의 기득권자-아웃사이더(Established-Outsider) 권력관계를 살펴본다. 사회 공간 내에서 참여자의 위치는 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피트니스 자본의 수준에 따라서 결정되어졌다: 강남 기득권자 그룹(강남E), 강남 아웃사이더 그룹(강남 O), 강북 기득권자 그룹(강북 E), 강북 아웃사이더 그룹(강북 O). 네 그룹 회원들 간 몸의 기득권자-아웃사이더 관계는 몸 취향과 하비투스(피트니스센터의 선택, 몸의 과시, 사회적 평가, 근육만들기, 다른 스포츠에의 참여 등)와 문명화 과정(피트니스 매너 및 에티켓)에서 차이를 보였다. 강남과 강북의 피트니스는 단순히 운동을 하는 공간이 아니라 회원들 사이의 사회-문화적 위계를 재생산하고 영속화하는 상징적 공간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is a socio-cultural research on the fitness members by employing an original synthesis of the work of Elias and Bourdieu.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multidimensional and in-depth analysis of fitness members, by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groups with differing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e.g. Gangnam and Gangbuk, private and public center). Throug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of fitness members in both Gangnam and Gangbuk are examined (Gangnam 12: Gangbuk 12). Participants in social space differentiated by fitness capital and socio-economic positions gather in certain spaces that identify them as members of the same class location: the established body in Gangnam (Gangnam E), the outsider body in Gangnam (Gangnam O), the established body in Gangbuk (Gangbuk E), and the outsider body in Gangbuk (Gangbuk O). The E-O figuration of the body in fitness clubs shows differences in their body tastes and habitus (selecting a fitness centre, body ostentation, social assessment, making muscles, participation in other sports) and civilizing process (fitness manners and etiquette). The fitness centers in Gangnam and Gangbuk were not simply spaces for exercise but symbolic spaces that both recreate and perpetuate socio-cultural hierarchies between members.

      • KCI등재

        한국 취준생의 문화자본에 대한 탐색적 고찰

        추혜원 ( Hyewon Cho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논문은 한국 취준생의 문화자본 만들기의 의미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권력관계와 불평등에 관해 탐구했다. Bourdieu(1986)의 자본의 형태 이론(forms of capital)을 바탕으로, 취준생의 사회적 이동과 지위 획득에서 문화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과 불평등을 재현하고 정당화하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서울에서 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 16명(대재/대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해, 그들의 취업 준비와 구직 경험을 이해하고자 했다. 자료 분석 결과 ‘상징적 학벌’, ‘가족 문화(가부장적/개인주의)’, 그리고 ‘가치 있는 외모’라는 3가지 주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인터뷰 결과를 검토하여 취준생의 자본, 권력 및 문화를 이해하고 이들이 필요로 하는 취업 관련 교육 및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했다. This paper examined Korean job seekers’ after-university (chwi-jun-saeng) to explore what cultural capital they had accumulated and how they competed for statu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competitors. Based on Bourdieu’s theory of forms of capital (1986), this paper explored how job-seeking students’ cultural capital affected their employment and its role in reproducing and justifying inequality among job-seeking student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job seekers preparing for employment in Seoul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Three theme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symbolic academic background’, ‘family culture (patriarchal/individualistic)’, and ‘valuable appearance.’ Through examining the findings of the interviews,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apital, power, and culture of job seekers an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this for the employment-related education and support measures these job seekers need.

      • KCI등재

        좋은 반려견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EBS1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와 KBS2 <개는 훌륭하다>의 반려견 훈련사의 문화매개 작업을 중심으로

        추혜원(Hye-Won Ch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4

        본 논문은 한국의 반려견 문화에 변화를 가져다준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EBS1의 <세상에 나쁜 개는 없다>와 KBS2의 <개는 훌륭하다> 프로그램들에 주목하고, 방송에 재현되는 반려견 훈련사 강형욱과 설채현의 문화매개(cultural intermediary) 작업을 고찰했다. 방송 프로그램에서 반려견 훈련사는 반려견 교육에 대한 신념과 가치를 생산하기 위해 어떠한 문화매개의 장치들(devices)을 사용하고 있는지 van Dijk(1993)의 언어적 텍스트 및 시각적 이미지 분석을 통해 함께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심각한”스토리텔링, 반려견의 몸, 그리고 보호자 재교육과 같은 세가지 장치들(devices)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려견 훈련사는 이 프로그램에서 반려견 교육의 신념과 가치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대면 상호작용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에게 반려견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해 반려견의 문화적 생산과 소비를 매개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학문적으로 기여했다고 본다. 첫째, 한국의 반려견 이슈를 펫코노미라는 산업 및 경제적 차원에 머물지 않고 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했다는 점이다. 둘째, 반려견 훈련사를 문화매개자라는 개념 및 이론적으로 고찰했고,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서의 이들이 반려견 교육의 가치를 어떻게 생산하고 있는지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의 반려견 문화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데 도움을 주리라 여겨진다.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two programs There are No Bad Dogs in the World(EBS1) and The Dogs are Respectable(KBS2) that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factors that changed the culture of dog rearing in the country. Focus was also directed toward the cultural intermediary work of trainer Hyung-Wook Kang and veterinarian Chae-Hyun Seol, and the linguistic texts and visual images that describe the programs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two experts reproduce dog-related beliefs and values u sing devices such as “serious” storytelling, dog bodies, and guardian re-education. They perform cultural intermediary work in that they create the value of the companion dog culture in these programs and provide corresponding products and services to consumers through direct face-to-face interactions. This study contributes academically in the following respects. First, the issue of companion dogs in Korea was approached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rather than bounding analysis to the industrial and economic level called the “petconomy” (pet + economy). Second, the concept of cultural intermediaries and related theories were examined, along with how the two experts engender the value of dog training in the broadcasting program. Th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illustrate the diversity of Korean dog culture.

      • KCI등재

        How Production Processes of TV Body Makeover Shows Works

        Hye-Won Choo(추혜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TV 몸만들기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있어 프로듀서들의 노동에 대한 질적 데이타를 얻는 데 있다. 본 연구는 Bourdieu의 문화의 장과 Elias의 기득권자-아웃사이더 관계 이론들을 채택해 TV 몸만들기 프로그램에서 방송사 외부와 내부의 기득권자-아웃사이더 파워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절대남자(시즌2)와 다이어트 워(시즌 6)를 선택해 방송생산과정에 대한 참여관찰과 담당PD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했다. 방송생산 과정에서 프로듀서들과 스탭들과의 관계, 스폰서쉽과 소유주와의 관계, 그리고 프로듀서들의 창의 노동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피트니스 미디어 장에서 방송 프로듀서들과 스텝들은 미디어 콘텐츠에 관한 그들의 의견을 조정하는데 있어 다양한 기득권자-아웃사이더 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최종 결정은 한국의 관료주의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조직문화를 반영하듯이 방송사 대표와 스폰서십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듀서들은 창의적인 프로그램 및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었는데 이는 사전에 승인된 안전한 경계 내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듀서들에게 방송이‘그림이 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어떻게 재미있는 요소를 추구하여 시청자들의 눈을 사로잡는가와 연관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프로그램은 소비라는 경제적 이슈를 몸이 개인의 상징적 자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바꾸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디어 제작 분야에서 일하고 싶어 하는 이들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미디어 생산 및 노동에 대한 이해를 보다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tain qualitative data on TV producers’ cultural work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body makeover programs. It focuses on power relation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fitness media by employing an original synthesis of Elias’s theory of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and Bourdieu’s cultural field. To this end, two representative programs (Extra.Ordinary Men 2 and Diet War 6) were selected and the processes of production of the programs were analyzed by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producers. In the production processes, the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of producers and staff, with the owner and sponsorship were examined. Producers and staff in the media field showed dynamic relations in coordinating their opinions about media contents. However, the final decision was made by the established management line that reflects Korean bureaucratic and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By pursuing fun elements, the producers were eager to present the creative forms and contents of the programs within the pre-approved boundaries of safety. In this processes, TV programs switched the economic issue of consumption to one where the body can become a symbolic capital. Lastly, we believe that this research will give grounds to boost an understanding of media production and cultural work in this field given that a burgeoning number of people wants to fulfill in the media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