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온라인 강의 정보 탐색 및 수강신청 행동 분석과 개선안 : 서울대학교 수강 신청 시스템을 중심으로

        최지윤(JiyooN Choi),이중식(Joongseek Lee) 한국HCI학회 201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

        대학의 강의들은 일련의 체계를 가지고 모여 교과 과정을 형성한다. 학교는 교과과정을 이상적으로 설계하지만 학생들은 현실적인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강의를 소비한다. 학교와 학생 모두 강의 정보와 수강신청에 관련한 모든 행동이 온라인 시스템으로 전환된 이후 매우 편리해졌다. 하지만 학생들은 여전히 수강계획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학교 입장에서는 학생들이 학교가 제공하는 교과과정 체계를 따르지 않음에 따라 여러가지 행정, 교육적인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학생들이 실제로 어떻게 '강의 정보를 탐색하고 수강 신청을 하는지' 정보 행동 모델을 수립하고, 각 단계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개선하는 프로토타입을 제작, 다시 실제 사용자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 KCI등재

        도시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지자체PR 매체전략 연구

        최지윤(Jiyoon Choi),정윤재(Yunjae Cheo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3 No.2

        각 지자체는 도시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PR활동을 하고 있다. 실제 각 지자체는 TV, 신문, 라디오, 잡지, 옥외 전광판과 같은 매스미디어에 많은 재정을 투여하고 있으며, 그 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의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운영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자체의 미디어 PR활동이 수용자에게 얼마나 유효하며, 실제 어떠한 매체가 도시브랜드 가치 제고를 견인하는데 효과적인지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PR비와 같은 한정된 자원을 두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지자체PR 환경에서 매체 간 경쟁 및 보완관계를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적소분석을 이용하여 적소폭, 적소중복, 경쟁우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자체PR 매체별 수용자 충족 차원을 살펴보고, 각 차원을 충족시키는 매체를 파악함으로써 지자체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수용자 충족 차원에 따라 효과적인 매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결론 및 함의를 도출하였다. Each local government is conducting PR activities by utilizing various media to enhance the value of city brands. In fact, local governments spend a lot of money on mass media such as TV, newspapers, radio, magazines, and outdoor electronic boards, and other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Instagram, and YouTub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o look at how effective these local governments’media PR activities are for the users(citizens), and which media is actually effective in the city brand value enhance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niche breadth, niche overlap, and competitive advantage based on the niche theory that is effective in analyzing the competition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media in local PR environments that utilize various media for limited resources such as PR cost.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level of obtained gratification dimensions for each local PR medium, identify the medium that meets each gratification dimension, and draw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to select effective media according to the message that local governments want to deliver.

      • KCI등재

        애드테크(AD-Tech) 시대의 비콘(Beacon) 광고 수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최지윤(Choi, Jiyoon),정윤재(Cheong, Yunja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4

        시공간을 초월한 연결성을 핵심 가치로 하는 최근의 IoT 마케팅 환경 아래 본 연구는 사물 간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비콘 기술에 주목하여 수용자 관점에서 비콘 광고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지각된 혜택과 제약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발견된 요인들이 비콘 광고 수용 태도와 이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제 비콘 앱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산업군이 젊은층 뿐 아니라 장년층을 타깃으로 하는 사례가 점차 많아진다는 점을 참고하여 20∼50대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콘 광고의 지각된 혜택과 제약을 구성하는 요인들은 3개의 혜택 요인(정보 혜택, 쾌락 혜택, 금전 혜택)과 3개의 제약요인(학습 제약, 관계 제약, 안전 제약)으로 나타났다. 그중 정보 혜택, 쾌락 혜택, 금전 혜택과 관계 제약은 비콘 광고 수용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습 제약과 안전제약이 비콘 광고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한편 비콘 광고 수용태도가 호의적일수록 비콘 광고 이용 의도 또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실무적, 학술적 함의는 결론 및 논의 부분에 서술하였다. Following recent marketing environment regarding connectivity over time and space as critical core value, this study focuses on Beacon technology that facilitates connectivity among objects and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whether to accept Beacon advertising or not to,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dience in terms of perceived benefits and constraints.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how those factors affect accepting attitude of Beacon Advertising and intention to use. it. Actually, as the industrial groups which use Beacon App for their marketing target more and more older as well as the young,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mart phone users in 20s to 50s. As a result, the factors composing of perceived benefits and constraints of Beacon advertising turned out three beneficial factors (informative benefit, pleasant benefit, monetary benefit) and three constraints (study constraint, relation constraint, safety constraint). Among them, informative benefit, pleasant benefit, monetary benefit, and relation constraint turned out they affect Beacon advertising-accepting attitude significantly.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study constraint and safety constraint on Beacon advertising attitude was not significant. Besides, as Beacon advertising accepting attitude gets more favorable, the dependence on Beacon advertising use gets stronger. The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escribed in the conclusion and discussion.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최지윤(JiYoon Choi),채진영(JinYoung Chae)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2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른 성인애착 수준과 자기자비 수준의 차이와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 현재 담임 또는 부담임으로 근무하는 4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PSS version 25.0 프로그램을이용하여 기술통계와 빈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é의 사후분석 및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Amos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과업중심, 정서중심, 회피중심)에 따라 성인애착 수준과 자기자비 수준의 차이는 각각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과업중심과 회피중심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영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은 자기자비에 각각 유의미한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업중심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속하는 영유아교사의집단이 회피중심 스트레스 대처를 하는 집단에 비해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유아교사의 안정적인 성인애착 형성은 자기자비 수준을 높이고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 중 과업중심 대처는 이러한 영향을 강화시켜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adult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l eve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stress coping style,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 t on self-compassion, and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self-compassion in early c 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stress coping styl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90 early c hildhood teachers who had been working as homeroom teachers or assistant teachers at daycare cen ters and kindergartens in Korea.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with descriptive s tatistic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Scheffé's post hoc test, and the Pearson product-mo ment correlation coefficient.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 e performed using the AMOS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iff erence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level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ignific 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ir stress coping styles, including task-oriented, emotion-o riented, and avoidance-oriented styles. Adult attachment leve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 tion-, task-, and avoidance-oriented styles. Self-compassion level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 in all three types. Second, the adult attachment levels of the survey participants with task- and a voidance-oriented coping sty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compass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dult attachment on self-compass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stress coping style; the adult attachment of the group with a task-orien ted coping style had a greater effect on self-compassion than that with an avoidance-oriented copin g style. This implies that the formation of stable adult attachment in early childhood teachers increa ses self-compassion levels and that task-oriented coping style further enhances such an effect.

      • KCI등재
      • KCI등재

        비대면 시대의 스포츠 실감형 콘텐츠 시청 동기요인에 관한 연구 :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시청동기를 중심으로

        최지윤(Jiyoon Choi),정윤재(Yunjae Cheo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22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4 No.4

        실감형 콘텐츠 시장은 국내의 경우 2023년까지 약 72조 2천억원, 해외의 경우 약 2,692억 달러로 성장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비대면 환경에서의 산업활성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스포츠 분야는 코로나로 인한 스포츠 경기 직접관람의 제한으로, VR, AR, 메타버스 기술 등이 접목된 실감형 콘텐츠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스포츠 실감형 콘텐츠 시장은 직접 경기를 관람하는 데 제약이 생긴 소비자에게 새로운 시청 만족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실감형 콘텐츠 시청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 620명을 대상으로 2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스포츠 실감형 콘텐츠 시청 동기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추출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분야의 문헌고찰, 전문가 인터뷰, 두 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두 가지 차원(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시청동기 총 19개 문항, 5개 요인(정보성, 몰입감, 능동성, 사회적 상호성, 사회적 실재감)을 도출하였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스포츠 실감형 콘텐츠 시청 동기요인을 바탕으로 스포츠 콘텐츠 산업분야의 학술적,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realistic contents market is expected to grow rapidly by 2023 to about 72.2 trillion won in South Korea and about 269.2 billion dollars in the world. Amid the need to revitalize the industry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due to the prolonged Corona, the sports sector is particularly restricting direct viewing of sports events due to Corona, and the market for realistic contents incorporating VR, AR, and Metabus technologies is revitalizing. Accordingly, the sports realistic contents market is providing new viewing satisfaction to consumers who are restricted from watching the game in person. Therefore, in this study, 620 adults men and women who have experience watching sports realistic contents or are willing to watch it were surveyed twice to examine the motivation factors for watching sports realistic contents and extract scales to measure them. In order to do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in related fields, expert interviews, and two survey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19 questions and 5 factors (information, immersion, activity, social reciprocity, and social presence) were derived from two dimensions (personal and social dimension) that secured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ports content industr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motivational factors for watching sports realistic content at the personal and social level derived from this study.

      • KCI등재

        크로스모델 광고전략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최지윤(Choi, Jiyoon),정윤재(Cheong, Yunja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3

        ‘크로스모델 광고전략’이란 여성제품을 남성모델이, 남성제품을 여성모델이 광고하는 것으로, 동성모델이 광고에 등장해 제품 구입을 유도하던 기존 전략에서 벗어나, 이성 모델의 기용을 통해 감성을 자극하는 광고 전략을 말한다. 최근 여성 속옷 브랜드에 남성 모델(비비안-소지섭)이 등장하고, 여성 화장품 브랜드에 남성모델(더바디샵-현빈)이 등장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남성 면도기 브랜드에 여성 모델(질레트-유인나)이 등장 하는 등 크로스모델 광고전략은 점점 활성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크로스모델 광고전략의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이를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과 연결지어 광고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지금까지 이루어진 연구는 남성제품을 제외한 여성제품으로만 한정하여 크로스모델 광고 전략 효과를 살펴본 연구가 주를 이루어왔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로스모델 광고전략이 활발한 화장품을 실험제품군으로 하여 남성화장품과 여성화장품 광고에서의 크로스모델 광고전략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심적 소유방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사용과정/사용결과 중심 시뮬레이션에 따라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크로스모델 광고전략의 광고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가상 브랜드네임과 광고모델을 선정하고, 프라이밍을 위한 자극으로는 심적 시뮬레이션 표상방식을 통해 사용과정/사용결과 시뮬레이션용 가상 신문 기사를 각각 구성하였다. 이후 본조사는 약 400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제품성별(남성화장품/여성화장품), 모델성별(남성모델/여성모델), 심적 소유방식(사용과정/사용결과)의 2X2X2 요인설계를 통해 실험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여성화장품 광고에서는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에 대해 심적소유방식과 모델성별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반면, 남성화장품 광고에서는 광고태도, 제품태도, 구매의도에 대하여 심적 소유방식과 모델성별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남성화장품 광고에서 결과 시뮬레이션의 경우, 여성모델로 인한 광고효과가 큰 반면, 과정 시뮬레이션의 경우, 남성모델로 인한 광고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Cross-model advertising strategy is the use of male models to advertise in women’s products, and female models to advertise in men’s products. It is a new advertising strategy which simulates the consumer’s emotional sensitivity to models who are the opposite sex, in contrast to the formal way, appealing to a consumer’s desire to imitate a model who is the same sex. This study start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cross-model advertising strategy, focusing on psychological possession. The psychological possession produces different results from focusing on usage-process or usage-outcome.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to examine which strategy has more positive cross-model advertising effects?in men’s products or women’s product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the 12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Obvious differences appeared with cosmetic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onsumers to whom the cosmetics were marketed. In the case of advertising in men’s cosmetics, an interaction between the sex of the models and the psychological possession appeared for all of the advertising effects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process?focused simulation, male models were more effective than female models in men’s products. In the case of outcome-focused simulation, female models were more effective than male models. In contrast, in the case of advertising in women’s cosmetics, the direction of the hypotheses partially matched up with attitude toward advertising, but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concluded to be non-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result of interaction between the models’ sex and the psychological possession for all advertising effects in women’s cosmetics advertising, the hypotheses were not supported. Also, in the case of the result of interaction between the models’ sex and the psychological possession for all advertising effects in women’s cosmetics advertising, the hypotheses were not supported. In conclusion, the study is meaningful as is an in-depth study to analyze advertising effects using psychological variance and to reflect the newest advertising trend.

      • KCI등재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씨유의 저장 중 품질특성

        최지윤 ( Jiyoon Choi ),정윤서 ( Yunseo Jung ),조인희 ( In Hee Cho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21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7 No.5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omija seed oil (OO) with that of commercial corn (CO) and grape seed (GO) oil during storage. Methods: The color and peroxide value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ree oils were compared according to storage periods (0, 7, 14, and 28 days). Results: The OO was brighter and darker yellow compared to the two commercial oils. During storage, the L* and a* values decreased gradually in all three oils, while the b* value increased. The relative peroxide value increased in the early stage of storage and then decreased in both commercial oils, while the peroxide value of OO increased slightly up to the 21<sup>st</sup> day of storage and then decreased. In compariso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OO and GO were lower than that of CO. Howev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two commercial oils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while that of OO increased gradually up to 21 days of storage and then decreased. Thirteen fatty acids were profiled by GC-MS and their changes were evaluated during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ratio of palmitic acid to linoleic acid (P/L) in three oils during storage, but the P/L of O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 and GO. Conclusion: OO remained stable during storage, and can therefore be considered for commercial application is expected.

      • KCI등재

        비영리기관 광고 매체의 경쟁 · 보완 관계에 대한 연구

        최지윤(Choi, Jiyoon),정윤재(Cheong, Yunja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8 No.3

        본 연구는 수용자들이 비영리기관(국제구호개발 NGO)의 광고에 대해 4개 매체(TV, 인쇄, 인터넷, 대인)별로 5가지 충족 차원(광고 호감, 조직 호감, 조직 신뢰, 사회 충족, 후원 의도)에 대해 어떠한 충족을 느끼는지, 그리고 각 충족 차원별 매체 간 경쟁과 보완 관계는 어떠한지를 적소 폭, 적소 중복, 경쟁 우위 개념을 통해 분석하였다. 우선 적소 폭연구 결과, TV는 모든 차원에서 가장 넓은 적소 폭을 나타낸 반면, 인터넷은 전 차원에서 가장 좁은 적소 폭을 나타냈다. 적소 중복 분석 결과, TV와 인쇄 매체는 광고 호감, 조직 신뢰, 후원 의도 차원에서 높은 적소 중복을 보였으며, 인쇄와 인터넷 매체는 조직 호감, 사회 충족 차원에서, 인쇄와 대인 매체는 후원 의도 차원에서 높은 적소 중복을 보여 각 매체 간 경쟁 관계임을 나타냈다. 반면, TV와 인터넷은 전 차원에서 낮은 적소 중복을 보여 보완 관계임을 나타냈다. 경쟁 우위 분석 결과, TV는 전 차원에 있어서 모든 매체에 대해 경쟁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인쇄 매체는 전 차원에 있어서 인터넷보다 경쟁 우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대인 매체는 광고 호감을 제외한 4가지 차원에 대해서 인터넷 매체보다 경쟁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결론에서 다양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what gratification audience felt about 5 gratification dimensions (advertising liking, organization liking, organization reliability, society gratification and donation intention) according to 4 types of media (TV, print, internet and interpersonal) for advertisement of non-profit organization (international relief and development NGO) and how it went with competitive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media types according to each gratification dimension through niche breadth, niche overlap and competitive superiority concept. First of all, in the results of study on niche breadth, TV showed the widest breadth in all dimensions. On the other hand, internet showed the narrowest breadth in all dimension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iche overlap, TV and print media showed high niche overlap in advertising liking, organization reliability and donation intention dimension. And print and internet media showed high niche overlap in organization liking and society gratification dimension, and print and interpersonal media showed high niche overlap in donation intention dimention. So,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respective media types. On the other hand, TV and internet showed low niche overlap. So,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mpetitive superiority, TV had competitive superiority over all media in all dimensions. And print media had competitive superiority over internet in all dimensions. Besides, it was shown that interpersonal media had competitive superiority over internet media in 4 dimensions except advertising liking. Besides that,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study, variou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청소년의 자극추구성향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감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지윤(Choi, JiYoon),임정하(Lim, JungHa)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급에 따른 자극추구성향, 부모감독, 위험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자극추구성향과 위험행동의 관계에서 부모감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8개 중․고등학교의 재학생 4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극추구성향은 고등학생들이 중학생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감독은 중학생들이 고등학생들보다 더 높게 지각하였다. 위험행동을 하는 정도는 평균적으로 고등학생들이 중학생들보다 더 높았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중학생들의 경우 부모감독의 수준에 따라 자극추구성향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가 자신의 일상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할수록 자극추구성향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악영향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등학생들의 경우 부모감독에 대한 지각이 자극추구성향과 위험행동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하였다. 다시 말해, 고등학생들의 자극추구성향이 높을수록 위험행동을 더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감독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위험행동의 빈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등학생들의 자극추구성향과 위험행동의 관계가 부모감독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오늘날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청소년의 위험행동과 관련하여 자극추구성향과 부모감독이 갖는 중요성을 밝혔으며, 청소년의 위험행동에 대한 보호요인이 자녀의 학교급에 따라 다르게 작용한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청소년기 자녀의 발달과정에 따라 적절한 개입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study aim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in the relation between sensation seeking, and risk-taking behavior among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471 adolescent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came from eight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eas. Student-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sensation seeking, parental monitoring and risk-taking behaviors. The major findings were as the follows: First, on average, the high school students reported a greater level of sensation seeking and more frequent risk-taking behaviors compared to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nversely, middle school students reported a higher level of parental monitoring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Second, parental monitoring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ensation seeking and risk-taking behavior amongst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were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and risk-tak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These finding suggests that close parental monitoring could contribute to preventing risk-taking behavior amongst adolescent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