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이도 악성 종양의 경과

        최재훈(Jaehoon Choi),민경원(Kyung Won Minn),장학(Hak Chang) 대한두개저학회 2010 대한두개저학회지 Vol.5 No.2

        Cancer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s infrequent, with an incidence of approximately 1 to 6 per million populations per year, but ominous aggressive tumor with a poor prognos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skull base tumor, proposed by Irish et al., the cancer is region Ⅲ, which arise within or around the temporal bone and extend intracranially into the posterior fossa or middle cranial fossa. The surgical treatments varied from local canal to total temporal bone resection for en bloc removal of the tumor. Radiotherapy was used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surgery. But the managements lack uniformity, largely due to the rarity of the disease, the demanding extirpative surgery and the lack of a universally accepted staging system. The important anatomic structures around the temporal bone have precluded global clearance of radical surgery, which has been associated with considerable morbidity and mortality in patients who are often old and frail. Also, in many series there were insufficient times of follow-up to permit a valid assessment of results. Therefore, in spite of the small number of cases the authors’experience might be helpful for determining the treatment modality for cancer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집합행동의 개인화와 사회운동 레퍼토리의 변화

        최재훈(Choi, Jaehoon)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3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에 등장한 새로운 사회운동 레퍼토리들을 살펴보고 그 사회적·문화적 의미를 찾아본다. 정치 영역에서 87년 체제의 종언과 새로운 체제로의 이행이 논의되는 현 시기에 사회운동 영역에서도 조직동원적, 물리적 충돌로 대표되는 30년 전의 운동 레퍼토리와는 명확하게 대비되는 개방참여적, 평화적 시위가 주류 레퍼토리로 활용되고 있다는 사실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사회운동 레퍼토리는 시대적 상황과 조건에 따라 변화하며, 사회 구조적 변화의 결과인 동시에 문화적 변동의 표상이다. 촛불집회, 세월호의 노란리본과 가만히 있으라 운동,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와 희망버스 등은 모두 친숙하지만 새로운 맥락에서 다른 의미를 획득한 상징들과 효과적인 레퍼토리의 결합을 통해 우리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킨 집합행동의 방식들이다. 이들 레퍼토리는 또한 인터넷을 매개로 형성되거나 확산되는 최근 사회운동의 특징적 양상을 공유하고 있으며, 결국 집합행동의 개인화라는 현재 사회운동의 경향성과 맥을 같이 한다. 개인화된 미디어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참여자들은 조직적 동원보다 자발적인 개인 참여를 선호하며, 스스로 참여의 동기를 찾고 운동의 주체가 되기를 원한다. 그러나 온라인을 매개로 한 개인화된 집합행동은 동원에는 성공적인 반면, 조직적인 차원의 어려움과 인터넷 자체의 한계로 인해 실질적 성과를 거두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유연함과 창의성을 갖춘 오프라인 시민운동단체와의 유기적 연계가 필요하며, 적절한 상징과 효과적인 레퍼토리는 바로 이들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 가장 성공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some newly emerged repertoires of social movement in the recent Korean society, and finds their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Considering that the end of ‘87 regime and the transition to a new regime is discussed in the political realm, it is not a coincidence that open participatory and peaceful repertoires of social movement became main stream instead of organization mobilized and violent ways of protest in those thirty years. The repertoires of social movement have changed over the time and conditions. They are the result of socio-structural change and also the symbol of cultural shift. Candlelight demonstrations, yellow ribbon and the ‘stay still’ protest for Sewol Ferry disaster. annyongdul hashimnika posters, and the ‘buses for hope’ are all the new ways of collective action that invited big resonance to Korean society in recent years through the symbols and repertoires which are familiar but creative at the same time. They also share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recent social movements that are formed or spread through the Internet, and, consequently, are consistent with the tendency of the personalization of collective action. Through personalized media and online networks, individual participants prefer voluntary personal engagement rather than organized mobilization, try to find self-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want to become the subject of their actions. While personalized collective action through online is successful in mobiliz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hieve substantial results because of the organizational difficulti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Internet itself.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link with offline civil movement groups with flexibility and creativity. And appropriate symbols and effective repertoires can be the most successful mediators that narrow the gap between the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두개저 종양 절제술 후 유리 피판술을 이용한 재건

        최재훈(Jaehoon Choi),민경원(Kyung Won Minn),장학(Hak Chang) 대한두개저학회 2010 대한두개저학회지 Vol.5 No.1

        In the past, cranial base reconstruction after tumor ablation involved prostheses or local and pedicled flaps, often creating a functionally unappealing outcome. The complications that arose in the case of reconstructive failure were the potentially life-threatening, and a failed reconstruction deferred the initiation of adjuvant therapy such as a radiation therapy. With the advent of microvascular surgical techniques, free flaps have become an attractive alternative in the reconstruction of cranial base defects. Free flaps were highly vascularized and, thus, could be used in an irradiated site or in patients who planned to receive adjuvant therapy. The vascularity of free flaps enhanced the potential for delivery of chemotherapeutic agents to the resected area. Furthermore, its large size and freedom for insetting facilitated obliteration of dead space and separation of the oropharynx from the meninges. Compared with local or pedicled flaps, free flaps were more successful and were associated with fewer complications. In conclusion, free flaps were safe and effective in skull base reconstruction and provided an opportunity for wide surgical excision of dura and skull base structures to obtain tumor-free margi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CEO의 부정적 성격 특성이 CSR에 미치는 영향 : 동적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재훈(Jaehoon Choi),박종혜(Jong Hye Park),명재규(Jae Kyu Myung) 한국윤리경영학회 2021 윤리경영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CEO의 성격 특성(특히, 부정적 성격특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동적역량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CEO의 부정적 성격 특성이 CSR 활동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동적역량이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CEO의 마키아벨리즘과 사이코패스 성향의 경우 기업의 CSR 활동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CEO의 부정적 성격 특성이 동적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CEO의 성격이 마키아벨리즘과 사이코패스인 경우 동적역량에는 부정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동적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마키아벨리즘 및 사이코패스 성향의 경우 환경과 사회에 대한 CSR 활동성과에 완전 매개 효과가 존재한다. 반면, 조직구성원에 대한 CSR 활동성과에는 부분 매개 효과가 존재한다. 이처럼 CEO의 성격이나 특성과 같은 개인 수준의 변수가 기업의 경영전략 수립 시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CEO의 심리적 특성이 기업의 CSR 활동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하였다. CEO의 부정적인 성격특성은 기업의 경제적・재무적 경영성과만이 아니라 기업 내부 및 외부의 이해관계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급변하는 환경 변화 속에서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해 경쟁우위 및 가치창출을 확보하도록 CEO의 자질 보유 측면에서 CEO의 다양한 성격 및 특성에 대해 향후 다양하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 하다. This study documents the influence of CEOs with negative personality trait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performance and demonst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dynamic capabilities. It aims to analyze CEO personality traits (especially negative traits) through a focus on companies’ CSR activity performance and dynamic capacities. We argue that negative CEO traits ultimately influence CSR activities by means of the mediating effect of dynamic capabilities. The results show that CEO machiavellianism and psychopathy negatively affect CSR performance, and that there i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y the company’s dynamic capabilities on CSR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environment and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artial effects on the CSR activities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Despite the perception that individual-level variables such as a CEO’s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are the most critical factors to be considered in a company’s business strategy, studies on how CEO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 CSR performance have been somewhat lacking. A CEO’s personality traits affect their company’s economic and 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amidst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in the face of pressure from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s. Therefore, various in-depth studies on CEO personality traits are critical, so that companies can in future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and enhance value creation through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