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슈타이너의 색채 인식에 관한 고찰

        최재석(JaeSuk Choi)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1

        슈타이너는 괴테 사후에, 괴테 전집을 정리하면서 그의 영향을 받았고, 괴테의 색채론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색채세계의 고찰」(1897)이라는 논문을 발표한다. 괴테는 뉴턴의 “빛 안에 색채가 있어, 이를 프리즘을 통하여 분리하면 색채가 생성된다”라는 기계론적 색채론에 반기를 들었는데, 슈타이너도 괴테의 이념에 공감한다. 뉴턴의 색채론과 달리, 괴테의 “색채는 눈이라고 하는 감각에 대한 자연의 규칙적인 현상이다”라는 주장은 색채를 빛과 어둠의 경계, 물체와 공간의 작용에 의한 눈의 현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슈타이너는 괴테의 색채론에 바탕을 두면서, 색채를 보다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 즉 인간의 초감각적 인식을 통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여기서 초감각적 인식이란 물리적 육체로서의 인간이 감각을 넘어 혼이나 영적 세계에서 인식되는 것을 말한다. 뉴턴의 물리적 색채론이나 괴테의 감각적 색채론을 넘어, “인간을 물리적인 것에서 끌어올려 영적인 것에 이르게 하는 것도 색채이다”라는 슈타이너의 초감각적 색채 인식, 즉 ‘혼적 색채론’은 지금까지의 색채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다른 접근이다. 슈타이너는 대상의 감각으로부터 자유로운 사고, 즉 초감각성으로 발전되어야 자연물의 내면에 가려진 색채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슈타이너가 논하는 초감각적 구성요소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소 하나하나가 갖는 의미와 이로 인한 색채 현상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한다. 이을 위해 슈타이너 학문의 근간을 이루는 인지학의 형성 배경과 의미,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전개된 인간 본질에 대한 인식단계에서 발생한 초감각적 구성요소-몸, 에테르체, 아스탈체, 자아-를 분석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색채로 인식되는 현상들을 살펴본다. 특히, 슈타이너가 고유한 색채와 상(像)으로서의 색채 현상에 관심을 갖는 것에 주목하고, 이를 추적함으로써 슈타이너의 색채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Rudolf Steiner"s world of mind is processed through the philosophy of Kant and bases on the natural philosophy of Goethe. In particular, after the death of Goethe, Steiner had no choice but to be influenced by Goethe while he was organizing the complete works of Goethe. Despite these influences, Steiner constructed his independent anthroposophie. Generally, anthroposophie is a study which sets the observation of natural objects as the primary target, and understands the human essence physical stature as a physical body, the spirit as the heart, and the spirit as the mind. The existence methods possessed by these basic elements are dealt with from the aspect of human awareness. Therefore, understanding Steiner"s anthroposophie is the basis of analyzing the occurrence of his colors. The understanding about human essence becomes the background in which interests arise about questions such as ‘what is the nature of colors and how are they recognized?’. Steiner states that the phenomenon hidden behind the internal aspect of the natural object can only be identified if it develops from the senses of the subjects into liberal thinking, pretersensual in other words. The nature of colors discussed by Steiner is claimed as the result displayed by lustre elements being recognized as the consolidated affect of internal substance displayed in the surface of the external target. Especially, Steiner discussed colors by classifying them as image colors and lustre colors. Here, focus is given to the occurrence of lustre colo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formational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anthroposophie which forms the foundation of Steiner"s learning, and it also examines the human awareness stages which unfold according to this. Interests are given to image colors and lustre colors which occur during these stages, and detecting this to approach the occurrence of Steiner"s colors will be set a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 KCI등재

        칸트의『판단력비판』에 있어서「색채」개념에 관한 연구

        최재석(Choi jaesuk)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2

        본 연구는 칸트의 『판단력비판』의 다양한 개념 중에서,「색채」의 미감적 인식에 대한 고찰이다.『판단력비판』에서「색채」개념은 여러 곳에서 도입되어 적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판단력비판』의주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본질적인 미감적 판단의 개념으로 위치지어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판단력비판』에서「색채」개념은 어떤 대상을 표상하는 보완적인 위치에 있거나, 다양한 미감적 경험을 유발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개념을 유추내지는 상징화하거나, 어떤 대상에 대한 보편적 의미를 갖게 하고, 더불어 어떤 감각을 공통적으로 전달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접근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색채」개념은 아름다운 것에 대한 미감적 판단의 규정 근거에서, 칸트는 의도적으로 배제시켰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배제에도 불구하고, 칸트는 감각적 질료로서 「색채」가 회화의 한 분야로서 인정받기위해서는 일정한 형식이 요구되고, 이러한 조건에 충족되었을 때에만, 색채는 미감적 개념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판단력비판』에서의 「색채」개념을 고찰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고찰의 첫 단계로, 『판단력비판』이전의 『순수이성비판』에서 「색채」개념은 어떠한 의미로서 도입되고, 표상되었는지를 우선 검토한다. 여기서 볼 수 있는 「색채」의 감각적 성질이, 『판단력비판』에서는 어떠한 의미로 이행되고, 미감적 경험을 유발시키는 다의적 의미로 전환, 확장되었는지 고찰한다. 이러한 의지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판단력비판』이전의『순수이성비판』에서 「색채」는 형식보다는 질료라는 감각적 성질로 인식되었으나, 『판단력비판』에서의 「색채」개념 - 신체감각으로서의 색채, 다양을 종합화하는 역할로서의 색채, 보편적 전달가능성으로서의 색채, 공통감각으로서의 색채, 지적 관심으로서의 색채, 그리고 다양성의 통일을 근거로 하는 합목적적으로서의 색채 등 - 은 다양하게 전개됨을 고려할 때, ‘다의적(多義的)이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discussion on the aesthetic perception of color among various concepts in Kant’s Critique of Judgment(1790). Concept ‘color’ is introduced and applied in many parts of Critique of Judgment, but deviating from the mainstream concepts of Critique of Judgment it is not positioned as a concept of essential aesthetic judgment. In Critique of Judgment, however, concept ‘color’ is in a complementary position representing some objects or plays a major role. For example, the concept is used in various ways to infer or symbolize another concept, to give a universal meaning to an object, or to make some sense commonly communicable. Despite these attempts, however, Kant excludes concept ‘color’ deliberately from the ground for aesthetic judgment of beautiful things. Although it is excluded, Kant asserts that a certain form is required in order for color as a sensuous matter to be accepted as an area of paintings and only when such a requirement is satisfied color can be recognized as an aesthetic concept. Starting from this perception, this study aimed to discuss concept ‘color’ in Critique of Judgment, and as the first step of the discussion, we examine what meanings concept ‘color’ was introduced and represented as in Critique of Pure Reason(1781) prior to Critique of Judgment. In this process, we consider what meanings the sensuous nature of color was translated to and what polysemous meanings inducing aesthetic experiences it was converted and expanded to. And from the result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In Critique of Pure Reason prior to Critique of Judgment, color was perceived sensuously more as a matter than as a form, but in Critique of Judgment, it was ‘polysemous’ considering the various meanings of concept ‘color’ including color as a body sense, color as a role of integrating diversity, color as universal communicability, color as common sense, color as an intellectual interest, and color as purposiveness based on the unification of diversity.

      • KCI등재

        쇼펜하우어의 색채사상에 관한 고찰

        최재석(Choi, JaeSuk) 한국색채학회 2017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1 No.1

        Although Arthur Schopenhauer (1788-1860) had presented his thesis on the colors called "On Vision and Colors" (Über das Sehn und die Farben) (1816), it is not well-known. The background behind Schopenhauer"s having an interest in the colors lies in his meeting with Goethe. Especially, Schopenhauer shows his doctoral thesis "On the Fourfold Root of the 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 (Über die vierfache Wurzel des Satzes vom zureichenden Grunde) (1813) to Goethe. And Goethe recommends to Schopenhauer that he reads "The Theory of the Colors" (Zur Faebenlehre) (1810). And Schopenhauer gets around to writing his thesis on the colors. "On Vision and Colors", which is Schopenhauer"s thesis on the colors was published in between his doctoral thesis and his main book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 (Die Welt als Wille und Voestellung) (1819). To that extent, with regard to Schopenhauer, by going beyond the ideology of the colors of Goethe, the interest in "How are the colors created?" had developed to become an opportunity for finding the clues for "an interpretation of the existence of the world". Regarding this, in "On the Will in Nature" (Über den Willen in der Natur) (1836), which was written by Schopenhauer during his latter years, and in the second edition of his doctoral thesis, too, the problem of the colors was appealed strongly.Thus, although, when it comes to the colors, Goethe"s influences are big, Schopenhauer wanted to go beyond the simple problem of the experiential representation and intended to discuss the phenomenon of the colors by pulling in the a priori knowledge (Referring to "the transcendental will") of Kant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will of the body or, in others words, the will of the thing-in-itself (Here, the will regarding the retinal activities of the eyes), which Schopenhauer intended to discuss. Accordingly, by having an interest in the color ideology of Schopenhauer which has not become well-known in Korea yet and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the colors appearing in Schopenhauer"s thesis on the colors "On Vision and Colors", his doctoral thesis, and his main books "The World as Will and Representation" and "On the Will in Nature", this thesis intends to discuss the ideology of the colors of Schopenhauer. I have the regret that I developed this thesis without clearly and definitely disclosing the concept of "the retinal activities" which appears frequently in Schopenhauer"s thesis on the colors "On Vision and Colors". As the interpretations of "the retinal activities" (Or, in other words, the functions and the operations of the retina) have a lot of the medical and scientific aspects, the specific approaches regarding this are necessary.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색채언어에 관한 고찰

        최재석(JaeSuk Choi)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4

        현대철학의 주요한 특징은 언어를 철학의 주요한 과제로 삼았다는 점이다. 언어철학은 언어와 사실의 관계를 다루는 것으로, 언어가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를 통하여 그 의미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철학적 접근을 시도한 인물이 바로 철학자이자 언어학자인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1889-1951)이다.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언어와 사실의 세계가 일치하는 것, 즉 ‘언어로 세계의 사실들을 표현하는 것’(여기서 언어는 사실 세계를 표현하는 도구로서 기능한다)이 그 하나이다. 두 번째는 언어가 갖는 의미가 다양하므로, 이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가 사용되는 문맥 안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를 논하는 것, 즉 ‘언어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단계적으로 보면, 초기의 논문 『논리철학논고』(1921)에서는 언어와 사실의 관계를 가장 단순하게 표현한 문장, 즉 단순명제를 언어의 ‘그림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후기의 논문 『철학적 탐구』(1953)에서는 언어와 사실의 세계가 서로 일치한다는 언어의 그림이론을 수정하여, 하나의 언어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의미를 갖는 언어의 ‘놀이 이론’(‘언어의 게임이론’으로도 표현하고 있음)으로 전개하였다. 초기의 『논리철학논고』의 그림이론이나 후기의 『철학적 탐구』의 놀이이론에 자주 등장하는 것이 ‘색채언어’였고, 초기 이론에서 후기 이론으로 전환하게 만든 것도 역시 색채언어였다. 그만큼 비트겐슈타인 철학에서 색채언어는 논리적 전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말년에 그는 초기와 후기의 이론에서 탈피하여 색채언어 자체에 머무르지 않고 색채의 현상학적 인식에도 관심을 가졌다. 비트겐슈타인의 이러한 변화에는 괴테의 『색채론』(1810)이 자리 잡고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암투병 중에도 괴테의 『색채론』을 탐독하고, 그 영향으로 『색채에 관한 고찰』(1977)이라는 철학논문을 발표한다. 즉,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철학을 정립하는데 있어 색채언어를 도입하고, 색채언어 인식으로 인하여 언어 사용에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초기의 논문을 수정하여 새로운 이론을 전개하게 만든 것 역시 색채언어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에서 색채언어가 어떻게 사용되고 수정되어 전개되었는지를 그의 논문과 그에 관한 연구논문을 통하여 조사 분석한다. The major characteristic of modern philosophy is that it regarded the language as a major assignment of philosophy. Linguistic philosophy deals with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e world or deals with how the language is used in daily life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the language. Wittgenstein(1889-1951), a linguist and a philosopher, is the one who tried this kind of philosophic approach. Linguistic philosophy of Wittgenstein falls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is the coincidence of language and the real world, expressing real world with the language (in this case, the language functions as a tool for expressing the facts world). And the second category is discussion of the us age of the language. As language have various meanings, It is discussion about how the language is used in the context,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nguage correctly. When looking at his philosophy by stages, in his early thesis,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1922), indicates the most simple sentence that exp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guage and the fact as ‘simple thesis’ and regards this sentence as the ‘picture theory’ of the language. But in his later thes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1953), he modifies this ‘picture thesis’ into the ‘play theory(also expressed as the ‘game theory of the language’, which indicates that one language could be used in various ways and has various meanings. Color Language frequently appeared both in his earlier picture theory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and in his later game theory in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nd Color Language was also a major term that changed earlier theory into the later. Color Language was a key point of Wittgenstein’s logical development. In his declining years, breaking out from his early and later theory which remained in Color Language itself, he paid attention to phenomenological issue of the ‘color’. Goethe’s ‘The Theory of Colors’(1810) is a major point in this transition of Wittgenstein. He pored over Goethe’s ‘The Theory of Color’, even when he suffered with cancer, writing a philosophic thesis ‘Remarks on color’(1977). Wittgenstein adopted Color Language to establish linguistic philosophy and discovered problem in the use of language due to recognition of Color Language. Therefore in this thesis researched and analyzed how Color Language was used, modified and developed in Wittgenstein’s linguistic philosophy by looking at theses of Wittgenstein and other theses of him.

      • 딥러닝 기반 Doppler Cardiogram Signal 압축 및 복원 방법에 사용된 네트워크 구조에 따른 성능 비교

        장영인(Young In Jang),권남규(Nam Kyu Kwon) 대한전자공학회 2021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6

        This paper proposes the signal compression and reconstruction performance of the deep learning networks using Doppler cardiogram(DCG) signals. Based on the variational autoencoder(VAE), multi-layer perceptron(ML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and long short-term memory(LSTM) networks are used to compress and reconstruct the DCG signals. The results of the compression and reconstruction are compared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such as mean square error (MSE) and compression ratio (CR).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of signal processing performance from this paper will be useful in selection of the deep learning network for the analysis of the heartbeat sig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