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urrent Status of Women Librarians in the Republic Korea

        최은주,Choe, Eun-Ju 한국도서관협회 1996 圖協會報 Vol.37 No.5

        본 연구는 한국 여성사서들의 전반적인 직업실태 및 직업관을 조사 분석함으로 여성사서들이 향후 한국 사서직의 전문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봄에 그 목적을 두었다. 조사 대상은 전국의 공공, 대학, 전문도서관의 정사서자격증을 소지한 여성사서들이며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 SPSS통계 팩케지에 의해 처리하였다. 여성사서들의 인구학적 특성 (연령별 분포; 결혼여부; 교육수준), 직업적 특성(관종별 분포; 직위; 재직연한; 업무지속성;전문직적 활동), 직업에 대한 태도(결혼후의 계속근무의사; 직업계속동기; 성차별요인; 직업만족도) 등이 분석되었으며 결론을 통하여 한국사서직의 전문성제고와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박사학위논문(1991) 내용의 일부를 발췌한 것으로 통계수치는 기존의 연구결과에 ‘한국도서관총계’(한국도서관협회, 1993)상의 수치를 반영한 것임.)

      • KCI등재

        조선인 위안부의 연애= 사랑을 둘러싼 정치 : 식민주의적/민족적 욕망의 미디어로서의 '위안부'

        최은주(Choe Eun Ju)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4

        본고는 전후일본의 대중문화의 장에서 위안부를 표상하는 방식이었던 위안부의 연애=사랑이라는 스토리 구조에 투영되는 일본 전중세대의 욕망의 양태를 명확히 하고, 이를 90년대 위안부 담론 이후의 한국의 소설 텍스트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위안부 여성과 일본군 병사의 연애를 둘러싼 정치의 양태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전후일본의 대중문화의 장에서 위안부 여성은 섹슈얼리티가 강조되는 형태로 전 일본군 병사와 연애/연정의 관계성 안에 위치된다. 여기에는 이민족간 연애라고 하는, 기본적으로 지배자인 남성 대 피지배자 여성의 젠더질서를 기반으로 하는 식민주의적 욕망의 양태가 투영되고 있다. 전쟁을 직접 경험한 일본의 전중세대 남성주체는 피식민지 출신 위안부의 육체와 사랑을 전면적으로 소유하고자 하는 남성적 욕망에 기초한 식민주의적 욕망의 시선에서 위안부를 그려왔던 것이다. 한편 1990년대 이후 위안부 문제가 담론화된 이래, 피해국 한국을 중심으로 발표되는 일련의 소설 속에서도 위안부의 연애는 스토리의 중심축이 되고 있다. 그러나 소설 속 연애는 결코 '민족'을 넘어서지 못한다. 위안부가 사랑한 일본군 병사는 실은 동족인 조선인 남성이다. 여기에 투영되는 것은 일본 전중세대의 식민주의적 욕망에 대치하는 민족적 남성주체의 욕망이다. 그러나 양자의 욕망은 당사자 여성을 배제하고 간과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같은 항에 속한다. 이처럼 위안부의 연애=사랑을 둘러싼 정치 안에서 다시금 타자화되는 위안부 여성의 존재는 현재의 위안부 담론이 가지는 한계와 연계된다. This paper is to clarify aspects of the desire of Japan's wartime generation that is projected on the structure of the story of comfort women of love was a method of representation the comfort women in the field of post-war Japan's popular culture, which since the 1990s of by comparing / analyzing the text of Korea novel, it is one that was discussed aspect of the politics surrounding the love of comfort women and the Japanese soldiers. Comfort women in the post-war Japanese popular culture, are arranged in a way that her sexuality is emphasized in the relationship of the Japanese soldiers and love. Here, that love between the different ethnic groups, the basic aspects of the gender order of men and women of the ruler is a ruler to base colonial desire exists. Male subject of Japan's wartime generation who experienced the war, has been portrayed comfort women from the line of sight of the colonial desire based on masculine desire to try to fully own the body and love of the colonial born comfort wome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1990s, since the comfort women issue is controversy of, love of comfort women in the text of a series of novel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South Korea has become a central axis of the story. However, love in the novel never exceed the "ethnic". Comfort women loved Japanese Army soldiers, actually is a Korean men are the same ethnic group. Here to have been projected, is a desire of the male subject of ethnic facing the colonial desire of Japan's wartime generation. However, both the desire is actually belong to essentially the same section in that it overlooked by eliminating the woman is a party. Thus in the political composition over the love of comfort women, the presence of the comfort women are others of again is associated with limit with the current comfort women issu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본군 위안부”와 “팡팡”: 전전과 전후의 위안부들 -GHQ의 검열과 대중적 욕망에 주목하여-

        최은주 ( Eun Ju Cho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2 No.-

        본고는 전후대중소설로서 ‘일본군 위안부’와 ‘팡팡’을 다루고 있는 다무라 다이지로의 소설 『춘부전』과 『육체의 문』을 둘러싼 GHQ의 검열방식과 더불어 이후 영화-리메이크 과정에 투영되는 대중적 욕망의 양태에 주목한 것이다. 전전의 ‘위안부’와 전후의 ‘팡팡’은 면밀한 관계성 위에 상정되며 일본의 전전과 전후의 연속성을 드러낸다. 소설 『춘부전』은 전중세대 남성작가의 남성적/식민주의적 욕망을 투영하여 위안부와 병사의 연애라는 스토리 구조 안에서 ‘팡팡’과의 연상 작용을 피하고자 하는 GHQ의 검열과정을 거쳐 위안부=매춘부가 되어 이후 같은 방식으로 표상되어 왔다. 반면, 소설 『육체의 문』은 전중세대 작가의 거세 컴플렉스와 미연합군 측의 검열방향이 서로 일치하여 미군의 존재가 비가시화된 이래, 몇 차례의 리메이크를 통해 그 스토리와 표상방식에 재구축의 시도가 이루어져 오고 있다. 이렇게 전전의 ‘위안부’와 전후의 ‘팡팡’이라는 기본적으로 동질항에 속하는 여성표상의 운명은 전후일본의 대중문화의 장에서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 전후의 전쟁을 둘러싼 기억구성으로서의 위안부가 은폐/왜곡되는데 기여한 상징적 신체인 ‘팡팡’에 투영되는 대중적 욕망의 양태로부터 오늘에 이르는 ‘위안부’를 둘러싼 왜곡의 역사적/사상적 배경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The focus in this paper is a novel dealing with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nd ‘panpan’, is the “body of the gate” and “Spring women Den”. Here censorship of GHQ over both novels, and I will focus on the desire of the masses. To the post-war ‘PanPan’ and the pre-war ‘comfort women’ have a deep relationship, pre-war and post-war continuity of Japan appears here. However, to try to avoid an associative action with the “Spring women Den” is the projection of the male/colonialist desire of wartime generation of male writers in the structure of the story that the comfort women and a soldier of love “PanPan” to GHQ since it becomes a comfort woman=prostitute through the censorship of, and has been representation in the same way. In contrast, the novel “body of the gate” is consistent censorship direction of desire and the US military side of the wartime generation of writers from each other, since the presence of US forces is non-visualization, through a number of times of remake, attempt of reconstruction have been made to the representation system and its story. The fate of such women representation belonging to basically homogeneous section called “PanPan” with the “comfort women” after the war before the war, in the field of postwar Japanese popular culture, would be to walk a different road. Distortion that over the “comfort women” leading to today from the comfort women is aspect of the masses specific desire to be projected onto the “PanPan” is a symbolic body that affected that are hidden / distortion as a storage configuration over the war historical / ideological background of would become appa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