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설의 ‘순수 윤리학’ 이해

        최우석 ( Choi¸ Woosok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31 No.1

        본 논문은 후설의 초기 윤리학으로 불리는 순수 윤리학을 고찰하고 그 의의를 드러내는 데에 목적을 둔다. 현상학을 창시한 후설은 비록 윤리에 대한 공식적인 출판물을 남기지 않았지만, 평생 동안 윤리 문제를 탐구하였다. 후설의 현상학이 현상의 보편적 이해를 추구하듯, 그의 윤리학은 보편적 윤리 수립을 지향한다. 이성에 따라 보편적인 형식판단이 도출되듯, 후설의 순수 윤리학은 가치판단 역시 이성에 따라 보편적으로 수립될 수 있다는 사실에서 기획된다. 순수 윤리학으로부터 제시되는 가치판단은 이성작용을 토대로 감정과 의지가 융합된 결과물이다. 이러한 가치판단은 객관적 형식성을 띠며 궁극적으로 최상의 보편형식으로서 정언명령을 형성하게 한다. 순수 윤리학은 질료적 차원의 보편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지만, 이념의 보편성이 형식적으로나마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후설은 이를 발판삼아 차후에 순수 윤리학의 가능성을 다른 방식으로 간구한다. 후설의 순수 윤리학은 이념의 규제적 기능을 선보임으로써 윤리 상대주의나 회의주의를 극복하는 학설로 이해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usserl’s Pure Ethics and reveal the significance of his ethics. Husserl, the founder of phenomenology, explored ethical issues throughout his life, although he did not leave any official publication on ethics. Just as Husserl’s phenomenology pursues a universal understanding of phenomena, his ethics also aims to establish universal ethics. The pure ethics proposed by Husserl is designed from the fact that just as objective formal judgment is derived according to reason, value judgment can also be established universally according to reason. Value judgment presented from pure ethics is the result of synthesizing of emotion and will be based on a rational act. This valuation takes on an objective formality and ultimately forms a categorical imperative as the best universal form. Pure ethics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specifically present the universality of the material level, but Husserl asks for its possibility in a different way, positively taking the fact that the universal ideal is possible formally. Husserl’s pure ethics can be understood as a theory that overcomes ethical relativism or skepticism by showing the regulative function of an ethical ideal.

      • KCI등재

        후설과 쇄신의 윤리 -『카이조』의 세 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최우석(Woosok Choi) 한국현상학회 202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91 No.-

        본 논문은 국내에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일본의 문예 월간지 『카이조』에 수록된 후설의 공식적인 논문 세 편의 중심내용을 밝히고, 그 내용으로부터 드러나는 의의를 살핀다. 이러한 작업은 후설 윤리학의 정합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원리로서 ‘쇄신’의 의미와 중요성을 드러낸다. 정적 분석에 입각하여 이성의 보편적 원리가 중심이 되는 후설의 전기 윤리이론은 쇄신이라는 실천적 원리를 통해 후설의 후기 윤리 이론과 조화를 이룬다. 개인의 비판적 태도와 책임성으로 논구되는 소명과 사랑의 후기 윤리 이론 역시 전기 윤리 이론과의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정합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통일적 체계를 이루고 있는 후설의 윤리학은 쇄신이라는 실천적 원리를 내세우며 인간의 윤리적 방향과 실천적 방법을 제시한다. This paper argues the central content of Husserls three official articles contained in the Japanese literary monthly magazine Kaizo. This work reveals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renewal’ as a principle that enables a coherent understanding of Husserl’s ethics. Based on the static phenomenological analysis, Husserls earlier ethical theory, centered on the universal principle of reason, harmonizes with his own later ethical theory through the practical principle of renewal. Husserl’s later ethical theory of vocation and love, which is discussed with the critical attitude and responsibility of the self, can also be understood coherently in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earlier ethical theory. Husserls ethics, which constitutes a unified system, suggests the ethical direction and practical method of human beings based on the practical principle of renewal.

      • KCI등재

        후설 윤리학으로 본 실러의 『미학 편지』

        최우석(Woosok Choi) 한국현상학회 201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4 No.-

        본 글의 목적은 후설의 윤리학적 관점에서 실러의 『미학편지』를 새롭게 분석해보는 데 있다. 윤리문제와 관계를 맺는 실러의 『미학편지』에서 드러난 논의는 후설의 윤리이론과 많은 점에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실제로 실러의 논의가 후설의 현상학적 윤리의 선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논문은 이를 논증하기 위해 실러와 후설의 다섯 가지 거시적 공통점을 우선적으로 밝힌다. 그 다음으로 후설의 생애의 윤리기획들이 실러의 『미학편지』 전개방식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선보일 것이며, 끝으로 본 글은 실러의 『미학편지』가 후설의 현상학적 윤리를 통해서 볼 때, 다음의 다섯 가지 의미(첫째, 이성과 감정의 조화를 중시, 둘째, 인격적 자기 수양을 강조, 셋째, 변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 넷째, 참된 교육을 지향, 다섯째, 보편성을 희구)를 내세운다는 사실을 논설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a proper interpretation for reading Friedrich Schiller’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which, I insist, can only be understood fully with Husserl’s phenomenological ethics. That Schiller’s theory of the aesthetic education is intertwined with moral problems indicates Schiller’s argument is similar to Husserl’s. In this point, his theory could be considered to be a forerunner of the phenomenology of ethics. To prove this argument, the paper attempts to examine what Husserl’s phenomenological ethics shows in Schiller’s writings. To this end, the thesis will present the five macroscopic common points between Schiller and Husserl. By virtue of these common points, I will discuss the similarity of ethical claims between Schiller and Husserl. Finally, the paper will reveal that true meaning of the claim in Schiller’s writings is identified in five ways connected with Husserl’s phenomenological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