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에 있어서 유사미소중력, 진동 및 저온처리에 의한 항산화 활성 변화

        최용상,정문웅,소웅영,한경식,여읍동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4 No.4

        유사미소중력, 진동 그리고 저온과 같은 물리적 스트래스하에서 4일간 자란 약용식물인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는 대조구에 비해 3.6%, 21% 그리고 8.7%의 생체중량의 감소를 보였다. 합성 항산화물질인 AA(ascorbic acid)와 BHA(beta-hydroxyacetic acid)는 비교적 약한 22%와 27%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유사미소중력하에서 스테비아의 DPPH(2,2-diphenyl-1-picryl hydrazal)의 음이온 소거효과는 대조구보다 지속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나, 진동과 저온처리의 처리효과는 급히 증가했다가 진동의 경우는 6시간 후에 감소되고 저온처리의 경우는 24시간 후에 대조구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유사미소중력하에서 SOD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147%, 진동과 저온처리는 각각 121%와 125%로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사미소중력스트레스는 다른 스트레스보다 스테비아의 항산화활성에 더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분명해졌다. A medicinal herb, Stevia rebaudiana Bertoni which is grown under physical stresses such as simulated microgravity, shaking, and low temperature for 4 days, showed fresh weight decrease of 3.6%, 21% and 8.7% compared with the respective control. On control plants, the radical scavenging value of DPPH represented 86% and 55%, respectively in the leaves and stems extracts. Relatively weak antioxidant activities of 22% and 27% were measured respectively in AA (ascorbic acid) and BHA (beta-hydroxyacetic acid) known as synthetic antioxidants.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DPPH (2,2-diphenyl-1-picryl hydazal) in stevia plants under a simulated microgravity was observed to be consistently higher relative to the control, whereas those effects of shaking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s rapidly increased and then reduced after 6 hours in case of shaking process and 24 hours in case of low temperature treatment, which results had similar levels of scavenging effects to the control. The plants under simulated microgravit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ctivity with the value of 147% and the shaking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s showed the increases of SOD activity by 121% and 125%,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larified that the simulated microgravity is more effective to the antioxidant activity than those of other abiotic stresses.

      • KCI등재

        기후는 이산화탄소 증가에 얼마나 민감한가?

        최용상 한국지구과학회 201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2 No.2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the corresponding national low-carbon policy should be grounded on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climate sensitivity to the increase in CO2 concentration. This is, however, precluded by the fact that current estimates of the climate sensitivity highly vary. To understand the scientific background, limitations, and prospects of the climate sensitivity study, this paper reviews, as objectively as possible, the most recent results on the sensitivity issue. Theoretically, the climate sensitivity hinges on climate feedbacks from various atmospheric and surface physical processes. Especially cloud and sea-ice processes associated with shortwave radiation are known to have largest uncertainty, resulting in an inaccurate estimation of climate sensitivity. For this reason, recent observational studies using satellite data suggest sensitivity lower than or similar to those estimated by climate models (2-5 K per doubled CO2). 국제기후변화협약 및 정부의 저탄소 정책은 기본적으로 과학이 제시한 이산화탄소 증가에 대한 기후민감도에근거해야 한다. 그러나 기후민감도의 추정치는 현재까지 연구 단위별로 차이가 커서, 이에 대한 과학적 배경, 한계, 전망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기후민감도에 대한 국내외 연구 결과를 객관적으로 종합하여 검토한다. 기후민감도를 결정하는 것은 대기와 지면의 각종 물리과정에 의한 기후피드백 작용이며, 이 중 특히 태양 단파복사량을 조절하는 구름, 해빙과 관련된 물리과정은 불확실성이 가장 커서, 부정확한 민감도 추정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최근 인공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기후민감도는 기후모델들이 갖는 범위(대기 중 이산화탄소 2배 증가당 지구평균기온 2-5 K 증가)에 들거나, 그보다 훨씬 작은 값을 갖는다.

      • 전지구적 기후변화: 그 원인 규명과 과학의 한계

        최용상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기후는 화산활동, 태양열, 지열, 엘니뇨나 극진동과 같은 자연 진동 등 다양한 지구 내외부의 원인에 의해 마치 생명체처럼 역동적으로 변화해왔다. 하지만 최근 반세기 만에 진행된 급격한 변화의 주범으로 이산화탄소, 메탄과 같은 온실기체를 꼽는다. 온실기체 농도가 2배가 될 때 증가하는 지구평균 표면 온도를 ‘기후민감도(Climate Sensitivity)’라고 하는데, 대부분의 컴퓨터 모델에서 기후민감도는 2-5도 사이 값으로 계산된다. 다시 말해 온실기체가 1900년의 2배에 도달할 것 할 것으로 예상되는 2100년의 온난화 상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기후민감도가 1도가 넘으면 기후가 온실기체에 매우 민감하다고 보기에, 이 컴퓨터 모델의 계산 값은 앞으로 많은 생태계 변화를 걱정할 만큼 큰 값이다. 기후민감도가 크면 급격한 기후변화에 대해 회복이 더디다. 반대로 기후민감도가 낮으면 기후변화가 그리 급격하지 않고,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후민감도를 파악하는 것은 기후변화를 이해하는 근간이 된다. 본 발표에서 이에 대한 과학적 배경, 한계, 전망을 고찰하겠다.

      • KCI등재

        민간기업을 위한 물리적 기후리스크 추정 연구

        최용상,유창현,공민정,조민정,정해수,이윤경,박선기,안명환,황재학,김성주 한국기상학회 2024 대기 Vol.34 No.1

        Private companies are increasingly required to take more substantial actions on climate change. This study introduces the principle and cases of climate (physical) risk estimation for 11 private companies in Korea. Climate risk is defined as the product of three major determinants: hazard, exposure, and vulnerability. Hazard is the intensity or frequency of weather phenomena that can cause disasters. Vulnerability can be reflected in the function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weather records and loss records. The final climate risk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function by the exposure, which is defined as the area or value of the target area exposed to the climate. Future climate risk is estimated by applying future exposure to estimated future hazard using climate model scenarios or statistical trends based on weather data. The estimated climate risks are develop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demand of private companies: i) climate risk for financial portfolio management, ii) climate risk for port logistics management, iii) climate risk for supply chain management.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limate risk management system in the Korean industrial sector as a whole.

      • Perspective of COMS Cloud Analysis Algorithm : High Semi-transparent and Multi-layer Clouds

        최용상,허창회,김영미 한국기상학회 2005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5 No.-

        11- 과 12-㎛를 이용한 복사 비율법은 반투명 구름의 운정온도와 고도산출에 적용될 수 있다. 알고리즘의 유효성은 CO₂ 채널을 보유한 MODIS와 같은 타 위성 자료와 같은 보다 정확한 산출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검증할 수 있다. MODIS 데이터를 이용한 알고리즘의 검증이 추가적으로 본 발표에서 이루어 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