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에듀테인먼트 활성화를 위한 대학생의 학과 선택요인 분석

        최연택(Yeon-Taek Choi),양현석(Hyun-Suk Yang),이형일(Hyung-IL Lee),임근옥(Kun-Ok L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3

        본 연구를 통해 첫째, 계열 특성에 따라 남녀의 성비 차이가 확연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들의 출신지역은 경기지역이 많았으며, 성격유형은 2번 조력가 유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은 보건계열이 예체능계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별 상관관계분석결과 계열에 대한 성별(.579, p=.001), 에니어그램성격유형(.185, p=.001), 진로결정수준(.212, p=.01) 순으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신지역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열(학과)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결과 성별(β=.566, p=.000), 에니어그램성격유형(β=.122, p=.037), 진로결정수준(β=.114, p=.050)순으로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신입생의 계열(학과)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결과 계열과 성별, 에니어그램성격유형, 진로결정수준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계열선택에도 이들 요인들이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을 선발하는 입시전략에 이들 요인을 적용한 정책반영이 필요하다. 더불어 학생 상담을 할 경우 학생들의 성격유형 특성을 고려 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은 진로결정이 일정수준 결정된 상태임을 고려한 학생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충청지역 한 대학을 상대로 한 연구로 앞으로 보다 다양한 지역의 신입생 또는 동일지역 여러 학교 학생들을 상대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추후 에듀테인먼트 기반한 교육내용 및 켄텐츠 개발과 활용에도 점진적인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come into play when university freshmen decide their majors using Korean Enneagram of personality tests. The findings show that, firstly, with respect to personal attributes, there were obvious differences in male and female student ratios depending on the major. Many of the participants were from the area of Gyeong-gi. Personality types showed many of the students being the Type II ‘helper’, and career decision levels showed the students in medicine-related fields being higher than those in art & physical education-related fields. Secondly, majors were correlated the highest with gender, followed by Enneagram of personality types, and then career decision levels. Where the students were from showed no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deciding on a major. Thirdly, when it comes to choose a major, influential factors were found to be gender, Enneagram of personality types, and career decision levels (in that order), with statistical relevance. Therefore, since it can be concluded that a student’s personality type is influential in choosing a major, when it comes to select newly entering students during the application process, it seems necessary to implement the policy that incorporates these decision-making factors into consideration. Furthermore, during student consultations, students’ personality type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and counselors should give advice bearing in mind that students’ choices when choosing a major have already been partially decided to a certain degree.

      • 사주의 일간에 나타난 오행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연택 ( Choi Yeon-taek ),송수현 ( Song Su-hye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8 인성교육연구 Vol.3 No.1

        사주명리는 과거 점술적 차원 단계를 지나 상담, 심리, 직업, 한의학분야 등 매우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을 동양의 예정론적 성격유형론이라 할 수 있는 오행성격별로 구분하여 이들이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서 개인의 사회환경에 따라 학습된 개인성격 요인이라 할 수 있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행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업적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오행별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오행 전체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수(水)유형에서 인문계열 학생일수록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주명리에 나타난 오행을 근거로 대학생들에 대한 상담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향후 사주명리를 통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분석에 대한 객관성을 확보하고, 추후 대학 생들에 대한 진로상담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Four Pillars of Destiny is moving beyond its traditional use for fortune―telling and widening the application to areas of counseling, psychology, career, and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personality types of Five Elements and use it as the reference for counseling the college students.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sonality types of Five Elements showed the significant result in academic self-efficacy.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career path decision according to Five Elements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of all Five Elem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in learning and the significant effect of Water Element on career path decision by student in art and humanity.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Five Elements shown in Saju-Myungri of Destiny can be used as the counseling reference for the college students and youths.

      • KCI등재후보

        이제마의 사상체질론과 사주명리 오행론에 나타난 성격유형 연구

        최연택 ( Choi Yeon-tae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21 인성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이제마의 사상체질론과 사주명리에 나타난 성격유형을 비교 연구하여 이들이 성격유형론으로서 상담현장에서 사용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제마의 사상체질론과 사주명리는 인간이 하늘로부터 기를 품수 받고 태어났다는 천인감응사상과 하늘로부터 받은 기를 편중되지 않고 골고루 펼치는 것을 이상으로 여기는 중화론을 근거로 하고 있다. 사상체질론은 사주명리에 비해 보다 인간을 중심으로 이론을 전개하였으며, 사행론에 의한 포용적 순환론을 전개하였다. 반면 사주명리는 하늘을 중심으로 음양오행의 상생상극에 의한 순환론을 펼친 차이가 있다. 사상체질론의 태양인과 소양인의 성격적 특징이 사주명리 오행의 화·금형인과 비슷하며, 태음인과 소음인은 오행의 목형·토형·수형인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사상체질론이 사상체질 분류 검사지(QSCC II)를 통해 상담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듯이 사주명리 오행론에 나타난 성격유형 또한 상담도구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study the personality types shown in Sasang Constitution and Sajumyeongri to find out whether they can be used in the counseling field as a personality type theory. Sasang Constitution and Sajumyeongri are based on The Response of Heaven and Man idea that humans were born with a qi from heaven, and Zhonghe-theory, which regards the ideal of spreading the qi received from the heavens evenly without being biased. The theory of Sasang constitution developed more human-centered than Sajumyeongri, and developed an inclusive circulation theory based on four element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Sajumyeongri unfolds the theory of circulation based on the win-win sang-geuk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centering on heave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ae-yangin and So-yangin in Sasang Constitution are similar to the fire·iron type of Sajumyeongri five elements, Tae-eumin and So-euminin have a similar tendency to the wooden, soil, and water types of the five elements. Therefore, as Sasang Constitution is used in the counseling field through the Sasang Constitutional Classification Test(QSCC II), it means that the personality types shown in the Sajumyeongri Five elements can also be used as a counseling tool.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성격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MBTI 성격유형을 중심으로 -

        임근옥,최연택,Lim, Kun-Ok,Choi, Yeon-Taek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MBTI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여 성격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성격유형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업소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EP, IJ성격유형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소망적사고 및 정서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EP성격유형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담자는 스트레스를 받은 내담자가 안정적인 상태에서 긍정적인 상상이나 기도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The present study, college student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MBTI personality types, Personality Types, how to cope with stress academic burnout Influence was studied. Study shows that personality type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ess-coping strategy of personality type and Academic burnout. Among the strategies, problem-based way has a negative effect on EP and IJ personality types. On the other hand wishful-thinking and emotional-focused way have a positive effect on EP type. Thus, the therapist need to induce stressed client to deal with stress through positive imagination or prayer in stable condition.

      • KCI등재후보

        정보화 추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연구

        임근옥,최연택,최용금,이동엽,Lim, Keun-Ok,Choi, Yeon-Taek,Choi, Yong-Keum,Lee, Dong-Yeop 한국전자통신학회 201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며 살아가는 대학생의 성격5요인 유형이 다양한 스트레스원에 의해 나타난 스트레스대처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스트레스대처방식 하위요인 중 (1) 사회적지지추구대처방식은 외향성, 호감성, 성실성 (2) 문제중심적대처방식은 성실성, 외향성, 호감성, 개방성 (3) 회피중심적대처방식은 신경성, 성실성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성격에 맞는 상담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격5요인이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분석도구로 SCi = ${\beta}0$ + ${\beta}1$ Neuroticism + ${\beta}2$ Extraversion + ${\beta}3$ Openness to Experience + ${\beta}4$ Agreeableness + ${\beta}5$ Conscienti- ousness + ei 의 회귀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affect job-related stress levels owing to various cause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health-related majors, including dental hygiene. In subfactors for stress coping strategies (1) 'extrovert', 'likeable', and 'diligent' types for 'desire for social support' (2) 'diligent', 'extrovert,' 'likeable', and 'extrovert' types for 'problem-oriented' and (3) 'nervous,' and 'diligent' types for 'avoidance-oriented,' were shown to be most affected, in that order(SCi = ${\beta}0$ + ${\beta}1$ Neuroticism + ${\beta}2$ Extraversion + ${\beta}3$ Openness to Experience + ${\beta}4$ Agreeableness + ${\beta}5$ Conscienti- ousness + ei ).

      • KCI등재

        고려와 조선왕조의 관리등용제도 변화 연구: 음서제를 중심으로

        조성택 ( Sung Taek Cho ),최연택 ( Yeon Taek Choi ) 한국행정사학회 2010 韓國行政史學誌 Vol.27 No.-

        본 논문에서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관리등용제도 특히 음서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음서제 연구를 통해 고려와 조선사회의 양반들의 특권 유지 노력을 고찰하였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는 신분제사회로 지배계층이 특권적 신분을 유지하고, 그들의 권력을 재생산하였다. 권력과 가문을 유지하는 원천은 관직에 등용하는 것이었다. 국왕이 통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리고 관료제의 구축을 위해서, 유능한 인재 등용이 필요하였다. 고려시대에는 국왕들이 호족세력을 중앙집권체제 내에 끌어들이려 하였고, 귀족관료층이 주체세력으로 편제된 국가통치체제를 형성하였다. 안정된 통치기반을 위해서는 기존 호족세력의 특권을 보장하면서도, 학문적으로 유능한 인재를 선발 채용할 수 있는 제도 마련이 필요하였다. 지방 호족의 중앙귀족으로의 흡수를 위해 과거제, 음서제 등 다양한 인사제도를 시행하였다. 조선 왕조는 새로운 유교사상의 이념 하에 신흥 관료와 군인이 결합하여 성립하였으며, 조선 건국과 함께 문반 중심의 중앙집권주의적 행정체계를 형성하였다. 관료들의 생활기반을 중앙에 집중시키는 등 지방 토착세력에 대한 견제가 강화되었다. 또한 소수의 문벌에 의한 신분사회를 구축할 수 있었다. 경국대전을 편찬하여 국정운용과 인사행정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과거제를 강화하고 음서제가 약화되었으나, 추가적으로 대가제를 시행하였다. 고려와 조선시대의 음서제는 고위관료와 하위관료 간의 차별과 계층 간 차별을 위한 관리등용제도의 하나였다. 인사제도가 특권 유지의 기반이었기에 제도의 시행과정에서 많은 비리와 혼란이 발생하고, 제도상의 변화가 있었다. A Study on Institutional Changes of Government Personnel System in Koryo and Chosun Dynasty: Focused on `Eumseoje`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ersonnel system, especially the changes of `Eumseoje`, during Koryo and Chosun Dynasty era. Through the study of `Eumseoje`, this paper investigate the effort to maintain the privilege of `Yangban` - Nobleman class during Koryo and Chosun dynasty. The Koryo and Chosun Dynasty had a rigid caste system for the ruling caste to maintain a privileged status and reproduce their power. `Yangban` had should been recruited as government official to maintain the caste and power. The King had should to recruit the talented man to construct the bureaucracy and govern the kingdom. The King of `Koryo` was trying to subjugate the regional powerful clan under the centralized country and establish national governance system mainly with aristocratic bureaucrats. It was necessary to have the institution for safe governance foundation which ensure the privilege of existing regional powerful clan and hire the intellectual talent. Various Personnel system such as `State Examination system` and `Eumseoje` had been introduced to absorb the regional clan into central noble. Chosun Dynasty had been established by the combination of new officials and soldiers based on the Confucian ideology. Chosun had formed the centralized administrative system at the national foundation which is `Munban-civil officials or non military officials` oriented system. The restraint control over regional clan had been enhanced. For instance, the bureaucrats` living base had moved to central area. In addition, the caste system had been constructed based on the minority of `Munban.` The compilation of `Gyeonggukdaejeon` had established the legal basis of governmental affairs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State Examination system` had been enhanced, but `Eumseoje` had been weakened. In addition, `Daegaje` had been executed. `Eumseoje` was one of the personnel system which discriminate between a high-ranking and a low-ranking officials and noble and civil class. Human resource institution had been the basis of privilege maintenance. Therefore, many irregularity, chaos and institutional changes had appeared during the system execution.

      • KCI등재

        조선 초기 수령제 변화와 의미

        조성택 ( Sung Taek Cho ),최연택 ( Yeon Taek Choi ) 한국행정사학회 2011 韓國行政史學誌 Vol.29 No.-

        수령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중앙집권체제의 강화라는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특정 시기, 즉 고려 혹은 조선 전기, 조선 후기 등의 수령에 관해 고찰하고 있다는 점이 특색이다. 본 논문은 고려 왕조에서 수령 제도가 어떻게 운영되었으며, 조선 왕조에 이르러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를 살펴보고, 양 시대의 제도적 차이를 비교해 보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수령은 국왕의 대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지역민의 생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제적 권력자였다. 따라서 적합한 인물의 수령 임용과 수령에 대한 통제·감시가 필요했다. 결론적으로 고려시대에는 호족세력 약화를 실현하지 못한 상황에서 수령제를 지방통제의 수단으로 활용하였다면, 조선시대에 중앙집권을 완성하는 수령제의 활용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existing research of Sooryongs has been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solidation of centralism. In addition, the most of research has discussed the specific period such as Koryo, the early Chosun and the late Chosun. This research studies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Sooryongs in Koryo and the alterations at the era of Chosun. Ultimately, it is key objective to compare the systematic difference between two eras. Sooryong performed the role as the legal representative of King. For this reason, Sooryong was the despotic powerful man who had a decisive effect on civil life. Therefore, it had been required to have the valid appointment of Sooryong and the regulation, control and watch over Soory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