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기의 경산화파 예운불화 연구

        최성규 ( Choi Sung Kyu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16 종교문화비평 Vol.30 No.30

        예운상규는 경산화파의 화맥 안에서 전승되는 불화의 형식으로 작업에 임했으며 또한 전승시킨 불모(佛母)이다. 19세기 중반부터 전하고 있는 그의 불화는 1930년에까지 이르고 있다. 경산화파는 불모들의 계보 가운데 비교적 화맥이 잘 밝혀져 있고 전해지는 불화의 소재가 어느 정도 파악되어 그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대부분 사찰 불화의 수요가 그 지방 승려들에 의해 충족되었고 이에 따라서 다양한 승려가 많이 모이는 대사찰 중심으로 배출된 화승들은 자신의 출신 사찰을 중심으로 인근지역 안에서 활동함으로써 지역에 따른 화사(畵師) 집단이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화사 집단 가운데 서울·경기지역에서 활동한 화사들을 경성화파 또는 경산 화파라 부른다. 예운 불화는 조선 후기 서울·경기지역 불화와 같이 시대와 양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18세기 초와 18세기 말~19세기 초, 19세기 말로 분류하는데, 현존하는 근대기 예 운의 불화는 도상과 표현기법에 있어 다양한 경향의 불화 제작과 새로운 문물의 유입을 통한 신경향의 불화를 남기고 있다. 근대기 예운의 불화의 상당수는 서양화의 명암법을 도입하고 있으며 스승인 응석 의 맥을 이어 새로운 도상과 구도법을 창안하였다. 서양화의 명암법을 적용해 그린 그의 불화들은 당시 후원자들로부터 상당히 인기가 있었던 듯하며 현재 전국에서 작품이 남 아 전한다. 예운은 전통 도상을 기반으로 일반 회화나 민화와 같은 각종의 회화자료, 그 리고 새로 유입된 외국의 인쇄물 등의 시각적 체험과 자료들, 당시의 풍물·풍속 등 새 로운 요소들을 수용하기 시작하는 등 끊임없이 변화를 주기위한 시도들을 하였다. 표충사 <삼세불도>처럼 원과 같은 기하학적 도형을 사용해 화면에 집중감을 주면 서도 때로는 수많은 권속들을 적절히 분류하고 구획하여 시각적 효과를 살린 불화들과 기존 불화의 구성요소들을 새롭게 재구성하거나 일부를 첨삭하는 등의 방법으로 주제를 강조한 불화들을 제작하였다. 화면분할식 불화와 함께 새로운 불화를 시도하려 했던 그의 창작 의도가 보다 명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대기 예운 불화의 의미는 화사의 창의성이 발현된 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후 새롭게 만봉에 의해 전승이 되고 현재에까지 이어짐으로 해서 역사적 변천을 살필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중요하게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Yeun Sang-kyu was a Buddhist painter, known as “Mother of Buddha Image Paintings(佛母)” who was inherited by Gyeongsan School and kept the tradition intact till 1930. His Buddhist Image paintings are handed down from the mid-19th century on and his painting styles and lineages are well known and even the painting materials he used are cleary identified. So much he is recognized as unique and distinctiv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Buddhist paintings in the temples are provided and enshrined by the local monk painters and the large temples have accordingly housed a group of monk painters in their own territories. This monk painters were eventually clustered with the painter groups. “The Gyeonseong or the Gyeongsan School” was one of the most active painter groups who got together in Seoul and Gyeonggi area. Yeun`s Buddhist paintings so far extant in terms of iconography or drawing skills reveals inheritances of various styles of the previous traditions; early and late 18th century, or early and late 19th century styles are included. Moreover, on top of those mixture of traditions, he added a new trend of paintings based on the up-coming new cultures. Even western painting skills of shading were imbued with his many a Buddhist paintings and his creative new form of icons and compositions are keenly felt the influences of his direct master Eungseok`s style. His new Buddhist depictions seem to be popular among the connoisseurs and the collectors so that his art objects are spread out through the country. He tried to explore the new experiments with the visual effects, the painting materials and even utilizing of the folk painting subjects. The “Samse-bul-do(三世佛圖)” of Pyochung temple is an example of the modern skills of paintings, quite differed to traditional ones; applying the geometric shape of circles in the screen, newly alloting the Bodhisattvas and the protective figures, reconfiguring the Buddha images, sectional division of the canvas, etc. Likewise, Yeun`s style changes in his extant paintings show us his creativity along with the modern tranformation of Korean Buddhism. And his legacy is handed down to Manbong, who is one of descents of Yeun and connected to today`s Buddhist painting traditions.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관계 연구

        최성규 ( Sung Kyu Cho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국의 20개 청각장애학교 교사 309명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설문지는 두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적용되었다. 실천적 지식의 정향은 5개 구성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25개의 문항으로 작성되었다.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3개의 구성요인의 15개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위한 요인분석, 배경변인별 검증을 위한 t/F 분석, 그리고 Amos 모델링 방법 등이 적용되었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에서 실천적 지식의 정향은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 지식의 정향은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배경변인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경력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실천적 지식의 구조에 대한 인식이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긍정적인데, 이는 실천의 규칙 하위요인의 영향으로 설명된다. 둘째,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ientation and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This study was proposed by survey design.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wo parts,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with five sub-factors of 25 questions and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with three sub-factors of 15 questions. The 309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20 hearing impairment school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factor analysis, t/F test, and Amo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however the one item in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was deleted by low reliability. The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was consisted with five factors,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was consisted with thre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re were not any relationships i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earing impairment school teachers in the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however, the teaching experience was an important background variable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especially the rule of the practical knowledge; and (b) there was high reliabil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what were the importances the orientation and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효능감, 안전사고, 장애학생 안전에 대한 인식의 관계 연구

        최성규 ( Sung Kyu Choi ),박혜림 ( Hye Rim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아효능감, 안전사고, 그리고 장애학생 안전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자아효능감 8문항, 안전사고는 외적요인과 내적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8문항과 7문항, 그리고 장애학생 안전에 대한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 574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요인분석, t/F 검증,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자아효능감, 안전사고, 장애학생 안전에 대한 인식의 내용을 요인분석한 결과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그리고 자아효능감, 안전사고, 장애학생 안전에 대한 인식은 안전교육 관심정도, 장애학생 관련 교육 등과 같은 배경변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자아효능감에 대한 인식은 안전사고 외적요인, 안전사고 내적요인 그리고 장애학생의 안전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자아효능감과 장애학생 안전에 대한 인식을 매개하는 요인에 대한 영향력을 또한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tudents` recognition among self-efficacy, safe accidents, and attitudes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with three parts was developed by researcher. The self-efficacy questions were 8 items, safe accidents questions were 15 items including external 8 items and internal 7 items, and the attitude question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8 items. 574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factor analysis, t/F test, structural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were that: (a) the reliability and corelation of the questionnaire were accepted to ensure this study; (b) the concerning degree to safe accidents and the amount of the education rel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effective variables in the safe accidents with external and internal, the recognition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 the elementary students` self-efficacy was related with sage accidents with external and internal, the recognition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 structure of the self-efficacy was developed by the external factors.

      • SCOPUSKCI등재

        간헐적인 압축하중이 조골세포주 성장에 미치는 영향

        최성규(Sung Kyu Choi),박정훈(Jeong Hun Park),이승재(Seung-Jae Lee),이인환(In Hwan Lee),강상순(Sang Sun Kang)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10 한국정밀공학회지 Vol.27 No.2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mechanical stimulation takes a role in improving cell growth. Also, became generally known that skeletal system as bone or cartilage tissues take influence of compression loading.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 custom-made bioreactor and analyzed that conditions of compressive loading would influence cell growth. To compare the effect of intermittent compressive loading on cell-encapsulated agarose scaffold, we cultured preosteoblast cell (MC3T3-E1 cells) statically and dynamically. And dynamic culture conditions were produced by changing parameters such as the iteration time and interval delay time. Also, cellencapsulated agarose scaffold were subjected to 10 % dynamic compressive strain at 1㎐ frequency for 7 days. After cell culture, cell proliferation was assessed with PI stain assay for fluorescence images and flow cytometry (FACS).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고등교육 지원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와 인문계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비교

        최성규 ( Sung Kyu Cho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장애학생특례입학제도가 시행된 이래 많은 장애학생이 대학에서 교육을 받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특례입학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인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고등교육 지원방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특수학교 고등부 담임교사 5명과 인문계 고등학교 3학년 담임교사 5명을 대상으로 소집단 면접을 각각 실시하였다. 특수학교 교사의 발달장애학생 고등교육 지원에 대한 인식은 효율적인 운영 보장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인문계 고등학교 교사는 인간의 존엄성 및 교육의 평등권 등과 같은 요인에 보다 주안점을 두고 있다. 특히 발달장애학생 고등교육 정책의 효율성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관심과 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이 연구에서는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지원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 등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Many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studied in the level of college, howeve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limited to study in the college or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pecial school teachers` and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toward postsecondary education support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ve special school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schools were participated. And the five general school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general school teachers were in charge of the twelfth grade which was inclusion educational environment. Semi-structural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for this study. The two groups indicated different perceptions in the postsecondary education support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effectivenes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based on community centered supports.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effective methods to support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level of college.

      • KCI등재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의 관계에 대한 모형 연구

        최성규 ( Choi Sung Kyu ),박찬영 ( Park Chan Young ),정승희 ( Jung Seung He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2

        이 연구는 정서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의 모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정서장애학교 교사 173명을 대상으로 수업설계와 관련된 12문항과 수업실행에 관련된 12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정서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의 관계 모형을 산출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 구성은 수업설계 방법, 수업설계 모듈로 구분되어 있으며, 수업실행 구성은 수업실행 방법과 수업실행 과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는 수업설계 방법과 수업설계 모듈이 함께 구동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나, 수업실행에서는 수업실행 방법과 수업실행 과정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은 수업실행 과정이 우선되는 구조이며, 수업설계방법, 수업설계 모듈, 수업실행 방법 등과 같은 요인은 필요에 따라서 적용하는 모형으로 실행된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수업구조의 차별성이 나타나는 원인변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model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performance based on emotional disorder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he 173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hich was divided into two parts, instructional design with 12 questions of 5- Likert scale and instructional performance with 12 questions of 5-Likert scale was developed. The searchable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instructional design was divided into two parts, instructional design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ule in factor analysis, and the instructional performance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instructional performance method and instructional performance process in searchable factor analysis; (b) the instructional design was divided into two parts, instructional design method and instructional design module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instructional performance was just one factor, instructional performance procedure, but instructional performance method in searchable factor analysis; and (c) the model of the teachers’ instructional structure was managed with one factor, instructional performance procedure, however, the instructional method, instructional module, instructional performance method were necessary condition in instructional performance procedure. Also this study discussed the cause factors why the emotional disorder school teachers had differential instructional structure.

      • KCI등재후보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청각장애학생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최성규 ( Sung Kyu Choi ),이희상 ( Hee Sang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청각장애학생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청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설계는 전후 연구 설계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레크리에이션 활동은 청각장애 학생의 사회·정서 발달 상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청각장애학생의 청력, 부모의 청력 상태, 사용언어, 성별이 동일한 경우에는 레크리에이션을 경험한 청각장애학생이 사회·정서 발달 상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discover whether recreation activities influence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There are various factors which exert influence on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This study set the hearing ability of students, the hearing ability of parents, using language and gender as the parameters which influence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This study chose as the objects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deaf and dumb who are in a very important period for thei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used T Verification and F Verification to testify the data which are resulted from the social and emotional analysis test of Meadow-Kendall which are standardized by Professor Kim Byung-Ha. Considering the results with these method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experienced recreation activities showed highe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an the controlled group who did not experience recreation activities. This shows that recreation activities improve the social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that recreation activities affirmatively influence self image and emotional adaptation. We can interpret that recreation activities are helpful to forming liberal relation through inducing free conversation and physical contact. Therefor we can expect that systematic and continual recreation activities bring about more desirabl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Second, in case that the hearing ability of students, the hearing ability of parents, using language and gender are same,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recreation activities showed highe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an those who did not. We can comprehend that recreation activities are related to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e can also tell that they have positive influence. Besides,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most variety in forming self image according to the hearing ability of parents among parameters. We can understand that recreation activities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influence forming self image more than anything else. In conclusion, we can interpret that we should have an accurate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rightful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that we have to apply to systematic and incorporated recreation activities related to curricula which are also fit to their interest.

      • KCI등재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 태도 검사 도구의 개발과 적용 가능성

        최성규 ( Sung Kyu Choi ),오원석 ( Won Seok Oh ),이한선 ( Han Sun Lee ),배형일 ( Hyung Il Ba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4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 교사들의 태도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과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초등학교 5개에서 15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의 개발은 Cochran(1999)의 STATIC(Scale for Teachers`` Attitudes TowardInclusive Classrooms)와 Antonak와 Larrivee(1995)의 ORI(Opinions Relative to Integration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cale)와 선행 연구 결과를 근거로 문항을 작성하였다.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 결과 5개 요인으로 구성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활용하여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통합태도와 하위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통합 태도에 있어서는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은 학교군에 있는 교사들이 보다 부정적인 태도를 가졌으며, 통합교육의 사회 정서적 효과에 대하여는 학교 환경이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좋을수록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교직 경력이 많을수록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 통합교육의 학문적 성과에 대한 기대에서는 변인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남교사가 보다 긍정적이며, 학교 환경이 열악한 곳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교직 경력이 낮을수록 긍정적이다. 지도에 대한 자신감 요인에 있어서도 남교사가, 그리고 학교 환경이 열악한 곳에 근무하는 교사들이보다 자신감을 갖고 있었다. 끝으로 교사의 통합 태도 관련 변인간 관계 모형의 설정에서는 교사의 배경 변인인 학교환경, 성별, 교직 경력, 담임경력 그리고 장애친지 유무가 통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과 통합학급 지도에 대한 자신감이 통합태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for analyzing the attitude of teachers on inclusive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t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4 teachers in five elementary schools. From the results of the validity of the items and the reliability test, a testing tool including five factor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inclusive attitude of teachers and sub-factors for which the developed tool in this study was used, the teachers who worked for schools in areas of high socioeconomic statu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 There was a difference on the socioemotional effect of inclusive education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school environments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s for the perception on disabled children, male teachers, teachers working in schools with poor environments, and those with lower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more positive. The factor of confidence on teaching, male teachers and teachers working in schools with poor environments showed more confident. For the establishment of a model of the relation among variables relevant to the inclusive attitude of teachers, school environment, gender, years of teaching, years of taking charge of a class, the existence of a disabled relative as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f teacher were shown to be variables affecting the inclusive attitude, while the perception on disabled children and confidence on teaching inclusive class were presented as variables affecting positively the inclusive attitude.

      • KCI등재

        난청학생의 교육환경 경험 및 자아인식에 대한 연구

        최성규(Choi, Sung-kyu)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2 No.3

        이 연구는 난청학생의 교육환경에 대한 경험과 자아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 37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청각장애대학생 262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교육환경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각장애학교에 재학한 경험이 없는 경우가 77%였으며, 학교생활에서 경험한 어려움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건청학생과의 교우관계 유지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였으나, 난청학생의 약 30%는 여전히 건청친구가 없었다. 통합교육을 받은 난청학생이 많았던 관계로 80% 이상의 난청학생은 청각장애 친구가 없었다. 선후배 관계에서도 청각장애보다 건청의 선후배와 교제를 하고 있었다. 교사와의 관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이었으나, 건청교사의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자아인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청학생은 건청인과 동일시하면서도 청각장애 정체성도 내포하였다. 농문화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듣고 말하기에 대한 인식은 개인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난청학생의 교육환경에서의 경험 차이가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중문화와 이중언어 접근법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 environment experiences and self awareness of th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262 colleg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from 37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tudy result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as follows. 77% of the cases had no experience of attending a school for the deaf, 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adjusting to school life varied. The number of students maintaining friendships with hearing impaired students increased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but about 30% of th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still did not have a hearing impaired friend. Because there were many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who received inclusive education, more than 80% of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had no hearing impaired frien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iors and juniors, th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were friendly with seniors and juniors with hearing rather than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was more positive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but the influence of the teacher with hearing was more dominant than that of the teacher with hearing impairment. The results of self awareness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identified with hearing people, but also included the identity of hearing impaired. Deaf culture was perceived positively, and the perception of listening and speaking showed various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experienc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of students with hard of hearing on identity formation,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bicultural and bilingual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