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팀의 지식공유가 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심리적 지식 소유감과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의 3차항 조절효과

        최석봉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2019 No.특집호

        Many prior studies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have focused on discovering determinantsof innovation performance a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However, studies on team levelfactors affecting innovation performance or team level innovation performance have been relativelylimited. In light of thi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impact of team-level knowledge sharing onteam innovation performance, and explored the relevant conditions that maximize the aboverelationship.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direct impact of team-level knowledge sharingon team innov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rocess of team-level knowledge sharing to teaminnovation is assum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team members' collective psychologicalownership and the team leader's ability to disseminate knowledge. Therefore, we examined moderatingeffects of both team’s psychological ownership and the team leader's disseminate capability ofknowledg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m-level knowledge sharing and team innovationperformance. Finally, the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team knowledge sharing, the team'spsychological knowledge ownership and the team leader's knowledge transmission capabilities wasanalyzed for the appropriate conditions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 of team knowledge sharingon team innovative performa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embers of 63 teams working at 21 small and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and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first, knowledge sharing of the te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team's innovation performance. Second,if the team's psychological knowledge ownership is high, the result has been that the team's knowledgesharing weakens its impact on the team's innovation performance. Third, the knowledge disseminatecapability of the team leader in these relationships has shown no significant effect. Finally, the analysis of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team knowledge sharing, team's psychological knowledgeownership and team leader's knowledge disseminate capability showed that the team's psychologicalknowledge ownership is low, and team leader's knowledge transfer ability is high, the team's knowledgesharing effect is most strengthened. On the other hand, if a team has a high knowledge ownershipand the team leader has a low knowledge disseminate capability, the team's knowledge sharing hasthe least effect on the team's innovation performance. These empirical findings provided that psychological knowledge ownership of team, whichhas not been addressed well in previous studies, plays an important role between knowledge-sharingand innovation at team.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there could be various conditional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knowledge sharing and team innovation performanceand their dynamic interaction effects should be explored.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some practicalimplications in the following respec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knowledge sharing of the teamwas important to improve the team's innovation performa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estsand efforts of managers are needed to establish job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knowledge sharingamong team members, proper team climate and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 well so that knowledgesharing within the team can be actively promoted. Second, managers need to encourage sharing ofpersonal knowledge in team and set up appropriate performance assessments and rewards for knowledgesharing team members.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educate team leaders to properly cultivateknowledge disseminate capabilit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조직분야의 혁신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들은 혁신성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개인 및 조직수준의 선행 요인들을 발굴하는데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팀 수준의 영향 요소나 팀 혁신성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팀 수준의 지식공유가 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극대화시키는다양한 조건과 맥락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팀 수준의 지식공유가 팀혁신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팀 수준의 지식공유가 팀 혁신성과에 이르는 과정은팀 구성원들의 집단적 심리적 기저와 팀 리더의 역량에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가정하고 팀의 심리적지식 소유감과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이 .이들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팀 지식공유, 팀의 심리적 지식소유감과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 간 3차항 상호작용효과(3-way interaction)가 팀의혁신성과를 극대화하는 적합조건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 21개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62개 팀 단위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실증분석 결과, 첫째, 팀의 지식공유는 팀의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의심리적 지식소유감이 높을 경우 팀의 지식공유가 팀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셋째,, 이들 관계에서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팀의 지식공유, 팀의 심리적 지식소유감 및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의 3차항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팀의 심리적 지식소유감이 낮고,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이 높을 경우에 팀 지식공유 효과를 가장 강화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팀의 지식소유감이 높고,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이 낮을 경우에는 팀의 지식공유가팀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가장 약화시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간 지식공유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은 심리적 지식 소유감이 지식공유와 혁신성과 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실증적 증거를제공하였으며, 혁신성과를 다룬 기존연구에는 팀 수준의 결정요인들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팀내 지식공유와 팀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는 다양한 상황요인이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팀 내 지식공유,심리적 지식소유감 및 팀 리더의 지식전파능력이 팀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이들 간 상호작용효과가 존재하며 적합한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성과를 연구하는 향후연구에 중요한 이론적함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직문화유형, 학습지향성 및 조직구성원의 혁신성 간의 관계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최석봉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6

        조직구성원의 학습과 이를 바탕으로 한 끊임없는 혁신은 오늘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의 원천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조직 내에서 이러한 학습과 혁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에 대해서는 간과되어 온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문화를 4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고 이를 구성원의 학습지향성, 그리고 인적자원의 혁신성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이 학습지향성과 혁신성과의 관계를 조절할 중요한 변수로 가정하고, 구조모형모델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혁신적 문화는 구성원의 학습지향성에 정(+)의 영항을 미치는 반면, 위계지향문화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업 및 관계지향 문화는 학습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지향성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에 대해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지향성이 높은 구성원일수록 혁신성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은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지향성과 혁신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은 발견되지 않았다. This article reports the results of a stud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on of employees with primary data from a sample of 205 small and midium sized enterprise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innovativ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arning orientation of employees whereas the hierarchical oriented organiz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learning orientation. Second, we suggested the high level of learning orientation would improve innovation of employees and our empirical result supported this hypothesis. Finally, we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on of employees. Our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nnovation but no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behaviour research.

      • KCI등재

        리더-팔로워의 가치일치와 팀 창의성 간의 관계: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와 실수관리스타일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석봉,정재금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3

        창의성은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쟁력과 가치창출을 높이는 핵심 원천으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팀 창의성은팀의 효과성을 바탕으로 창의적 활동을 더욱 촉진하고 강화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더-팔로워의 가치일치가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이들관계에서 직무 자율성을 매개변수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직무 자율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실수관리 스타일이 더욱 강화시키는 상황요인으로보고 실수관리 스타일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끝으로 리더-팔로워의 가치일치가 직무 자율성을 매개로하여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실수관리 스타일의 강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조절된 매개효과모형을 분석하였다. 국내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 305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리더-팔로워의 가치일치는 팀 창의성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직무 자율성은이들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수관리 스타일은 직무자율성과 팀 창의성 간에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직무 자율성을 매개로하는 리더-팔로워의 가치일치와 팀 창의성 간에실수관리 스타일의 조건부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팀 창의성을 촉진하는과정과 조건을 제시하여 선행연구결과를 확장하고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통해이론적, 실무적 기여와 본 연구의 한계, 그리고 미래 연구자를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여가활동이 직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성별과 업무성격을 중심으로

        최석봉,정기백 한국경영교육학회 2023 경영교육연구 Vol.38 No.2

        [연구목적]종업원의 여가활동은 직장행복 및 조직성과에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가활동의 유형에 따라 분석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여가활동과 오프라인 여가활동이 종업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상황요인으로 성별과 업무성격을 상정하고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수집한 376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직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실증분석 결과 첫째, 온라인 여가활동과 오프라인 여가활동은 직무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온라인 여가활동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오프라인 여가활동은 주관적 웰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오프라인 여가활동 모두 성별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오프라인 여가활동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오프라인 여가활동 모두 업무성격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오프라인 여가활동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여가활동 유형별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성별과 업무유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 종업원의 여가활동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만족도 및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수에 대한 인지적, 감정적 신뢰의 매개효과 검증

        최석봉,임명서 한국산업경영학회 2011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6

        본 연구는 대학생 개인의 잠재적 역량차원에서 셀프리더십이 대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나아가서 학습 성과와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기존연구와 차별화 하여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학습성과의 선행변수를 학업만족으로 가정하고, 학생 자신의 셀프리더십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음으로 셀프리더십과 학업만족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둘째, 교수에 대한 신뢰의 중요성이 일부연구에서 검증되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신뢰를 감정적, 인지적 신뢰로 구분하여 학업만족과의 관계와 이러한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학업만족간의 관계에 있어 교수신뢰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보다 높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만족은 종국적으로는 학생들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클것으로 가정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수도권, 충청, 영남에서 159명의 대학생의 응답을 수집했으며 SPSS 15.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검증했다. 본 연구결과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교수 신뢰(인지적 신뢰, 감정적 신뢰) 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교수신뢰 역시 선행연구의 결과대로 학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만족은 학습 성과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대학생들이 학습 성과를 제고하는데 있어서 셀프리더십과 교수신뢰 그리고 학업만족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여 학습 성과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