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동굴학회의 동굴에 관한 주제별 연구동향 분석

        최병천 ( Byong Cheon Choi ) 한국동굴학회 2008 동굴 Vol.84 No.-

        우리나라의 동굴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동굴학회지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중분류 및 소분류에 의한 주제별 연구동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초기에는 연구논문편수가 적고 동굴개론 및 동굴의 자연 환경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198년대 중반에서 2000년에 이루는 기간 동안 가장 활발한 학술 활동이 전개되었으며,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1990년대 이후 동굴개발보다는 동굴의 환경 변화와 관리 보전대책 등에 관심이 주어졌으며, 최근에는 인문환경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고 동굴을 하나의 관광자원적 입장에서 동굴 주변시설물과 주변 관광지들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지고 있다. In an early stage, a study on speleologyand cave environment was very active even though the number of papers was limited. From the mid 1980s to 2000, the academic activities on caves were the most active with a variety of subjects. Since the 1990s, people started to focus on the environmental change in caves and preservation rather than development. Recently, many studies have dealt with humanistic environment, seeing caves as a tourism resource.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ve and surrounding tourist destinations has been actively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