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원발성 간암의 분할 정위방사선치료 효과

        최병옥(Byeong Ock Choi),강기문(Ki Mun Kang),장홍석(Hong Seok Jang),이상욱(Sang-wook Lee),강영남(Young Nam Kang),채규영(Gyu Young Chai),최일봉(Ihl Bhong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2

        목 적: 원발성 간암에서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 결과에 대한 문헌상 보고는 드물다. 이에 저자들이 경험한 원발 성 간암의 분할 정위방사선치료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7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원발성 간암으로 조직학적 진단을 받은 후 분할 정위방사선치료를 시행한 2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종양의 장경은 2∼6.5 cm (평균: 3.8 cm)였다. 분할 정위방사선치료는 1회 조사량으로 5와 10 Gy였고 선량은 계획용 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에 맞추어 처방하였으며 회전중심점 선량의 85∼90% 등선량 곡선에 치료를 하였다. 주 3∼5회 치료하여 2주 동안 총 50 Gy를 조사하였다(중앙선량: 50 Gy). 추적관찰기간은 3∼55개월(중간 추적관찰기간: 23개월)이었다.결 과: 전체 치료 반응률은 60%이었으며 완전 반응 4명(20%), 부분 반응 8명(40%), 안정성 병변이 8명(40%)이었다. 전체 환자의 1년 및 2년 생존율은 각각 70%, 43.1%이었으며 중앙 생존기간은 20개월이었다. 1년 및 2년 무병 생존 율은 각각 65%, 32.5%이었으며 중앙 무병생존기간은 19개월이었다. 치료 부작용으로 소화장애가 16명(60%), 오심/ 구토가 8명(40%), 간 기능 저하가 6명(30%)에서 발생하였으나 부작용에 의한 사망은 없었다. 결 론: 원발성 간암의 분할 정위방사선치료는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따라서 단일 병변이면서 비교적 종양의 크기가 작은 간암에서 내과적으로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수술을 거부하는 환자에서 국소 치료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Reports on the outcome of curative radiotherapy for the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re rarely encountered in the literature. In this study, we report our experience of a clinical trial where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SRT) was used in treating a primary HCC.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20 patients who had been histologically diagnosed as HCC and treated by fractionated SRT. The long diameter of tumor measured by CT was 2∼6.5 cm (average: 3.8 cm). A single dose of radiation used in fractionated SRT was 5 or 10 Gy; each dose was prescribed based on the planning target volume and normalized to 85∼99% isocenter dose. Patients were treated 3∼5 times per week for 2 weeks, with each receiving a total dose of 50 Gy (the median dose: 50 Gy). The follow up period was 3∼55 months (the median follow up period: 23 months).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60% (12 patients), with 4 patients showing complete response (20%), 8 patients showing partial response (40%), and 8 patients showing stable disease (40%). The 1-year and 2-year survival rates were 70.0% and 43.1%, respectively, and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20 months. The 1-year and 2-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65% and 32.5%, respectively, and the median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19 months. Some acute complications of the treatment were noted as follows: dyspepsia in 12 patients (60%), nausea/emesis in 8 patients (40%), and transient liver function impairment in 6 patients (30%). However, there was no treatment related death.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s that fractionated SRT is a relatively safe and effective method for treating primary HCC. Thus, fractionated SRT may be suggested as a local treatment for HCC of small lesion and containing a single lesion, when the patients are inoperable or operation is refused by the patients. We thought that fractionated SRT is a challenging treatment modality for the HC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