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역할분담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유정 ( Yu Jung Choi ),최미라 ( Meera Choi ),최샛별 ( Setbyol Choi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8 한국사회 Vol.19 No.1

        본 연구는 맞벌이 상태의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부부간의 역할분담이 그들의 삶에서 의미하는 바를 다각적으로 규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역할분담의 ‘객관적’, ‘주관적’ 차원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후, ‘우울’을 최종적인 종속 변인으로 삼아 부부간의 ‘역할분담’과 ‘일가정갈등’, ‘가정생활만족도’와 우울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는 우울에 예측력을 갖는 변인들 간의 인과 경로를 파악하도록 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을 통제 변수로, 맞벌이 부부의 역할분담이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일가정 갈등’은 가정 내 역할을 ‘내가 해야 할 일보다 더 많이 한다’고 느낄수록, 본인 근로시간이 길수록, 동거 미취학 자녀 수가 많을수록, 중학교 졸업 미만의 학력자보다는 고졸 학력자가, 일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본인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커졌다. ‘가정생활만족도’는 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고졸에 비해 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졸업자가, 본인의 근로시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노동시간이 길고, 자신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이 짧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고려해 부부의 역할분담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자,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는 우울에 있어 부부간의 역할분담 관련 변인들을 압도하는 영향력을 보였다. 일가정 갈등이 클수록, 가정생활 만족도가 낮을수록 우울감이 증가했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동거 미취학 자녀 수’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영향도 컸다. 스스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미취학 자녀 수가 많을수록 우울도 커졌다.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은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고려했을 때도 우울에 유의미한 변수로, 우울과 부적 관계를 보였다. ‘가정 내 역할을 자신이 해야 할 일보다 더 적게 하고 있다는 주관적 평가’나 ‘본인의 근로시간’, ‘일에 대한 만족도’는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 중 어떤 변인을 분석에 포함하느냐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달라졌다. 셋째,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각각 매개 변인으로 설정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우울에 대한 강력한 예측 변인인 ‘주관적 건강상태’는 우울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만족도’를 매개로 동시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반면 ‘동거 미취학 자녀 수’는 우울에 직접 작용하거나, ‘일가정 갈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효과를 미쳤다. 역할분담 관련 변수 중 ‘배우자의 가사 및 돌봄 시간’은 ‘일가정 갈등’이나 ‘가정생활만족도’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우울을 감소시켰으며 ‘일에 대한 만족도’는 ‘일가정 양립’과 ‘가정생활만족도’를 통한 간접적 방식으로만 우울에 영향을 주었다. ‘본인의 근로시간’은 ‘가정생활만족도’가 매개 변인으로 포함된 모형에서만 우울에 대한 직접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본인의 근로시간이나 일에 대한 만족도 같은 고용시장 관련 조건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부정적 효과를 사회적으로 해결하는 한편, 가정 내에서는 부부가 합의 하에 서로의 적절한 역할 수행 목표를 설정하고 협력해나가야만 맞벌이 상황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불균형이 최소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dual earner couple’s role assignment affect their lives multi-dimensionally. Using a sample of 342 dual earner men/women from 2012 KGSS data, this research examined 1) the effect of ‘objective’ and ‘subjective’ role assignment on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2) the effect of aforementioned variables on depression, and finally 3) the causal path among variables that predict depression.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ey’s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and respondent’s work hour was significant factor on bot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hereas other variables had different effects respectively. Overburden evaluation, longer work hour, higher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lower job satisfaction, lower subjective health, and longer care labor time was responsible for severer work-family conflict. On the other hand, higher job satisfaction, longer work hour, higher subjective health, spouse’s longer care labor time, and respondent’s shorter care labor time had significant effect on greater family life satisfaction. Second,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had outstanding effect on depression compared to role assignment related variables; that is severer work-family conflict and lower family life satisfaction had to do with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negative evaluation of their health, the greater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the greater the depression. Moreover, spouse’s housework and care labor time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with depression even when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ere included in the model. Third, ‘subjective health’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depression with bot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s. ‘number of cohabiting preschooler’ directly influenced depression and indirectly through ‘family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had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only through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s. Spouse’s care labor time only had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respondent’s work hour had effect on depression with family life satisfaction as mediator. This result suggests that employment conditions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Moreover, it implies that marital adjustment such as setting appropriate role assignment and cooperating can minimize various imbalance and strain of dual-earner couple.

      • KCI등재

        가정 내 역할 수행 및 돌봄 노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남녀 차이에 관한 연구

        최유정 ( Yu Jung Choi ),최미라 ( Meera Choi ),최샛별 ( Setbyol Choi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論集 Vol.50 No.1

        본 연구는 기혼 남녀가 가정 내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메커니즘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특히 자녀 양육 및 부모 돌봄, 배우자 돌봄 등을 포괄하는 ‘가족 돌봄’이라는 영역에서 그러한 차이가 어떻게 발현되는 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조사 대상 중 기혼 남녀 73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사 및 가족 돌봄을 포함한 전반적인 ‘가정 내 역할 수행’과 그 하위 영역이라 할 수 있는 ‘돌봄 노동’ 영역에서 남성과 여성의 역할 수행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시간 가용성 관련 변수들이 가장 큰 예측력을 보였다. 여성의 경우 전반적인 가정 내 역할 수행과 돌봄 노동 모두에서 시간가용성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이 두드러진다. 자신의 근로시간이 짧을수록, 배우자의 돌봄 시간이 길수록, 배우자의 근로시간이 길수록, 여성의 가정 내 역할 수행 시간이 증가한다. 반면 남성은 배우자의 돌봄 노동시간이 길수록 가사와 돌봄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경향을 보여, 부부의 가정 내 역할 수행이 두 사람 사이의 ‘분담’ 차원에서 이루어지기보다 필요 노동량에 따라 함께 ‘연동’해 움직이는 관계에 놓여있음이 확인 된다. 둘째, 가족 생활주기 역시 남성과 여성 모두의 전체 가사 역할 수행과 돌봄 노동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였다. 특히 ‘자녀학령기’라는 생활주기는 여성에게 있어 가정 내 역할 수행, 그중에서도 특히 돌봄 노동을 증가시켰다. 그런데 생활주기가 가정 내 시간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은 성별에 따라 달라서, 남성은 생활주기 상 자녀가 커갈수록 가족 형성기와 비교해 가정 내 역할수행과 돌봄 노동이 줄어드는 ‘부적인’ 영향력이, 여성의 경우 반대로 자녀 학령기와 미취학기에 노동시간이 늘어나는 ‘정적인’ 영향력이 두드러졌다. 셋째, 부부간 상대적 자원과 관련된 요인들의 영향력은 미비했다. 남성의 경우 전체 가정 내 역할 수행에 ‘배우자의 절대적 소득 수준’이 영향을 주고, 여성은 돌봄 노동에 있어 ‘본인의 상대적 소득 수준’이 남편보다 많을 때 오히려 돌봄 노동시간이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 두 경우 모두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는 크지 않다. 특히 남성이 부인의 근로 시간 같은 가족 외 여건과 무관하게 부인이 벌어오는 절대적 소득의 영향만을 받는다든지, 부인이 남편보다 소득이 더 높은 경우에 오히려 더 많은 돌봄 노동을 하는 현상은 부인의 자원이나 시간 부족이 가사노동을 피할 수 있는 이유가 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여성들은 남편보다 소득이 많을 때 오히려 더 많은 돌봄 노동을 함으로써 젠더 수행의 차원에서 사회가 주입한 성역할 이념을 실천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married men and women’s mechanisms in playing their family role, especially on explaining how such differences are manifested in the area of ‘care’. This study uses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data from 734 sample of married men and wom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various factors, time availability had the highest predictive power in both men and women’s ‘family role performance’ and ‘care labor.’ For women, a great diversity of variables related to time availability was prominent in both the overall family role performance and care labor. Women spent more time on the family role when their working hours were shorter and the spouse’s care labor time and working hours were longer. On the other hand, men spent more time on housework and care labor when their spouse’s care labor time were longer. This revealed that the family role performance of men was “interconnected” rather than “divided.” Secondly, the life course was also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overall family role performance and care labor for both men and women. In particular, “children of school age” increased women’s role in the family especially care labor. On the contrary, for men, their family role performance and care labor time decreased as children grew bigger. Thirdly, the relative resources couple possess had insignificant influence on family role performance. While for men, ‘wife’s objective level of income’ was a significant factor, women tend to spend more time on care labor when their ‘relative income level’ is greater than their husbands. However, in both cases, the relative influence was not that significant. Nonetheless, this suggests that the wife’s economic resource and a shortage of time does not provide a legitimate reason to avoid their housework. In addition, women who earn more income than their husbands tend to practice gender role ideology by spending more time on care lab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