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공간 선택속성이 전시공간 관람객의 이용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아산 산림자연사박물관"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최길흥 ( Kil Heung Choi ),장광집(교신저자) ( Kwang Chib Ch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전시공간의 선택속성과 관람객의 이용만족 및 재방문의도와의 관련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시패널 요인, 전시캡선 요인, 공간구성 요인, 전시연출 요인, 전시공간 특성으로 설정하고, 관람객 이용만족과 재방문의도로 구분한 후 이들의 영향요인과 관련성을 실증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 기간은 2015 년 5 월 1 일부터 5 월 30 일까지 30 일간이였다. 설문지는 총 400 부를 배포하여390 부를 회수하여 그 중 설문 문항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8 부를 제외 하고, 382 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시공간의 선택 속성 5 가지 요인들은 전시공간 이용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모두 유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됨으로써, 전시공간의 전시패널, 전시캡선, 공간구성, 전시연출의 요인들의 영향이 클수록 전시공간 관람자들의 이용만족과 재방문 의도가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전시공간의 관람객 선택 속성 요인중 관람객 이용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간구성요인과, 전시연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시공간 관람객 이용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간구성, 전시연출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전시공간의 관람객 이용만족과 재방문의도와의 관련성은 관람객의 이용만족이 클수록 재방문의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selection properties of exhibition space, and their relation with the visitor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exhibition panel factor, exhibition caption factor, space composition factor, exhibition presentation factor, and exhibition space characteristics were established as the selection properties of exhibition space, and were divided into visitor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hen, their influence factors and relation were empirically analyzed, and data was collected using ‘survey method’ for 30 days from May 1st to May 30th, 2015. A total of 400 copies of survey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90 copies were collected. Among them, 8 copies with missing survey questions or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382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data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5 factors of the selection properties of exhibition space, suggested in this research, were verified to have an organic influence on the use satisfaction of exhibition space and intention to revisit by visitors. This indicates that the bigger the influence of exhibition panel factor, exhibition caption factor, space composition factor, exhibition presentation factor, and exhibition space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exhibition space visitor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would be. Second, among the visitors`` selection properties of exhibition space, space composition factor and exhibition presentation factor were demonstrated to have the biggest influence on visitors`` use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space composition factor and exhibition presentation factor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order to increase exhibition space visitors`` use satisfaction. Third, it can be interpreted from the relation between exhibition space visitors`` us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that the higher the use satisfaction of visitors, the higher their intention to revisit.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접목시킨 지역 특산물 홍보관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부여 굿뜨래 홍보관을 중심으로-

        최길흥 ( Kil Heung Choi ),장광집(교신저자) ( Kwang Chib Ch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21세기에 접어들면서부터 농산물 수입 시장의 개방이 가속화됨에 따라 먹거리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방자체단체들은 심화된 경쟁 속에서 지역의 농·식품을 비롯한 특산물을 홍보하기 위해 마케팅의 일환으로 다양한 홍보관을 건립해 왔다. 그러나, 시대와 대중의 니즈가 변함에 따라 지역특산물 홍보관에 요구되어지는 역할이 다양해졌으며, 이윤을 추구하는 상업적 요소에서 점차 교육적, 체험적, 감성적인 소통의 장으로 변모해 가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안들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스토리텔링을 제시하고, 그것이 접목된 ``부여 굿뜨래 홍보관``의 사례를 통하여 지역 특산물 홍보관의 전시공간에 있어서 스토리텔링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지역 특산물 홍보관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품 또는 브랜드 가치를 응집한 메시지와 주제 도출이 선행되어야 한다. 2)도출된 메시지와 주제는 기획 의도를 반영한 ``플롯(Plot)``에 의해 서사적 구조로 완성되는데,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논리적, 시간적 전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3)플롯에 의해 완성된 홍보관의 스토리텔링은 각각의 공간에서 여러 개의 소주제로 구분되는데, 일정한 위계 질서를 갖춘 병렬적 나열 방식 속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발현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4)이렇게 완성된 스토리텔링에서 상품의 노출과 홍보의 적극성을 배제시킴으로써 가치와 이념 전달에 집중하는 것이 더 좋은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긍적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As agricultural imports accelerated market opening, People are becoming more concerned about the food of the country. Municipalities have erected a pavilion as part of marketing to promote local food including specialties. However, while times and the needs of the public has changed, role of the local produce exhibition also became diverse. It has changed into the educational, experiential, emotional factors from the commercial element. This study presents a storytelling as an alternative to address these issue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orytelling and exhibition space through the case of "Goodtrae Agricultural Products Museum" that combines storytel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ly, It should derive the messages and themes that reflect the value of the product or brand first. Secondly, the Derived message and subject is completed the narrative structure by "PLOT" reflecting the planning intention. At this time, it is important to select a logical or temporal deployment to effectively deliver the message. Third, when the storytelling completed by the plot is divided into several sub-themes in each space, it is effective to expression through various media in parallel lists. Fourth, focusing on the value and philosophy of brand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building better brand image by excluding the aggressiveness of the commodity exposure and publicity.

      • KCI등재

        스토리텔링과 혼합 현실(Mixed Reality)을 활용하여 실재감을 증가시킨 안전 체험관 설계 방안 연구

        최길흥 ( Choi Kil Heung ),장광집 ( Chang Kwang Chib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미디어의 발달로 우리는 거의 매일 안전사고에 대한 뉴스를 접하게 된다. 이제 안전사고는 누구에게나 발생할수 있고, 사고가 발생했을 때 대처 방안을 숙지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늘고 있고, 정부를 중심으로 안전사고 홍보 및 전시를 통해 시민교육, 학교 교과 과정에서 안전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필요한 안전체험 프로그램 및 규모에 비하여 보급 비율은 50.37%에 그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별로도 보급률의 차이가 크다. 또한 현재 진행되는 안전 체험도 위험을 경고받는 수준, 재난 발생 시의 행동 강령 등을 전달받는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그 체험 효율성이 낮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시설에서 짧은 체험 시간 동안 이용하더라도 실재성과 몰입도를 강화하여, 체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안전 체험관의 기획 원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스토리텔링과,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기술을 합한 혼합 현실(Mixed Reality)을 적용해 실재성과 몰입도를 강화할 수 있는 안전 체험 시설 기획 원칙을 제안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1) 안전 체험관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기 위해서 1인칭, 2인칭, 3인칭으로 나누어서 스토리를 기획하고, 1인칭의 경우 피해자의 시선, 2인칭의 경우 가해 요인의 시선, 마지막 3인칭은 전지적 시점에서 전체 상황에 대해 통찰할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을 포함할 수 있었다. 또한 2) 스토리의 각 플롯을 체득화하기 위해서 토론 과정을 추가하여 참여자들의 경험 안에서의 통찰을 한 번 더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3) 혼합 현실을 적용하여 실재감과 몰입감을 증가시켜 제공된 재난 상황 안에서 체험자들이 안전 감각을 발휘하여 위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we are getting news about big and small safety accidents almost every day. Safety accidents can happen to anyone, and people are increasingly aware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untermeasures and minimize damage when an accident occurs. Therefore, there are a number of visits to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as a family unit. In addition, safety education is being promoted through the curriculum of civic education and school using experiences of safety accidents centering on the government. However, the supply rate is only 50.37% compared to the actual facility size required, and the penetration rate differs for each municipality.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safety is low, because the level of danger is warned and the code of conduct in case of a disaster is receiv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the design factor of the safety experience museum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experience by reinforcing the reality and the immersion even if it is used during the short experience time in the limited facilities. In addition, we proposed a design method of safety experience facility that could reinforce reality and immersion by applying mixed reality combining storytelling an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apply storytelling to the safety experience exhibi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story by dividing into first, second, and third person. In the case of the first person, the victim 's gaze, in case of the second person, the gaze of an injurious factor, and the last third person could include storytelling in order to give insight into the whole situation at the global point of view. And 2) to add a discussion process to learn each plot of the story so that students can share their insights once again. Finally, 3) Mixed reality is applied to increase the sense of realism and immersion, and designed to cope with the crisis by exercising safety sense in a disaster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