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현 예술작품으로서의 사진

        최근홍 한국미학회 2017 미학(美學) Vol.83 No.4

        In this paper I investigate whether photographs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Roger Scruton, a skeptic, claims that the “ideal” photograph is not a representation. For it stands in a causal, not intentional, relation to its photographed object, which means that it does not express the photographer’s thought or intention. If so, the interest in a photograph is not the interest in the photographic image itself but the interest in (the existence of) the photographed object. Photographs, then, serve as a means to seeing the photographed object, that is, as a medium transparent to human intention. So, the skeptic concludes that photographs are not the object of an aesthetic interest, and thereby cannot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Dominic Lopes argues, against the skeptic’s conclusion, that photographs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Seeing photographs as photographs is seeing things through photographs. It engages an aesthetic interest of ‘revelation’ that is not engaged by seeing things face-to-face. If photographs can be the object of aesthetic interest in this sense, then they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while standing in a causal relation to their photographed objects. However, I think that Lopes misuses Walton’s term, ‘seeing through’. For Walton, photographs are not only transparent but also representational, which means that the viewer of a photograph imagines seeing things directly, face-to-face, while actually seeing them indirectly, via the photograph. Photographs invite aesthetic interests not in the experience of seeing through them but in the experience of seeing them as representations in Walton’s sense, and in this sense can be works of representational art. 나는 이 글에서 사진이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는지의 여부를 탐구한다. 회의주의자인 스크러튼의 주장에 따르면, “이상적인” 사진은 재현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사진은 그 대상과 인과적 관계만을 맺을 뿐 사진가의 생각이나 의도를 표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진에 대한 관심은 사진 이미지 자체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사진 찍힌 대상(의 존재)에 대한 관심이다. 사진은 그 대상을 보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명한 매체이므로 미적 관심의 대상일 수 없고, 따라서 재현 예술작품일 수 없다. 이와 같은 회의주의 논변에 대해 로페즈는 사진이 여전히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사진을 사진으로서 보는 경험은 사진을 통해 그 대상을 보는 경험이며, 맨눈으로 직접 보기로부터 얻을 수 없는, ‘드러냄’이라는 미적 관심을 환기한다. 만약 사진이 이런 의미에서 미적 관심의 대상일 수 있다면, 사진은 사진 찍힌 대상과의 인과적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다. 그러나 나는 로페즈가 월튼의 용어인 ‘~통해 보기’를 잘못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월튼에게 사진은 투명할 뿐만 아니라 재현이기도 하다. 즉 우리는 사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그 대상을 보면서도 그것을 맨눈으로 직접 본다고 상상한다. 미적 관심은 ‘~통해 보기’가 아닌 월튼의 의미에서 재현으로서의 사진 보기로부터 촉발되며, 사진은 바로 이런 의미에서 재현 예술작품일 수 있다.

      • KCI등재

        고통스러운 예술의 감상에서 고통스러운 경험의 가치론적 분석

        최근홍 한국미학회 2022 미학(美學) Vol.88 No.4

        가치론적 관점에서 볼 때 고통스러운 예술의 감상에서 고통스러운 경험이 주된 감상 동기와 맺는 관계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는 고통스러운 경험이 감상 동기로 여겨지는 가치와는 아무 관계도 없다는 회의주의이고, 두 번째는 고통스러운 경험이 감상 동기로 여겨지는 가치를 위한 수단으로서의 가치, 말하자면 도구적 가치를 갖는다는 도구주의이며, 세 번째는 고통스러운 경험이 감상 동기로 여겨지는 가치에 기여함으로써 그 가치의 불가분한 일부를 이룬다는 점에서 구성적 가치를 갖는다는 구성주의, 네 번째는 고통스러운 예술의 고통스러운 경험이 그 자체로 가치 있는 무언가일 수 있고, 주된 감상 동기까지 될 수 있다는 내재주의이다. 나는 이 글에서 네 관점을 차례로 살펴보면서, 각각의 관점이 어떤 장점과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어떤 문제점과 한계를 지니는지 평가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나는 구성주의가 가장 그럴듯하다고 평가하고, 그중에서도 ‘이해 구성주의’가 가장 타당하다고 결론내린다.

      • KCI등재

        사진의 매체 투명성과 개인 양식 - 사진 예술작품의 개인 양식 부재 논증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최근홍 한국미학회 2024 미학(美學) Vol.90 No.1

        이 글에서 나는 사진의 투명성과 개인 양식의 양립 가능성을 검토한다. 사진은 투명한 매체로 알려져 있지만, 사진이 예술인 한에서는 유관한 양식적 특징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매체의 불투명성이 양식적 특징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면 투명성과 양식은 양립 가능하지 않은 것 같다. 나는 스크러튼의 관점을 기초로 하여 ‘양식 부재 논증’을 구성하고, 이 논증의 건전성을 문제 삼는 방식으로 사진이 개인 양식을 가질 논리적 가능성의 공간을 탐색한다. 나는 이러한 가능성 가운데 적어도 로페즈와 월튼의 관점은 사진이 개인 양식을 가질 수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주장한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transparency inherent in photography and its expression of individual style. Photography is commonly perceived as a medium of transparency, yet it is also expected to embody distinctive stylistic characteristics as an art form. However, it seems improbable that the transparency inherent in photography aligns seamlessly with its stylistic attributes, as the non-transparency inherent in the medium plays a pivotal role in shaping its distinctive stylistic features in some arts. Drawing upon Scruton's perspective, I articulate the argument for the absence of style in photography. Subsequently, I delve into the logical framework by challenging the soundness of this argument. Through an examination of viewpoints posited by the champions for the presence of style in photography, I contend that Lopes’s and Walton’s perspectives strongly suggest the existence of individual styles within photography.

      • KCI등재

        래드포드의 퍼즐과 비인지주의 감정 이론의 전망

        최근홍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논총 Vol.75 No.1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he claim that Colin Radford’s real question in the Radford’s puzzle concerning our emotional response to fiction is the causal one, and investigate the prospect of an approach to this puzzle, which adopts a noncognitive theory of emotion. SeaHwa Kim has pointed out that Kendall Walton’s account, which treats the puzzle as the conceptual one, is not a satisfactory solution to it, and argued that the real question is the causal one. She has also claimed that the causal ques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ual one, and suggested a revision to the cognitive theory of emotion while construing this as showing, that the answer to the causal question can support the answer to the conceptual question. While finding her insight of great significance that Radford’s question is fundamentally the causal one, I demonstrate that Kim’s objection to Walton’s solution makes a fallacy of ambiguity by using the term ‘the causal question’ ambiguously. Furthermore, I do not think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causal question and the conceptual question is as close as Kim regards it to be, and thereby argue that her revisionary suggestion does not show what it is supposed to do. Finally, considering the recent development of noncognitive theories of emotion, I think that the reasons the cognitivists give for blocking the noncognitive approach to the Radford’s puzzle, which include the problems of the individuation, rationality and intentionality of emotions, are not so much compelling any longer. In particular, I introduce as a good example Jesse Prinz’s theory of emotion, namely, the embodied appraisal theory, and evaluate the prospect of an attempt to understand our emotional response to fiction in terms of his noncognitive theory. 이 논문에서 나는 허구에 대한 감정 반응과 관련된 래드포드의 퍼즐에서 래드포드가 제기한 진정한 물음이 인과적 물음이라는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 퍼즐에 대해 감정 비인지주의의 접근이 갖는 전망을 탐색한다. 김세화는 래드포드가 제기한 물음을 개념적인 것으로해석한 월튼의 해결책이 만족스럽지 않다고 지적하고, 래드포드의 진정한 물음은 인과적 물음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김세화는 감정에 대한인지주의를 수정한 이론을 제안하면서, 이것이 인과적 물음에 대한 답변이 개념적 물음에 대한 답변을 뒷받침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것으로 이해한다. 나는 래드포드가 인과적 물음을 제기하고 있으며 그것이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는 김세화의 통찰에 동의하지만, 월튼에 대한 김세화의 반론은 ‘인과적 물음’이라는 표현을 애매하게 사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나는 인과적 물음과 개념적 물음이 김세화의 주장만큼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고 여기지 않으며, 따라서 김세화의 수정된 제안이 그러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한다고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나는 래드포드의 퍼즐에 대해 감정 비인지주의의 접근을 차단하는 근거로 인지주의자들이 제시하는 감정의 개별화, 합리성, 지향성 등의 문제는 최근의 발전된 비인지주의 이론을 고려할때 더 이상 설득력이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특히, 나는 프린츠의 체화된 평가 이론을 그 사례로 소개하고, 비인지주의 이론을 통해 허구에대한 감정 반응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가지는 전망을 검토한다.

      • KCI등재

        양식의 수수께끼 : 그림의 사실성에 관한 논쟁

        최근홍 현대미술학회 2022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6 No.1

        In this paper I critically investigate some debates over a topic of pictorial realism. First, I examine how Gombrich’s idea that pictures are both perceptual and conceptual plays a role in the so-called ‘riddle of style’. Secondly, I show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views on style, each of which respectively claims either that style is conventional or that it is perceptual. Thirdly, I comparatively analyze Goodman’s theory of realism and Lopes’s. Finally, I criticize Lopes’s conception of pictorial realism, and propose, instead of “realism”, an alternative term, “literalism,” by which I think we may take a corrective action on this topic. 이 글에서 나는 그림의 사실성에 관한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먼저, 그림이 지각과 개념의 양면을 갖는다는 곰브리치의 생각이 이른바 양식의 수수께끼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 다음으로, 양식의 수수께끼는 그림의 사실성이 양식의 사실성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때 양식이 관습이라는 견해와 양식은 지각이라는 견해 사이의 충돌을 소개한다. 세 번째로, 사실성 개념에 대한 로페즈의 이론과 굿먼의 이론을 본격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로페즈의 사실성 개념을 비판하고, 그림의 사실성이 아닌 양식의 직해성으로 이 문제를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미적 감정주의와 미적 감정- 환원주의와 수정주의 비판 -

        최근홍 대한철학회 2024 哲學硏究 Vol.169 No.-

        미적 감정주의는 미적 가치평가가 감정 반응에 근거한다는 생각이다. 이 글에서 나는 미적 감정주의에 기초하여 미적 감정이 있다고 주장하는 두 관점인 환원주의와 수정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경이 환원주의는 비인지주의 감정 이론을 전제하고 미적 감상이 경이 감정으로 환원된다고 주장한다. 다수 감정 환원주의는 인지주의나 비인지주의를 전제하지 않고 미적 감상이 다수의 감정으로 이루어진 한 부류로 환원된다고 주장한다. 반면 수정주의는 감상 감정인 미적 감정이 별도의 감정적 기능인 완성적 기능을 갖기에 독자적인 감정 유형으로 분류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환원주의는 개념 예술 감상을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가진다. 이에 더해, 경이 환원주의는 재조정을 통해 미적 경이의 지향적 대상을 구성하는 데 취약하고, 다수 감정 환원주의는 미적 가치평가의 근거가 감정이 아닌 다른 반응이나 태도일 가능성을 간과하는 문제를 가진다. 한편 수정주의는 감정의 완성적 기능과 정감적 평가가 개념적으로 충돌하는 문제를 드러내며, 직접 경험 원칙에서 벗어나는 예술 감상 사례를 설명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나는 환원주의와 수정주의가 모두 성공적이지 않다고 결론 내린다. Aesthetic sentimentalism is the view that aesthetic evaluations are grounded in emotional responses.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two perspectives: the reductionist and the revisionist accounts of aesthetic emotions, both of which are based on aesthetic sentimentalism. Wonder Reductionism presupposes a noncognitive theory of emotion, and asserts that aesthetic appreciation is reduced to wonder. Cluster Reductionism, which does not presuppose either cognitivism or noncognitivism regarding the nature of emotions, argues that art appreciation is reduced to a cluster of emotions. On the contrary, the revisionist view claims that emotions of appreciation have a distinct consummatory function and qualify as aesthetic emotions. Both wonder and cluster reductionisms do not explain the appreciation of conceptual art appropriately. In addition, wonder reductionism is liable to constituting the intentional content of aesthetic wonder in virtue of recalibration, while cluster reductionism ignores the possibility of aesthetic evaluation being grounded in other responses or attitudes rather than emotional ones. On the other hand, the revisionist account reveals the conceptual conflict between the consummatory function and the affective appraisal, while being incapable of explaining art appreciation beyond the acquaintance principle. I conclude, therefore, that both perspectives are unsuccessful.

      • KCI등재

        예술비평의 역할과 비평적 이유들의 추론적 성격

        최근홍 ( Choi Kunhong ) 한국미학회 2020 미학(美學) Vol.86 No.1

        Art criticism is an activity which reaches a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relevant critical reasons provided that it follows the norm of rationality. These critical reasons may be regarded either as participating in logical inferences (‘the theoretical model’) or as reasons for action (‘the practical model’). Whichever model we may take, it depends on how we think about the role of art criticism and whether there are general principles of criticism.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critically examine a practical model by Anthony Cross and a theoretical model by Noël Carroll, respectively. Second, I investigate a hybrid theory by Emine Tuna, a particularist, whose account attempts to incorporate the theoretical and the practical model, and criticize that her revisionist version cannot be successful. Finally, I argue that the particularist may still have an alternative revisionist account if he introduces presumption as a means of replacing general principles in critical reasoning.

      • KCI등재

        고통스러운 예술의 역설 : 스트롤의 부사구주의 쾌 이론과 강한 양가성

        최근홍 ( Choi Kunhong ) 한국미학회 2021 미학(美學) Vol.87 No.2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plore Matthew Strohl’s adverbialist theory of pleasure and its tenability as an account for the paradox of painful art under the category of strong ambivalence. Strohl proposes adverbialism as an alternative to the Folk Theory according to which pleasure and pain are taken to be phenomenally characterized feelings. I claim that, because of underestimating the role of phenomenal character of pleasure and pain, his theory has counterintuitive ramifications, though the explanatory power of his version of adverbialism is superior to that of other competing versions. Strong ambivalence solutions hold that we enjoy, or take pleasure in, the overall appreciation of painful art, not in despite of, but partly in virtue of the negative affect, or pain. I argue that Strohl’s adverbialism exaggerates the role of pain in response to painful art while being inferior to the Folk Theory where it must explain it rightly, and hold that it is not even a live option for explaining the inverse version of strong ambivalence.

      • KCI등재

        독특한 현상으로서 비극의 역설 : 인과적 접근과 동기 접근

        최근홍 ( Choi Kunhong ) 한국미학회 2018 미학(美學) Vol.84 No.2

        David Hume, in his essay, “Of Tragedy,” called the paradox of tragedy ‘the singular phenomenon’. Many Philosophers including Hume himself seem to think that they have to present a solution to the paradox of tragedy in order to explain the singularity of the phenomenon. They begin with giving an answer to the causal question, ‘How do we take pleasure from tragedy?’ or ‘What is the source of pleasure in tragedy?’ in order to meet the paradoxical question, ‘How do we take pleasure from tragedy which elicit fear and pity in us?’ So, on the basis of their answer to the causal question, they claim that people who appreciate tragedy are not irrational, and that their enjoyable responses to tragedy are appropriate or even merited. However, I object that ‘the causal approach’ which starts with the causal question has intrinsic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applicative generality and appreciative reality, and that it overlooks the fundamental question in the moment issuing the paradox. The idea is that the paradox occurring, when we enjoy arts, for example, tragedy, horror, or melodrama, cannot be suitably explained without answering the motivational question, ‘What does motivate us to voluntarily appreciate arts that elicit negative emotions in us?’ I argue that ‘the motivational approach’ is on the right track because it both solves the problems of ‘the causal approach’ and explains the singularity of the paradox.

      • KCI등재

        미적 불일치, 상대주의, 그리고 미적 실재론

        최근홍 ( Kun Hong Choi ) 한국미학회 2016 미학(美學) Vol.82 No.1

        In this paper, I investigate the topic of the reality of aesthetic properties. First, I outline the basic structure of the debate about aesthetic realism, which is focused upon most familiar views taken by Levinson and Goldman. In this structure, it is whether aesthetic attributions are truth-apt that determines whether aesthetic properties are real. I call this truth-aptness the ‘Normativity Thesis’. So far, the normativity thesis has been understood in terms of the concept of theobjective truth. This means that one is committed to realism ifaesthetic attributions are objectively truth-apt, or anti-realism otherwise. However, I challenge this objectivist commitment by arguing that truth relativism, which claims that aesthetic attributions are truth-apt relative to contexts of assessors, gives the best explanation for the normativity thesis. If this argument is successful, objectivism does not necessarily imply realism any longer, thereby the possibility of aesthetic realism is still open to truth relativism. In this new picture, I criticize a relativist offer that aesthetic properties are self-ascriptive properties, and put forward an alternative propsal that they are evaluative prop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