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둘러겹침허상 제거를 위한 금속성 메시 포화 밴드(mesh saturation band) 성능의 모의실험에 관한 연구

        최관우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2022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Vol.32 No.2

        This study presents a comprehensive simulation of a metallic mesh saturation band that does not affect the magnetic field. The aim was to determine its potential performance in aliasing artifact mitigation in partial MRI scans. Using an xFDTD program, the simulation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no saturation band (type 1), an existing saturation band which absorbs the electromagnetic wave (type 2), and the new metallic mesh saturation band which shields the electromagnetic wave (type 3). The RF field map and field strength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performance was excellent for the new metallic mesh saturation band, compared with the other bands. In conclusion, the simulation data demonstrated the superiority of the new metallic mesh saturation band in improving the problems of existing aliasing artifact removal methods. Therefore, it can be applied as a method for removing aliasing artifac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환자정보의 체중을 낮게 입력하여 전자파흡수율을 감소시키는 대안의 오류

        최관우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error of lower weight input method as an alternative to reduce the specific absorption rate(SAR) in MRI. In order to prove that the SAR values not change according to the weight entered into the patient information, the 50kg phantom is placed in the coil and the input weight is changed from 10 to 100 in 10kg units to compare the SAR values. As a result, T1-weighted images had a SAR rate of 0.2W/kg and T2-weighted images had an average of 0.4W/kg. In conclusions, the SAR does not change according to the weight input by the technician before the scan, a lower weight when inputting patient information cannot be an alternative to reduce the SAR.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전자파흡수율을 감소시키는 대안으로 환자정보의 체중을 낮게 입력하는 방법의 오류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환자정보에 입력하는 체중에 따라 전자파흡수율이 변화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50kg 팬텀을 코일 안에 위치시킨 후 입력 체중을 10kg에서부터 100kg 까지 10kg 단위로 변화시켜 기기에서 산출되는 전자파흡수율을 비교평가 하였다. 연구결과, T1 강조영상은 전자파흡수율이 평균 0.2W/kg이었고 T2 강조영상은 평균 0.4W/kg이었으나, T1, T2 강조영상 모두 체중의 변화에 따른 전자파흡수율의 변화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검사 전 검사자가 입력하는 체중에 따라 전자파흡수율은 변화되지 않으므로, 환자정보 입력 시 체중을 낮게 입력하는 것은 전자파흡수율을 감소시키는 대안이 될 수 없다.

      • KCI등재
      • KCI등재

        kg당 조영제 주입량 변화에 따른 T1 이완효과에 의한 신호강도 변화

        최관우,양선욱,서대건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2015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Vol.25 No.-

        목 적 : 조영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검사에 사용되는 조영제는 영상의 대조도를 변화시키는데 직접 관여하는 요오드 성분의 CT 조영제와는 달리 혈관 내 물분자의 이완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대조도 차이를 형성하는 간접적인 역할을 한다. 이때 혈관의 대조도는 T1 이완효과에 의해 신호강도가 좌우되는데 T1 이완효과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T1 이완효과를 좌우하는 여러 요인 중 kg당 조영제 주입량 변화에 따른 T1 이완효과에 의한 신호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연구방법은 1mol의 조영제를 0.5mol로 생리식염수에 희석한 후,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월까지 조영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검사를 받은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각각 kg당 조영제 주입량을 0.1, 0.15, 0.2ml로 변화시켜 가며 SPIR(spectral presaturation with inversion recovery)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획득 장비는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Archieva, Philips medical system)와 16channel SENSE NV 코일을 사용하였으며, 영상 평가프로그램인 Image J를 이용하여 mol 농도별로 kg당 조영제 주입량을 변화하여 획득한 영상의 신호강도를 측정한 후 일원배치분산분석과 Duncan의 사후분석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결과, 영상의 평균신호강도는 kg당 조영제 주입량이 0.1ml일 경우 181.58±18.21, 0.15ml일 경우 189.52±33.04, 0.2ml일 경우 204.42±26.14로 kg당 조영제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영상의 평균신호강도도 증가하였다. 일원배치분산분석결과 유의확률이 0.047로 kg당 조영제 주입량의 결과 값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이상의 값이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Duncan의 사후분석결과, 유의수준 0.05에 대한 2개의 부집단 중 집단 1은 kg당 0.1과 0.15ml, 집단 2는 kg당 0.15와 0.2ml로 나타나 kg당 0.2ml로 조영제를 주입할 경우 유의한 차이로 평균 신호강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결 론 : 본 연구는 0.5mol 조영제의 가이드라인으로 인해 0.2ml 이상 kg당 조영제 주입량의 신호강도 peak치를 얻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같은 mol 농도에서 kg당 조영제 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신호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T1 이완효과를 좌우하는 여러 요인 중 kg당 조영제 주입량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 변화를 파악하였다는 데에 커다란 의의가 있다. 향후 T1 이완효과를 좌우하는 여러 요인과의 복합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뒤틀림을 줄이기 위한 SS-TSE DWI의 신호대잡음비

        최관우,양선욱,서대건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2016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Vol.26 No.-

        목 적 : 본 연구는 뇌줄기 확산강조영상 검사 시 뒤틀림을 줄이기 위한 SS-TSE 기법의 신호대잡음비 감소를 수치적으로 정량화하여, 낮은 신호대잡음비로 인한 SS-TSE 기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방법은 2015년 7월부터 동년 10월까지 뇌줄기 확산강조영상 검사를 검사한 35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SS-EPI 기법과 새로운 SS-TSE 기법을 적용하여 기법에 따른 숨뇌의 신호대잡음비을 비교평가 하였다. 결 과 : 연구결과 b0 영상의 신호대잡음비는 새로운 SS-TSE 기법(314.41±42.96) 적용 시 SS-EPI 기법(514.84±48.97) 보다 38.9% 감소하였으며, b1000 영상의 경우도 SS-TSE 기법(117.33±14.04) 적용 시 SS-EPI 기법(208.65±25.70) 보다 43.8% 감소하였다. 결 론 : 결론적으로, 미세 병변을 진단하기 위한 뇌줄기의 확산강조영상 검사 시 뒤틀림을 줄이기 위해 SS-TSE 기법을 적용할 경우 신호대잡음비가 저하됨으로 기존의 SS-EPI 기법이나 MS-EPI 기법을 병행하여 검사하는 것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근골격 확산강조영상 검사 시 최적의 NEX에 관한 연구

        최관우,양선욱,서대건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2018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4

        목 적:확산강조영상의 ADC value는 종양의 악성도가 높을수록 낮은 값을 나타내어 종양의 위치 결정과 감별진 단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근골격 확산강조영상 검사 시 최적의 NEX에 대한 연구가 없어 임상에서는 검사시간이 길어짐에도 불구하고 NEX 6을 주어 검사를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EX의 변화에 따른 ADC value를 비교분석하여 근골격 확산강조검사 시 최적의 NEX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연구방법은, 근골격 확산강조검사 시 최적의 NEX를 제시하기 위해 10명을 대상으로 슬관절의 확산강조영상을 획득하여 NEX의 변화에 따른 ADC value를 비교분석하였다. 영상획득은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 장치(Ingenia CX, 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와 dS T/R 16채널 Knee 코 일을 사용하여 single-shot EPI 기법을 기반으로 한 확산강조영상을 획득 하였으며, 회득한 영상은 뼈 와 근육으로 나누어 ADC 영상을 생성한 후 ADC value를 측정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과 사후분석을 통 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였다. 결 과: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남성이 6명, 여성이 9명 이었고 평균연령은 56.42±13.19세(38세 -75세) 였다. 최적의 NEX를 제시하기 위해 NEX의 변화에 따른 ADC value를 측정한 결과 뼈의 경우 1NEX 0.212±0.020, 2NEX 0.151±0.015, 3NEX 0.125±0.017, 4NEX 0.110±0.010, 5NEX 0.102±0.014로 나타났고, 근육의 경우 1NEX 1.494±0.070, 2NEX 1.387±0.052, 3NEX 1.371 ±0.045, 4NEX 1,359±0.055, 5NEX 1.369±0.042로 나타났다. 일원배치분산분석결과 뼈의 경우 F 77.347, 유의확률 0.000, 근육의 경우 F 10.640, 유의확률 0.000으로 나타나 NEX의 변화로 인한 ADC value가 적어도 다른 하나의 값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적어도 다른 하나의 값이 무엇인지 알아보 기 위해 사후분석을 시행해본 결과 뼈의 경우 집단 간 차이가 4개로 나타났는데 집단 1의 경우 5NEX와 4NEX, 집단2의 경우 3NEX, 집단3의 경우 2NEX, 집단 4는 1NEX로 나타나 4NEX 부터는 ADC value 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으며, 근육의 경우 집단 간 차이가 2개로 나타났는데 집단 1의 경우 5NEX, 4NEX, 3NEX, 2NEX, 집단 2는 1NEX로 나타나 2NEX 부터는 ADC value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결 론:근골격 검사 시 환자가 통증을 동반하거나 폐소 공포 또는 소음에 민감한 경우 검사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움직임 등 영상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NEX는 값이 증가함에 따라 검사시간도 비례하여 증가하 는데 근골격 확산강조영상의 경우 임상에서는 아무런 근거없이 NEX를 6이상 주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근골격 확산강조영상 검사 시 최적의 NEX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 과 뼈의 경우 4NEX, 근육의 경우 2NEX부터는 ADC value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환자가 통증을 동반하거나 여러 원인에 의해 움직일 가능성이 증가할 경우 본 연구의 결과를 적절히 활용하여 검사를 시행한다면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 KCI등재

        1mol과 0.5mol macro cyclic 조영제의 신호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최관우,서대건,하동윤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2014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Vol.24 No.-

        목 적 : 자기공명검사 시 사용되는 조영제는 영상의 대조도를 변화시키는 데 직접 관여하는 X선 조영제와는 달리 인체 내 물 분자의 이완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대조도를 변화시키는 간접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관류검사나 혈관조영검사의 경우 조영제가 인체 내 혈관에 주입되면 혈액과 희석을 통해 mol 농도가 변화되며 시간이 지날수록 신호강도가 변화하는데 아직까지 mol 농도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를 분석한 연구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안전성이 입증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1mol(Gadovist)과 0.5mol(Dotarem) macro cyclic 조영제의 mol 농도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를 분석하여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관류나 혈관조영검사에 관한 연구 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방법은 1mol과 0.5mol의 macro cyclic 조영제를 mol 농도별로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phantom을 제작한 후 혈관조영검사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fast field echo 기법으로 SPIR(spectral presaturation with inversion recovery)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획득 장비는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Archieva, Philips medical system)와 16channel SENSE NV 코일을 사용하였으며, 영상 평가프로그램인 Image J를 이용하여 mol 농도별로 희석한 phantom 영상의 신호강도를 측정한 후 1mol과 0.5mol 조영제의 신호강도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신호강도곡선과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결과, 신호강도곡선은 1mol 조영제가 20mmol(1/50 희석)에서 최고점을 이룬 후 0.5mol 조영제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여 200mmol부터 평형을 이룬 반면, 0.5mol 조영제는 9mmol(1/55.56 희석)에서 최고점을 이룬 후 1mol 조영제에 비해 완만히 감소하다 300mmol에서부터 평형을 이룬다. 이는 같은 mol 농도라 하더라도 조영제에 따라 신호강도의 특성이 다름을 나타내는 것으로 독립표본 T검정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1mol 조영제와 0.5mol 조영제는 2mmol(sig=.431)과 400mmol(sig=.088) 그리고 500mmol(sig=.058)에서만 신호강도의 차이가 없을 뿐 모든 구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안전성이 입증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1mol과 0.5mol macro cyclic 조영제 중 PorHance(0.5mol)의 특성을 파악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으나, 조영제의 mol 농도 변화에 따른 1mol과 0.5mol 조영제의 신호강도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더 나아가 인체 주입시 mol 농도 변화에 따라 영상을 획득하는 관류나 혈관조영검사에 관한 연구 시 기초자료로서 초석을 마련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