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관계인 거래 공시와 조세회피 행위 -공정거래위원회 공시를 중심으로-

        최가영,이우종,노희천 한국세무학회 2020 세무와 회계저널 Vol.21 No.1

        Related party transactions (RPT) are often made based on discretionary contracts that benefit one party at the cost of the other party, but unlikely subject to strict monitoring of shareholders. These characteristics provide RPT firms with an effective means to engage in tax avoidance. To alleviate such adverse effect of RPT, two regulatory bodies in Korea require firm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RPT. First,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requires firms to disclose in the footnote of financial statements whether they have related parties and how much they trade with those parties in aggregate (FSC disclosure). Second, Fair Trade Commission also requires member firms in business groups to disclose the details of each RPT (FTC disclosure). Although the FTC disclosure may contain incremental information beyond the FSC disclosure, the comparison between two types of disclosures has not been throughly studied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RPT and tax avoidance, using both FSC and FTC disclosures. We document evidence that FTC disclosure frequenc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degree of tax avoidance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RPT magnitude in the financial statements, suggesting its incremental information value. However, we fail to find robust evidence that FTC disclosures interact with FSC disclosures in explaining tax avoidance.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disclosure literature on the relation between non-tax disclosures and tax avoidance. 특수관계인 거래는 일방에 유리하도록 계약을 설정할 수 있고 외부 주주에 의한 감시와 통제를 덜 받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기업집단의 특수관계인 거래는 조세를 회피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주주와의 정보비대칭을 해소하고 기업집단 내 부당내부거래를 감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각 재무제표 주석에 공시되는 금융위원회 공시(‘금융위 공시’)와 공시대상기업집단의 대규모내부거래를 대상으로 하는 공정거래위원회 공시(‘공정위 공시’) 규정을 두고 있다. 금융위 공시는 재무제표 주석에 특수관계인 유무와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특수관계 거래 규모를 공시하도록 하며, 공정위 공시는 일정 규모 이상의 특수관계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거래목적 및 거래금액 등을 수시로 공시하도록 하고 있다. 공정위 공시는 금융위 공시와 그 목적과 방법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기업의 조세회피 행위에 대해서도 차별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지만, 직접 공시 정보를 수집해야하는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기존 연구들이 자세히 다루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문헌에서 주로 다룬 금융위 공시에 의한 특수관계인 거래와 더불어 수작업으로 모은 특수관계인 거래에 관한 공정위 공시가 조세회피에 미치는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금융위 공시에 의한 특수관계인 매출․수익과 매입․비용을 통제한 후에도 특수관계인 거래에 관한 공정위 공시 건수가 많을수록 기업의 조세회피수준이 높아짐을 발견하였다. 기업의 조세회피 측정치는 Desai and Dharmapala(2006)의 모형에 의한 조세회피 측정치와 회계상 유효세율, 현금유효세율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금융위 공시와 공정위 공시는 조세회피에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 본 연구는 특수관계인 거래라는 비세무정보 공시가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재무회계와 세무회계 분야의 관련성을 확장하였다는 공헌점이 있다. 또한 기업의 조세회피 수단을 규명했다는 점에도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경계 속 아이들의 교육전략: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의 이주경험과 진로선택에 대한 분석

        최가영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지역과 세계 Vol.46 No.2

        This study looks at the educational strategies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children, and its purpose is to analyze how the educational system and immigration policies have affected their migration patterns and career formation.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in Ulaanbaatar, Mongolia were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in Ulaanbaatar, Mongolia focused on the educational choices of migrant families and the career guidance of teachers in the process of returning home and then re-migrating to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henomenon of the Mongolian migrant children returning to Mongolia, at the time of their transition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can be interpreted as an educational choice arising from a “response to discontinuity” in the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 Second,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children to go to a Korean university wer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even after returning to Mongolia, and this has led to their re-migration at the time they enter university. While the migration experiences of these youth in South Korea have been a negative factor in their career formation in Mongolia, they have, at the same time, been a positive factor in introducing them to Korea early on, which has aided them in the Korean university study abroad process. In this way, the phenomenon is facilitating the re-migration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children. The results and analysis of the study stress that what influences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migrant youth is not only the “inclusion at every stage of education”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but also the discontinuity of education ideology that is applied at each stage of education for adolescents of migrant backgrounds. The educational strategies and migration patterns of the Mongolian migrant workers’ children can be seen as an “educational regression phenomenon” that has occurred between two systems: the university's internationalization policy and the university screening system’s selective inclusion and exclusion practices based on the migration backgrounds of the children. 본 연구는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의 교육전략에 주목하여, 교육제도와 이민정책이 이주청소년의 진로 형성과 이주 형태에 어떠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몽골에 귀국한 이주청소년 17명과 현지 중등교육기관 5개교의 교원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진행하였다. 한국과 몽골 사이에서 이주가족의 귀국과 재이주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 선택과 진로형성과정에 주목한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에게 나타나고 있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 진학 시점에서의 귀국 현상은,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비연속성 대한 전략’으로 발생한 교육 선택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가 한국 체류 시부터 가지고 있었던 한국 대학교로 진학하고자 하는 교육포부는 몽골로 귀국한 후에도 냉각되지 않은 채 그대로 유지 또는 강화되고 있었고, 이는 대학 진학단계에서 한국으로 재이주하는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 선택에는, 그들의 한국에서의 ‘이주경험’이 몽골 사회에서 커리어를 형성하는 과정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대학교 진학 과정에서 그들을 한국으로 유입시키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에 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이주청소년의 교육 문제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각 교육 단계에서의 포섭’ 방식에 대한 논의뿐만 아니라, 각 교육과정에 적용되고 있는 교육이념의 연속성에 대하여 주목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몽골 이주노동자 자녀의 교육전략과 이주 형태는, 고등교육단계의 선발제도에서 이주청소년의 이주 배경에 따른 선별적 포섭(배제)과 대학의 국제화정책의 두 가지 제도 사이에서 일어난 ‘교육 회귀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역류성 식도염의 변증과 처방에 관한 문헌적 고찰 - 중국 논문 중심으로 -

        최가영,선승호,김병우,이선주,오현석,한인식,고재언,Choi, Ga-Young,Sun, Seung-Ho,Kim, Byoung-Woo,Lee, Sun-Ju,Oh, Hyun-Suk,Han, In-Sik,Ko, Jae-Eon 대한한방내과학회 2011 대한한방내과학회지 Vol.32 No.1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orient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reflex esophagitis (RE) such as syndrome differentiation and herbal medicine by reviewing Chinese journals. Methods : A journal search was performed using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0. The keywords were the various combinations of 'reflex esophagitis', 'Chinese medicine', 'syndrome differentiation', and 'herbal medicine'. All types of journal entries that explained or referred to herbal medicines and definite syndrome differentiations were included. The Types of the journals were randomized clinical trials (RCT), reviews, essays, case series and reports. Vague syndrome differentiations and experimental studies were excluded. Selected journals were extracted and summarized by two researchers independently. Results : 47 Chinese entries were finally selected. 61% of them were case-control trials that had non-randomized, active controlled clinical trials. 36 kinds of syndrome differentiations about RE were investigated. We summarized and divided them into 10 syndrome differentiation groups. 肝胃不和(syndrome of liver qi invading the stomach) in syndrome differentiation, 和胃降逆 (harmonize the stomach and direct qi downward) in method of treatment, and Jwa kum-whan (左金丸) were cited with high frequency in RE. Conclusions : We find that many kinds of syndrome differentiation groups and herbal medicines for reflex esophagitis are used in China, compared with Korea.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about oriental syndrome differentiation and treatment of this disease.

      • KCI등재

        산약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가영,김병우,Choi, Ga-Young,Kim, Byoung-Woo 대한한방내과학회 2010 대한한방내과학회지 Vol.31 No.2

        Objectives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Dioscoreae Rhizoma 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vitro. Methods : In vitro experiments were made on antioxidant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nzyme activity of SOD, protective effect about $H_2O_2$ and DNA fragmentation in RAW264.7 cells, as well as antimicrobial by Cox-2 expression in LPS-induced RAW264.7 cells. Results : 1. Dioscoreae Rhizoma's antioxidant ability was improv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 Antioxidant ability of Dioscoreae Rhizoma produced good results at more than 0.025 mg/$m{\ell}$. 3. On protective effect of Dioscoreae Rhizoma about $H_2O_2$ on RAW264.7 cells, with addition of Dioscoreae Rhizoma extract the cells' survival increased compared to adding $H_2O_2$ only. 4. About revelation-control of Cox-2 at RAW264.7 cells which induce by LPS, when Dioscoreae Rhizoma's concentration was higher from 0.0125 mg/$m{\ell}$ to 1 mg/$m{\ell}$, its control activity was stronger. Thus we found Dioscoreae Rhizoma has antimicrobial activity. 5. The power of DNA fragmentation control of Dioscoreae Rhizoma was time-independent. Conclusions : From this study we conclude that Dioscoreae Rhizoma has effects 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However, considerable work still needs to be done studying antioxidants by concentration, as well as a variety of experiments about antimicrobial activity.

      • KCI등재

        직장 내 연령차별이 중노년기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 완충 효과를 중심으로

        최가영,정재원,이희라,이해나 한국보건사회학회 2023 보건과 사회과학 Vol.- No.64

        대한민국의 인구 구조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지난 15년 동안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는 2 배 증가하였으며, 전체 노동인구 중고령 노동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0%가 넘는다. 하지만 지난20~30년 동안 우리 사회에 연령차별(age discrimination)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노인은 쓸모없고, 능력 없고, 부담되는 존재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50세 이상 중고령자 노동자에 대한 차별적 태도가 만연해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차별적 경험은 생계유지를 위해 은퇴 후 노동시장을 떠나지 못하는 중고령자들에게 장기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2006 - 2020년)를 사용하여 연령차별과 중노년기 외로움 궤적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연령차별의 효과가 사회참여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한다. 성장곡선모형 분석한 결과, 직장 내 나이로 인해 조기은퇴 분위기를 경험한 중고령자일수록 그러지 않은중고령자에 비해 외로움을 느낄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여러 사회참여 중 동질적집단(동창회, 향우회, 종친회)과의 사회교류는 직장 내 연령차별이 외로움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에서 중고령자 노동자의 노동환경에 대한 인식 개선과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ge discrimination at work is associated with loneliness and how this association is buffered by social participation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Data are draw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2006-2020). Age discrimination at work is measured using respondents' reports on whether their colleagues fostered a work environment where older employees are expected to retire before reaching the mandatory retirement age. We estimate loneliness by asking respondents their feelings of loneliness. Growth curve models are used to predict the long-term effects of age discrimination at work on the trajectories of loneliness over time. Our results suggest that older workers who experienced an early retirement atmosphere at work are more likely to feel lonely compared to those who do not.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age discrimination at work and loneliness is found to be moderated by social interactions with homogeneous groups such as alumni associations or hometown associations. The proportion of older worker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past decade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developing intervention aimed at enhancing the working environment to prevent further disparities among older workers in Korea.

      • KCI등재

        Phenolic changes in a combined herbal extra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Houttuynia cordata, and Spirodela polyrhiza and alleviation of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 in BALB/c mice

        최가영,김관중,박호섭,황은상,조재민,김현범,김대옥,박지호 한국식품과학회 2024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33 No.1

        Atopic dermatitis (AD) is an inflammatory skin disease showing skin barrier dysfunction, eczematous lesions, severe itching, and abnormal immune respon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n herb combination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LE), Houttuynia cordata (HC), and Spirodela polyrhiza (SP) has a superior anti-AD effect. Forty-two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LE, HC, SP, and a combined herb extract of LE, HC, and SP (LHS) using ultra-high-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UHPLC)-Orbitrap mass spectrometer (MS). The concentration of flavonoid glycosides including orientin (luteolin-8-C-glucoside), quercetin-3-O-rhamnoside, and luteolin-7-O-glucoside in the LHS was increased than in individual extracts. Furthermore, the treatment of LHS most effectively inhibited the increase of epidermal thickness, the number of mast cells, and the release of immunoglobulin E compared with that with each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tential anti-AD effects of the LHS are due to the changes of bioactive compounds by the combination of her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