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경강유역 청동기시대 전기·중기 취락 특징과 분포양상

        천선행 호서고고학회 2019 호서고고학 Vol.0 No.44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angyeong river basin in the Bronze Age by analysing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illages in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In the Early Bronze Age, the Garakdong type originated from the Geum river basin spread out to take root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bringing changes to the area. Similarly, in the Middle Bronze Age, the Songgungni-type culture that also emerged in the Geum river basin spread to various parts of Jeollabuk-do through the Mangyeong river basin. Contrary to previous belief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onggungni-type culture gradually converged on roundhouses as it got farther from the Geum river basin.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region adjacent to the Mangyeong river basin–including Imsil, an area along the Jeonju Stream, and another area surrounding Mount Seonunsan in Gochang, the endpoint of the Western Plain–served as a cultural border with the Songgungni-type culture from the Seomjin and Nakdong river basins. And while the individual settlement from Early Bronze Age culture kept some distance from one another, sometimes found in pairs, it was found that the Middle Bronze Age formed a group of settlement where medium and smal size villages were placed around large villages, each group situat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oth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gyeong river basin in the Early- and Middle-Bronze Age can be summarised as two. First, the Mangyeong river basin was both a thoroughfare that connected plains and mountains and a cultural node. The environment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Mangyeong river basin resulted in limited arable and habitable land, and the distribution of villages in the Middle Bronze Age shows many similarities to that in the following ages. Therefore, secondly, the Bronze Age culture of the Mangyeong river basin is characterised by having provided a cultural foundation for the villages in the following Early Iron Age and ProtoThree Kingdoms Period. 본고는 청동기시대 전기-중기 취락의 분포양상을 통해 만경강유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특징을 검토한 것이다. 청동기시대 전기에는금강유역 가락동유형이 파급되어 만경강유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지역 내 변형이 발생하고, 중기의 송국리문화 역시 금강유역으로부터 유입되어 만경강유역을 통해 전북 각지로 확산된다. 다만 송국리문화의 경우, 기존 견해와 달리 금강유역에서 멀어질수록 평면 원형에 내주공식 주거형태로 수렴되는 특징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만경강유역의 영향이 미치는 주변부, 즉 전주천을 따라 연결되는 임실지역과 서부평야가 끝나는 고창 선운산일대에서 섬진강유역 및 낙동강유역 송국리형문화와의 문화적 경계를 형성한다고 보았다. 아울러전기문화가 개별 유적 1개소 내지 2개소가 일정거리를 두며 점재하는 데 비해, 중기가 되면서 대형취락을 중심으로 중소형취락이 배치되는 취락군을 형성하고 취락군 간에 일정한 공간적 거리를 유지하며 전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청동기시대 전기-중기 동안 만경강유역의 특징을 두 가지로 축약할 수 있다. 첫째 만경강유역이 평야와 산지를 잇는 지리적교통로이자 문화의 결절지라는 점이다. 만경강유역의 자연·지리적여건은 가경지 및 거주지가 제한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청동기시대중기 취락 분포양상이 이후 시기와 상당부분 겹친다. 따라서 둘째 만경강유역 청동기시대 문화는 이후 초기철기시대, 원삼국시대 취락의기저문화라는 특징을 갖는다고 보았다.

      • KCI등재

        선사토기 제작기술 변화와 의미

        천선행 호남고고학회 2023 湖南考古學報 Vol.74 No.-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사시대 토기 제작기술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선사토기 제작기술 변화양상과 변화의 배경을 살폈다. 그 결과 신석기시대에는 토기의 성형과 소성 시의 실패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비짐을 혼입하고 점토띠 너비를 좁게 하여 제작하는 방법을 채택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반면 청동기시대에는 유적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비교적 점성이 있는 바탕흙을 이용하고, 이 경우 바탕흙의 가소성이 향상되어 성형 조건을 이미 갖추게 된다. 그리고 좀 더 원활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점토띠 너비가 넓어진다. 따라서 무문토기는 토기 성형을 위한 조건이 갖추어졌고, 성형보다는 소성 시의 실패품을 감소시키고, 연료 절감을 도모하며 소성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균일한 소성환경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소성기술을 발달시켜 왔다고 추정하였다. 통시적으로 선사토기의 제작기술은 바탕흙과 성형기술, 소성기술이 상관성을 가지며 변하고, 제작기술 변화는 새롭고 뛰어난 기술의 도입으로만 이룩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더라도 생업경제적 배경, 주변환경(내륙으로의 확대, 지질환경 변화), 사회적 여건(조리방식과 전통, 기술력, 토기의 사회적 의미 등)에 따라 채용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무문토기의 타날기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선사시대 토기 제작기술이 단선적인 발전양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당시의 여러 상황에 적응 변용해 왔음을 보여준다.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통해 어느 정도 선사시대 토기 제작기술을 복원할 수 있었지만, 여전히 한계점도 있다. 토기 제작기술을 단순한 제작과정이 아니라, 기술체계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자연과학적 분석을 이용한 기초자료 결과가 계속 축적되어야 하고, 주변 유적과의 비교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선사토기 제작방법을 알 수 있는 증거가 남기 어려운 상황에서 고고학 자료의 정밀한 관찰과 분석, 실험고고학의 성과가 서로 보완되는 순환적 구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과정과 성과가 축적됨으로써, 일부 유적 혹은 유물에 한정되었던 분석결과를 유적 전체로 확대시켜 기술체계의 복원이 가능해질 것이다.

      • KCI등재

        만경강유역 韓 문화의 실체와 전개

        천선행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3 한국고대사탐구 Vol.45 No.-

        This study aims to integrate research findings, organize how Han韓(馬韓): Jinhan and Mahan were formed from written records, and discover archaeological substance of Han. Despite of a considerable gap in understanding of written records between archaeology and bibliographic history, they both recognize Han culture as clay-stripe pottery culture(slender bronze dagger). However, this study does not settle imbalance issues found in tombs and heritages of living cultures in the late Bronze Age when Han culture is taken as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 also, it does not show a reflection of real social structure. Thus,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such issue assuming that Songgukri was sustained for a long time. It turns out Mankyoung River basin is where King Jun headed south. Han was founded as King Jun headed south and coexisted with aboriginal country Jin辰(辰國). After the fall of Gojoseon, large numbers of idle people who came from Gojoseon who shared tribalism with King Jun migrated into central and southern Korea Peninsula, which appears to make first appearance of Jinhan and Mahan. As Mahan is culturally associated with Han founded in this process, its substance seems to be coexistence and convergence between the culture of aboriginal country Jin辰(辰國) and Gojoseon. Specifically, Han culture could be defined as Gojoseon culture, which is new culture of the ruling party, overlapped on Jin culture that creates underlying culture. As indigenous people and new people who came from outside mingle with each other, they preserve and transform indigenous culture and tradition, turning into Mahan people. Sustainability of indigenous culture is reviewed through relic distribution, combination and shape of jar coffin tomb, clay source and sintering of black polished pottery with long neck, axial trace of ratating frame, and ring-shaped knife. But this study remains unsettled issue ; subdividing Songgukri culture though the physical data change and speed can’t be recognized with eyes. However, it allows Songgukri culture and existence of residents as components of Han culture to come to the surface and reifies that Han culture in Mankyoung River basin lasted until 2nd century AD. 본 논문은 그간의 연구성과를 종합하여 문헌기록 상의 韓(馬韓), 진한과 마한의 성립을 정리하고, 한의 실체를 고고학적으로 접근하여 밝히고자 작성되었다. 문헌기록에 대한 고고학과 문헌사학계의 상당한 이해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 문화를 공통적으로 점토대토기문화(세형동검문화)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한 문화를 점토대토기문화로만 규정하여서는 청동기시대 후기의 무덤과 생활유적의 불균형 문제가 해소되지 않을뿐더러, 당시의 사회구조 실상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보고, 송국리문화가 오랜 기간 지속된다는 관점에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만경강유역이 준왕의 남래지임을 재확인하고, 한은 준왕이 남래하면서 성립하여, 토착의 辰(辰國)과 공존하였다고 보았다. 고조선 멸망이후 한씨를 표방하고 준왕과 동족의식을 가진 고조선계 유민들이 대거 한반도 중남부 곳곳으로 이주하면서 진한과 마한 명칭이 등장한다고 추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형성된 한과 문화적으로 연결되는 마한의 본질은 토착의 진(진국) 문화, 고조선계 문화의 공존과 융합이라고 보았다. 즉, 한 문화는 기층문화를 이루는 진(진국)문화에 새로 유입된 지배층의 문화인 고조선계 문화가 중첩된 형태이며, 토착민들과 새로 유입된 유이민이 어울려 토착문화 전통을 유지하고 변형하며 마한인으로 전환되어 갔다고 보았다. 그러한 토착문화의 지속 가능성을 유적의 분포상, 옹관묘의 조합과 형태, 흑색마연장경호의 태토와 소성, 회전대 축흔, 환두(삭)도를 통해 검토하였다. 물론 물질자료의 변화속도가 눈으로 인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송국리문화 세분 문제를 극복하지 못했다. 그러나 한 문화의 한 구성요소로서 송국리문화와 그 주민의 존재를 표면화시키고, 토착민과 유이민의 작용 및 변용을 거치며 만경강유역의 한 문화가 기원후 2세기까지 지속되었음을 구체화시켰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無文土器時代의 早期設定과 時間的 範圍

        千羨幸 한국청동기학회 2007 한국청동기학보 Vol.1 No.-

        본고에서는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의 이행과정상에 나타나는 3개의 초기양상을 검토함으로써 조기의 내용, 조기의 상·하한을 파악하려 하였다. 본격적인 검토에 앞서, 조기의 기준으로 물질자료의 구성이 무문토기시대에 준하며, 동시에 전기와 시기적·형태적으로 구별되는 유물 조합으로 설정하였다. 위의 초기양상 가운데 돌대문토기의 단독기는 전기무문토기와 유물의 형태적 조합에서 구분되고 시간적으로도 선행한다. 그 밖의 신석기시대 말기에 즐문토기와 함께 종종 확인되는 새로운 요소와 무문토기시대내에 잔존하는 즐문토기요소들은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 이행하는 도정을 보여주는 것이긴 하지만 시기적으로 전자는 조기의 단계에 병행하면서 문화내용으로서는 무문토기시대 조기로 볼 수 없고, 후자는 전기이후로 판단하였다. 조기의 상한은 신석기시대 말기에 나타나는 새로운 요소를 실마리로 이중구연토기의 3 단계와 이러한 새로운 요소의 공반상을 파악하여 빨라도 이중구연토기 수가리단계를 소급하지 않을 것으로 보았고, 하한은 물론 전기무문토기의 시작이 된다. 절대연대상으로 보면 상한은 3,200 B.P.를 전후한 시기로, 하한은 2,900 B.P.를 전후한 시기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조기설정이 한반도 남부전역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없고, 무문토기시대로의 전환 양상이 다양함을 말해준다. 이러한 개별적이고 산발적인 특징은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의 전환기에 나타나는 한반도의 특성을 대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Examining three aspects which appeared in the transition from Neolithic to Mumun Period, Iattempt at understanding on the cultural patterns and temporal dimension of Initial MumunPeriod. The Period can be defined on the basis of archaeological assemblages distinguished formNeolithic’s and the Early Mumun Period’s.The period of ‘Doldaemun’pottery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styles and composition arti-facts, and absolute dates. Some elements newly emerged in Late Neolithic assemblage representthe beginning of Initial Mumun Period while the elements of Neolithic that continuously identi-fied in the Mumum Period assemblages is likely to indicate Early Bronze Age or onward.Based on the cross-dating of some elements identified in the third stage of double-rimmed pot-tery, I conclude that the upper limit of Initial Mumun Period was 3,200 BP and did not precedethe stage of Sugari.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imit could be 2,900 BP that coincided with theupper limit of Early Mumun Period.However, the scheme I suggested above cannot be expanded toward whole southern part ofKorea in uniform manner. Rather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remarkable regional variations inthe transition from Neolithic to Mumun Period.

      • KCI등재

        무문토기문화권에서의 청동기시대 시작과 끝

        천선행 호남고고학회 2022 湖南考古學報 Vol.71 No.-

        본고는 무문토기 연구성과를 되짚어 보며, 청동기시대 시간적 범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새로운 물질문화 출현이라는 익숙한 기준을 고대사의 활동무대인 중국 동북지역에까지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였다. 물질자료의 출현을 대신하여 청동기문화의 형성·발달·쇠퇴과정을 온전하게 설명할 수 있고, 그 과정이 문화변동의 중심에 선 고조선의 성립에서 멸망까지 아우를 수 있도록 청동기시대가 재조정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먼저 한반도는 더 이상 ‘청동기가 없는 청동기시대’가 아니고, 이른 시기의 청동기 출토 예가 증가하면서 청동기의 출현 시점이 빨라지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초기 청동기는 청동기시대 시작과 더불어 무문토기문화권 내 네트워크를 통해 유입되었고, 그 시점은 기원전 2000년~기원전 1500년경으로 지역마다 편차가 있다. 다음으로 초기철기시대 특징인 청동기(세형동검), 점토대토기, 철기의 출현시점이 지역마다 상이하여 기준으로 삼기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특히 철기는 새로운 물질자료로 기술상의 획기가 될 수 있지만, 철기가 출현하여도 당시 기층문화인 세형동검문화와 문화변동의 주체였던 고조선이 지속된다. 따라서 청동기시대는 고조선이 멸망하는 기원전 2세기(기원전 100년경)까지로 이후 기원전 1세기경부터 세형동검문화를 대체하여 철기가 생활이기로 정착하고, 고화도소성, 회전판성형 등 새로운 제도기술이 도입되어 정형화되고 규격화된 토기의 대량생산체제가 서서히 갖추어지기 시작하며, 한반도를 비롯한 곳곳에서 고대국가의 기틀이 움튼다고 보았다

      • KCI등재

        웅치전적지 위치와 지정범위 재검토

        천선행,박춘규,심진수,차상민,이슬비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4

        The designated scope of the Ungchi Battleground classified as Historic Site No. 25 in North Jeolla Province on April 2, 1976 does not match the actual battle site of the Ungchi Battle during the Imjin war. Given the literature, biography, geographical names, and recent archaeological achievements since the late 1980s, the main battleground of the Ungchi battle has been found to be around Deokbong-gil. As a result, this has raised the need to change the scope of the Ungchi battleground. Having reviewed various viewpoints, this paper observes that the site of the Ungchi battleground should not be zoned in the form of points but should be long and linear along the road. This paper also redefines the time and area of the Ungchi battleground and reflects the history of the Ungchi battle and the meaning of the Ungchi ‘Old Raod(Yet gil)’ based on archaeological achievements. In particular, the Ungchi battleground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ingi Village – Dumok Village section, Singi Village – Andeokwon section, and Gomtijae-gil section, according to the Ungchi battle. Among these, the section which includes Singi Village to Andeokwon and Gomtijaegil, is designated as the target area. This designated scope should be readjusted sequentially and expanded in stages considering the survey progress, performance and conditions. In order to utilize the cultural assets, in-depth investigation, research, and verification of the Ungchi battle and the entire battleground is necessary. In particular, a comprehensive survey covering the area around Deokbong-gil to the area leading to Andeokwon should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 comprehensive use plan that encompasses the Imjin War, the old road(Yet Gil), and the Jeolla province as well as the history of the Ungchi battle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through academic support for readjustment of the scope, archaeological verification, and active cooperation between cities, counties and provinces. 1976년 4월 2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 25호로 지정된 웅치전적지의 지정범위는임진왜란 당시 웅치전투 실제 전투지와 일치하지 않는다. 1980년대 후반부터 문헌· 전승·지명 조사, 최근의 고고학적 성과로 미루어 볼 때, 웅치전투의 주 격전지는 덕봉길주변임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웅치전적지 지정범위에 대한 변경의 필요성이 커졌다. 다양한 견해를 검토하여, 본고에서는 웅치전투의 시·공간성을 재정립하고, 고고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웅치전투의 역사성과 웅치 ‘옛 길’의 의미를 투영하여, 웅치전적지가 점적공간이 아닌 선상으로 이루어진 공간으로 지정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구체적으로 웅치전투의 추이에 따라 신기마을〜두목마을 구간, 신기마을〜안덕원 일대 구간, 곰티재길을 포함한 구간의 3개 범주로 나누었다. 이 가운데, 신기마을에서 안덕원 일대에 이르는 구간, 곰티재길을 포함한 구간을 최종지정 목표로 삼고, 조사경과와 성과, 지정여건을 충분히 감안하여 지정범위를 순차적으로재조정하고 단계별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아울러 문화재 활용을 위해, 지정범위의 조정은 물론, 웅치전투와 전적지에 대한 심도 깊은 조사와 연구, 고증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고, 특히 덕봉길 주변으로 집중되어 있는 조사경향에서 탈피하여 안덕원에 이르는 지역까지 포괄한 전면적 조사가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지정범위 조정을 위한 학문적 뒷받침, 고고학적 실증, 그리고 도와 시군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웅치전투의 역사성은 물론 임진왜란, 옛 길, 전라도를 아우르는 종합적 활용방안이 계획되고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형태 시론

        천선행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6 No.-

        본고는 신석기시대부터 통시적 관점에서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형태를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석기시대 조기~전기의 복합수렵채집사회에 대한 논의, 신석기시대 후·말기 양상, 청동기시대 조기의 취락·농경·석기·청동기 양상, 돌대문토기문화의 기원지로 여겨지는 마성자문화의 양상을 살 펴보았다. 그 결과, 신석기시대 사회는 수렵채집어로를 바탕으로 기후 및 자연환경에 따라 사회규모와 형태를 변형시키는 유연성을 갖춘 사회였음을 확인하였다. 신석기시대 조기~전기는 복합수렵채집사회의 특 징을 보이나, 말기에는 기후악화에 따른 생업환경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생존 전략을 구사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신석기시대 말기는 평등사회의 범주에 포함되나 취락이 가족단위로 이루어진 소규모 분절사회의 형태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청동기시대는 농경사회를 바탕으로 사회복합화가 가속화되는 한 방향의 길을 걷게 된다. 조기 사회는 완만하지만 서열사회를 경험한 이주 농경민에 의해 형성되었고, 정착 및 잉여가 발생할 수 있는 토대가 갖추어진 사회였다. 그리고 가족단위와 친족단위의 분절사회가 공존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리더(리더를 포함한 집단)는 권위 표출이 제한되거나 그것을 표출하는 방식이 제도화되지 못하였다고 보았다. 전기이후 농경사회의 생업과 제도가 확산되면서 비혈연을 기반으로 한 지역집단이 형성되고, 지역집단 통할과 공동체 통합을 위해 취락 내와 취락간의 서열 발생이 가속화된다. 점차적으로 청동기, 지석묘 등의 장치를 통해 집단 내 서열은 더욱 공고해지고 제도화되면서 수직적 사회 분화가 심화된다. 이상으로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사회는 연속적으로 점진적으로 한 방향으로 변화·발전하는 과 정에 있는 것이 아니다. 신석기시대 사회형태는 수렵채집이라는 획득경제 하에서 각 집단의 선택의 결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청동기시대 사회는 도작농경이라는 생산경제 하에서 집단 통할과 공동체 통합을 위해 사회복합화의 길로 나아가기 시작한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characteristics of society in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which has not dealt with so far by taking a diachronic perspective. Therefore, it examines discussion on complex hunter-gatherer society from the initial phase to early Neolithic Age, aspects of settlement in the initial phase and facets of Machengzi Culture which is considered as an area of origin for banded-rim pottery culture and futhermore, reviews social changes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Neolithic society is flexible as it modifies scale and form of society depending on climate and natural environment based on fishing, hunting and collecting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the people have to devise various survival strategies to overcome unstable natural environment to make living due to climate changes at the end of the Neolithic Age and this age can be categorized as the egalitarian society. But its settlement clusters are more likely to be small segmentary society, especially in family unit. The Bronze Age accelerates one-way society complexation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expand labor force and centralize in the agricultural society. The society in the initial phase focuses on agriculture, as it’s formed by agricultural people who experience hierarchical society which is moderate and this society is well established so that people can settle in and produce agricultural surplus. Also, it’s presumed that family-orientated or blood-tied segmentary society in kinship unit coexists and also, a leader including group where has leader is considered to be limited in expressing authority in the hierarchy or fail to institutionalize the way of representing the authority. As the livelihood and system is settled in the agricultural society in the early stage, it leads to region group with no blood ties and furthermore, the demand for controlling region groups and integrating communities might accelerate hierarchy between the community. Afterwards, the hierarchy within a group is reinforced and institutionalized through bronze weapon and tomb like dolmen, resulting in vertical social differentiation. To sum up, the society in the Neolithic Age and the early phase of Bronze Age is not changed in one direction gradually and sequentially and form of society is not result but process and differs by livelihood, natural environment, group size and cognition of group.

      • KCI등재

        한반도 돌대문 토기의 형성과 전개

        천선행 한국고고학회 2005 한국고고학보 Vol.57 No.-

        This paper deals with this topic by two aspects of formation, development and genealogy of 'Doldae Mun' pottery in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 First of all, I divided regions where 'Doldae Mun' pottery was distributed intensively b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s Midwestern region, Hoseo district and the Nam-river basin. The relative order was set up according to attribute-variation of 'Doldae Mun' pottery that was excavated for each region, and the validity through variations of accompanied remains and the respective relative-chronology was examined. As a result, 'Doldae Mun' pottery in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 was lasted a long period from the former term to the middle years of plain coarse pottery. 'Doldae Mun' pottery formation of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 was especially similar to the mid-upstream of the Amnok-river at 'Sinamri phase Ⅱ' in community of 'Doldae Mun' pottery and dwelling, and accompanied remains. From the mid-upstream of the Amnok-river, small-scale inhabitants moved to midwestern region, and it can be presumed that they produced new types of pottery so called jar and introduced decorative protuberance element as well as they still respected traditional dwelling form and pottery composition of Neolithic pottery. After forming of 'Doldae Mun' pottery, its development process varies in different regions. Commonly, however, the group-scale of remains unit, not region-group, was kept, and was coexisted with other culture of plain coarse pottery of the former term.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y were absorbed and harmonized into rim-perforated pottery culture to some extent.

      • KCI우수등재

        청동기시대 성립 전후의 지역 관계망 형성과 변화

        천선행 한국고고학회 2020 한국고고학보 Vol.0 No.1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ansformations that took place in the local network from the later and final phases of the Neolithic Age to the Bronze Age as a result of exchange or interaction by focusing on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surroundings regions. First, the boundaries of ‘wide cultural areas’ were redefined by including the Tumen River and Maritime Province regions, and the wide parallel relationship was then re-examined. Then, the Far East Agriculture Fishing Hunting Region was subdivided into two zones, respectively, located to the east and west of the Hisao Hsingan Ling (小興安嶺)-Changbai Mountains (長白山脈). The research findings illustrate that in the later and final phases of the Neolithic Age, ‘wide cultural areas’ consisted of the zone east of the Changbai Mountains, the zone west of the Changbai Mountains (consisting of the Pianpu (偏堡) cultural area and the Shandong Peninsula exchange area), and Comb-pattern Pottery culture area. Wide networks were established between or within these wide cultural areas through the medium of rice, agricultural technology, symbols and local products. The emergence and growth of local cultures in the Bronze Age resulted in changes in the wide cultural areas. The zone east of the Changbai Mountains experienced little change but exchange with the Shandong Peninsula decreased in the zone west of the Changbai Mountains. In addition, the Pianpu (偏堡) cultural area was reorganized into an assortment of various local cultures, such as the Eastern Coast Culture of the Liaotung Peninsula, the Machengzi Culture (馬城子文化), and the Gaotaishan Culture (高臺山文化), all of which shared common elements. The Bronze Age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was formed as elements of the cultures of the zones to the east and west of the Changbai Mountains – the North Liao region, Liaotung mountainous area, and the northwest region of Korean Peninsula in the case of the latter – were introduced into the peninsula; it was however, the western zone that has a greater affinity with the Bronze Age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Transformations in the local network that occurred around the time of the transition to the Bronze Age likely emerged as a result of the exchange of rice and other grain crops; from the advent of the Bronze Age, however, the movement and migration of people, in addition to exchange and trade, came to play a centr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local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