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원군 이하응(李昰應)과 청조 문사들의 교류

        千金梅(Qian Jin Mei)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흥성대원군 이하응은 임오군란 시기에 청군에 의해 납치되어 중국보정부(保定府)에서 3년간의 감금생활을 하게 되었다. 대원군과 청조인사들의 교류가 짐작되나 그동안 자료의 부족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한 상황이었는데 필자가 대원군과 청조인사들이 주고받은 교류척독 모음집들을 연속 발견함으로써 그 사실이 명백하게 드러나고 구체적인 내용까지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천안척방(天鴈尺芳)≫이 바로 그 중의 한 척독집이다. 천안척방에는 만청려(萬靑藜), 조보(皁保), 원보령(袁保齡), 번빈(樊彬), 서동(徐桐), 황운곡(黃雲鵠), 장병염(張丙炎), 원세개(袁世凱) 등을 포함한 16명의 청조 문사가 대원군에게 보낸 척독 65편과 원보령이 대원군의 아들 이재면에게 보낸 척독 3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대원군이 원보령에게 보낸 시 한 수도 수록되어 있다. 이 서간첩은 대원군 중심으로 되어 있고 대원군의 대외 교류 양상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일차적인 자료이다. ≪천안척방≫에 수록된 척독을 통해 대원군과 교류한 인물은 대부분 청정부의 정계 주요 인사들이며 또한 예술에 관심이 많은 문인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천안척방≫에 수록된 척독의 내용을 보면 정치・문화・예술 등 다방면의 교류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당시 국제형세에 대한 담론과 정보교환이 있는가 하면 시・서・화 등 문화 교류에 관한 내용도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대원군의 묵란화(墨蘭畵)에 대한 감상과 찬탄, 대원군의 서화에 대한 요청 등이 많다. 교류의 시간을 보면 대원군이 납치되어 보정에서 감금생활을 하기 훨씬 이전부터 청조 문사들과 척독의 교류가 있었고, 보정에서의 생활 시기에 가장 많은 교류가 있고, 귀국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교류가 이루어진 사실을 볼 수 있다. 본고는 고종의 대외교류 사실과 양상의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는 데에 중심을 두었다. 특히 고종의 생부이고 조선 정치의 실권을 장악했던 대원군과 청조 조정의 고위 관직자들의 정치, 외교 방면의 교류는 조청 외교 관계 연구에도 보충이 될 것이다. In 1882, after Ren Wu Jun chaos, Lee Xiaying(李昰應), the Heungseon Daewongun in Chosŏn was arrested by the Qing army, escorted to Tianjin, and then arrested in Baoding for three years. The research papers communication between Daewongun and Qing literati almost haven"t appeared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In the past few years, the author has found several kinds of letters between Daewongun and Qing literati and found the real and abundant evidences. It is through this information that this article reveal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s between Daewongun and Qing literati. ≪CheonAnCheokBang(天鴈尺芳)≫, ≪CheongInGanGyeok(淸人簡格)≫, ≪BukAnCheokIl(北雁尺一)≫ and so on are the letters which recorded the communication between Daewongun and Qing literati. Among this, ≪CheonAnCheokBang≫ collected 65 letters which were 16 Qing literati such as Wan Qingli, Zao Bao, Yuan Baolin, Fan Bin, Yuan Shikai, Xu Tong, Chen Shutang, Yao Kaiyuan and so on wrote for Daewongun. Furthermore, ≪CheonAnCheokBang≫ also include one poem which Daewongun wrote to Yuan Baolin and three letters Yuan Baolin wrote to Daewongun"s eldest son Lee Zaimian. From the above data, we can see that most of the people who communicate with the Daewongun were senior officials of the Qing government and some scholars, who have established a profound friendship with each other. The content of the exchange, one is about poetry and literature and other cultural and artistic, especially for the appreciation the Daewongun"s paintings. Second, there is an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s well as the political aspects of Chosŏn policy. From the time of communication, before Daewongun was arrested in Baoding, Daewongun has been wrote letters between Qing literati for a long time, and more exchanges during the Baoding, after the release of return to continue to maintain exchanges. These data and contents of letters have complementary and perfect significance of the study for foreign exchange by Daewongun and the history of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Chosŏn.

      • KCI등재

        역관 변원규(卞元圭)의 문화 활동과 작품 세계

        김홍 ( Jin Hong-mei ),천금매 ( Qian Jin-mei ) 한국한시학회 2018 韓國漢詩硏究 Vol.26 No.-

        변원규(卞元圭, 1837-1896)는 조선 후기 유명한 역관이다. 지금까지 그의 정치업적은 어느 정도 연구가 되어 있으나 문인으로서의 면모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당시 사람들의 기록을 보면 그는 상당한 문학적 재능을 갖추고 있었으며 이런 문학적 재능은 그의 외교활동에도 크게 도움이 되었다. 변원규의 교유, 서적 유통활동, 작품세계 등은 『해객시초(海客詩鈔)』 및 동문환(董文渙)의 일기와 『한객시존(韓客詩存)』 등 자료들을 함께 활용하여 살펴볼 수 있다. 30대 이전의 변원규의 교유 대상은 주로 역관들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스승인 이상적을 비롯하여 변원규는 많은 동년배의 역관들과 교류하였는데 이들과 관련된 작품들은 대체적으로 세월의 덧없음을 한탄하는 내용과, 서로를 격려하는 내용, 만남의 소중함과 지음(知音)으로서의 공감대를 강조하는 내용들로 이루어져있다. 역관이 아니지만 현달하지 못했던 일반 문인들에게 보낸 시도 비슷한 내용을 보이고 있다. 변원규는 1866년부터 1881년까지 15년 동안 동문환과 다양한 서화 작품과 특산물 등을 주고받았는데, 이는 본인들의 시야와 학문의 영역을 넓히는 데 기여하였을 뿐 아니라 한중 문화교류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변원규는 또 중국 문인 유지개(游智開)의 시집인 『장원시초(藏園詩鈔)』를 조선에서 간행하였다. 변원규와 동시기 사람인 김택영(金澤榮)과 김윤식(金允植)은 모두 변원규의 시를 높이 평가하였다. 두 사람의 평가를 종합해 보면 변원규는 빠르고 민첩하게 시를 짓는데 능하였으며, 시는 호방한 특징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 살펴본 『해객시초』의 시는 벗에 대한 그리움과 우정을 드러내는 내용과, 벗과 자신에 대한 격려의 내용, 불우한 벗들의 조우에 대한 슬픔과 인생무상에 대한 감개 등의 정서를 드러내는 내용이 주된 기조를 이루고 있다. Byeon WonGyu(卞元圭, 1837-1896) was a famous translator in late Joseon. Until now there are some research on his political achievements. But as a literati, there are few studies have yet been done on him. According to the records at that time we can see that Byeon WonGyu was a man of great literary talent. And his literary talent played a positive role in his diplomatic activities. We can learn about his social activities, circulation activities of books, literary creation activities through “HaeGekShiCho(海客詩鈔)”, Dong WenHuan(董文渙)’s diary, “HanKeShiCun(韓客詩存)” and so on. Before 30 years old Byeon WonGyu mainly interacts with translators in Joseon. Apart from his teacher Lee Sang Juk(李尙迪), he maintained friendly contacts with many people who were translation officer similar to his age. The literary works related to these people mainly include the following aspects. Sighing over the passage of time, encouraging each other, cherishing the opportunity to meet, stressing the resonance of bosom friend. Such content was also reflected in the poetries by Byeon WonGyu to the other people who were not translators. From 1866 to 1881 Byeon WonGyu exchanged lots of paintings and other specialties with Dong WenHuan. Such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not only broaden the horizons of the two people, but also broaden their academic fields. At the same time, the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Korea. Byeon WonGyu also took You Zhikai’s poetry anthology “ZangYuanShiChao(藏園詩鈔)” to Joseon and published it. Kim Yeongtaek(金澤榮) and Kim Yunsik(金允植) who were the people of Byeon WonGyu’s generation all praised his poems highly. Combined with the evaluation of these two people, we can find out a fact. That was Byeon WonGyu could write a poem so quickly. And his poems were rated as bold and unconstrained in style. Byeon WonGyu’s poems in “HaeGekShiCho(海客詩鈔)” mentioned in this paper have the following main characteristics. Yearning for friends, encouraging each other, the sad feeling for friend's misfortune, regretsing about life's impermanence and so 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