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역도시의 기후변화대응계획 평가 - 인천광역시와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채정은,변병설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2

        Climate change is a global agenda. At the commemorative speech delivered on August 15, 2008,President Lee Myung-bak proposed a new slogan ‘Low Carbon, Green Growth’. The Central Government’s responsibility has been handed over to local government, it becomes a core plan to diminish the greenhouse gases. It is desirable for regional governments to take care of those, but there are no assured guidelines for making plans against climate change yet. For that reason, there are similar policies and programs which haven’t received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until now.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limate change response plans of Incheon and Ulsan. Plans were comprehensively evaluated according to appropriacy, validity and sufficiency. The plans was assessed by experts for raising expertise of result. The results were that two cities got low marks in plans for circulating resource and setting up a unit to take charge of climate change. Incheon was highly rated for supplying efficiency lighting and Ulsan was rated for plans in connection with green technology. The clear and accurate plans received a good evaluation from specialists.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가 글로벌 아젠다가 되고 있다. 2008년 8월 이명박 정부가 ‘녹색성장’이라는 슬로건을 제시하게 되면서 국가와 지자체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기후변화 대응 방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대응계획수립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기 때문에 계획의 적합성과 실효성을 검증받지 않은 유사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10월을 기준으로 기후변화대응계획을 수립한 인천광역시와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계획 수립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적절성, 타당성, 충분성 세 가지 기준에 의해 종합평가하도록 하였고, 두 광역시의 계획내용과 평가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평가 결과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들에 의해 평가가 이루어졌다. 평가 결과, 두 광역시 모두 자원순환 계획과 전담조직 설치계획에 대해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인천광역시는 고효율 조명기기 보급계획 부문에 대해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았고 울산광역시는 자전거이용과 관련된 계획과 산업부문 에너지 절약계획, 녹색기술 지원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기후변화 대응 목표에 충분하지 않은 계획들과 명확하고 구체적이지 않은 계획들은 낮은 평가를 받았다.

      • KCI등재

        무주군의 건강도시 사업 중요도 분석

        채정은,변병설 국토지리학회 2009 국토지리학회지 Vol.43 No.1

        As the standard of living of the citizen is developed, the paradigm about health is changed to promote the health and prevent. WHO introduced the concept in 1989 which is ‘Healthy Cities’, and this means that the city is trying to do for citizen’s health actively. Healthy Cities projects should be drived from the aim of improving environment, culture, education, welfare and health of citizens, as well as health-care. These are important for successful health-city project to drive the project in accordance with a feature from diagnosis of present circumstances of the city and to practice accurate service target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requirement of citizens. Hence, this study has evaluated a importance of proposed master-plan of healthy cities covering Muju County. The plans are constructed three sectors of the health-welfare, the environment-culture and the urban plan-faci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mportance analysis, the health-welfare of the three sectors has the highest value. As a result of an ANOVA, meaning value is drawed each group of age and residence. 시민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패러다임도 건강을 증진시키고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바뀌고 있다. 1989년 WHO에서 ‘건강도시’라는 개념을 소개하게 되었고 이는 도시 차원에서 시민들의 건강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을 의미한다. ‘건강도시’ 사업은 보건·의료뿐만 아니라 환경, 문화, 교육, 복지, 교통 등 도시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어야 한다. 성공적인 건강도시 사업을 위해서는 도시의 현 상황을 진단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사업을 추진해야하고, 시민들의 요구에 근거하여 정확한 서비스 목표를 설정하여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무주군을 대상으로 건강도시 기본계획으로 제시한 사업들의 중요도를 평가해 보았다. 무주군의 건강도시 사업은 보건·복지, 환경·문화, 공간계획 및 시설의 세 부문으로 되어 있고 각 사업별로 대·중분류 항목과 세부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요도 분석 결과 세 부문 중 보건·복지 부문에서 중요도가 높게 나왔고 분산분석 결과 연령, 거주지 집단별로 유의한 값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관광단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예측 및 계획적 함의 - 인천 운북 복합레저단지를 사례로 -

        채정은,변병설,유상민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3

        Tourism emits considerable amount of greenhouse gases by variety of activit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we investigate how tourism generates GHG emission and should be measure to reduce GHG emissions. Because tourism complex including accommodations, restaurants and conveniences etc. occupy wide area, it consumes energy concomitant carbon emission. The purpose of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 CO2 emissions of tourism complex as estimate emissions of Unbuk Leisure Complex. The study suggests planning implications for low carbon tourism complex. The result of estimate shows that the reduction of tourism should be focus on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system. Tourism complex should be efficiently designed and managed to reduce emission. 관광산업은 많은 활동에 의해 상당량의 온실가스를 배출시킨다. 그러므로 관광산업이 얼마만큼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지를 파악하고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광단지는 관광객들을 위한 숙박시설, 식음시설 등 여러 편의시설이 한 곳에 집적되어 있는 일정한 지역이기 때문에 탄소 배출을 수반하는 많은 에너지 소비 활동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운북 복합레저단지를 사례로 CO2 발생량을 산정·추정하여 관광단지의 온실가스 배출특성을 밝히고 저탄소형 관광단지가 될 수 있는 계획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대상지의 CO2 배출량 예측 결과, 관광산업의 온실가스 저감은 시설과 이동 수단에 집중되어야 한다. 관광단지는 여러 활동이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공간으로 온실가스 발생량을 감축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설계·운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Introduction to the standard reference data of electron energy loss spectra and their database: eel.geri.re.kr

        채정은,김지수,남상열,김민수,박주철 한국현미경학회 2020 Applied microscopy Vol.50 No.1

        Electron energy loss spectroscopy (EELS) is an analytical technique that can provide the structural, physical and chemical information of materials. The EELS spectra can be obtained by combining with TEM at sub-nanometer spatial resolution. However, EELS spectral information can’t be obtained easily because in order to interpret EELS spectra, we need to refer to and/or compare many reference data with each other. And in addition to that, we should consider the different experimental variables used to produce each data. Therefore, reliable and easily interpretable EELS standard reference data are needed. Our Electron Energy Loss Data Center (EELDC) has been designated as National Standard Electron Energy Loss Data Center No. 34 to develop EELS standard reference (SR) data and to play a role in dissemination and diffusion of the SR data to users. EELDC has developed and collected EEL SR data for the materials required by major industries and has a total of 82 EEL SR data. Also, we have created an online platform that provides a one-stop-place to help users interpret quickly EELS spectra and get various spectr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EEL SR data, the homepage of EELDC and how to use them.

      • KCI등재

        인구감소도시의 인구특성별 지역 인식 차이: 강원특별자치도 4개 시군을 사례로

        채정은,박성남,황병춘 국토연구원 2024 국토연구 Vol.120 No.-

        축소도시는 인구와 경제규모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도시들을 대상으로, 줄어든 도시규모에 맞게 도시기능을 전략적이고 현명하게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는측면의 접근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인구감소도시에 대한 연구적, 정책적 접근은 지역의 인구재증가를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인구소멸지역에대한 지역 전략 역시 인구 유입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많다. 축소도시 개념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지역별특성에 맞는 전략적인 적정 규모의 계획이 필요하다. 지역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위해 본 연구는 강원특별자치도의 4개 지역(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평창군)을사례로 지역과 관련된 사람들이(생활인구 포함) 지역을 어떻게 인식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4개 지역 모두에서 인구특성별로 지역에 대한 현황, 잠재력, 발전 가능성 등에 다소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인구감소라는 보편적 현상에 대한 해법이 지역의 특수성을 보다 잘 이해하는 데에서 시작해야 함을 보여준다 Shrinking Cities is an approach to strategically and wisely rebalance cities experiencing consistent population and economic decline to match their diminished size. However, in Korea, the approaches of declining cities are often aimed at increasing the region's population, and local strategies for declining population areas are also often aimed at population inflow. To move forward with the shrinking cities approach, a strategic and appropriately scaled plan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s needed. For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region, this study attempted to use four regions in Gangwon-do to understand how residents and living populations perceive their regio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responses in terms of the region's current status, potential, and development potential in all four of these regions based on population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n examination of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caused by population characteristics as seen in a region should begin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gion's unique tra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