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천태 一心의 槪念과 사상적 淵源 고찰 - 『마하지관』을 중심으로

        차차석(Cha Cha-seok)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7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cept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deologic sources of the thought of One Mind(一心) which Chuntae-Jiui(天台智?) asserted. Thes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BR>  First, the concepts of his One Mind thought is condensed into two things. That is just Sikeum(識陰). He understood Sikeum as the object of observation within the framework which One Mind connotes Samchun(三千) and Samchun-segan(三千世間) also subsumes One Mind.<BR>  Second, his One Mind has an implication the idea of Buddha nature(佛性). But Buddha nature he insists has no substance. Moreover, he didn"t think evil is one thing and Buddha nature is another by maintaining both evil and earthly passions(煩惱) have Buddha nature. And being founded on Vimalakirti-nirdesa Sutra (維摩經), these thoughts were inherited to other Buddhist thinkers like Seungjo(僧肇), Hyewon(慧遠), Giljang(吉藏) and so on, Chuntae was also located on the prolongation of these ideas.<BR>  Third, the characteristics on his theory of One Mind is what he grasped One Mind as the object of Gwanbub(觀法).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nature of mind is various and can"t be standardized, but he also found both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practice by observing human mind. He seized, therefore, the nature of mind is mysterious and this inscrutable character is linked enlightenment(解脫) above the world of logic and language. This is exactly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eory on practice.<BR>  Forth, there are so many Buddhist canons and Abhi-dharmas influenced his One Mind theory. To arrange from most important things, However, these are all the noticeable Sutras for the great vehicle(大乘) in the world of Buddhism at that time, like the Sutra of Samlonjong(三論宗), Flower GarlandSutra(華嚴經), Lotus Sutra(法華經), Vimalakirti-nirdesa Sutra(維摩經), Nirvana Sutra(涅槃經) and so forth.<BR>  Fifth, Chuntae was eager to merge the ideal with the real through his One Mind theory. As building up the practical system of Gyogwan-Gyumsoo(敎觀兼修) by amalgamating the doctrinal School with the Zen School which were much debated at the time, Chuntae would like to establish what the ideal world ― just the world of Nirvana ― out of reality is meaningless in the practical system of cultivation.   천태가 주장하는 일심의 개념은 두 가지로 압축된다. 識陰과 불성이란 개념이 그것이다. 그렇지만 천태가 주장하는 불성은 實體性을 지니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나아가 악이나 번뇌 속에도 불성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여 악과 불성을 별개의 것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사상들은『유마경』의 사상적 기초 위에서 승조, 혜원, 길장 등 다른 불교사상가들에게 계승되며, 천태 역시 그러한 사상의 연장선 위에 놓여져 있다는 점이다.<BR>  또한 천태는 일심을 관법의 대상으로 파악하고 있다. 왜냐하면 마음이 지니는 정형화할 수 없는 다양한 속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마음을 관찰하는 것에서 수행의 시작과 끝을 발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리고 천태의 일심론에 영향을 준 경전과 논서들은 매우 많지만 중요한 것들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삼론종의 經論,『화엄경』?『법화경』?『유마경』?『열반경』등 당시 불교계에서 주목받던 대승경론 등이다.<BR>  천태는 그의 일심론을 통해 이상과 현실을 융합하려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당시 논란이 되고 있던 교학과 선학을 융합하여 교관병수의 실천체계를 수립한 것과 동일한 맥락에서 천태는 현실을 도외시한 이상적 세계, 즉 열반의 세계는 무의미하다는 점을 수행의 실천 체계 속에서 확립하고자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생명불교현양운동론

        차차석(Cha cha-seuk) 한국불교연구원 2007 불교연구 Vol.26 No.-

          The present writer inquired into both the Buddhist’s attitude and avow to establish the ideology for the movement of exalting life Buddhism and the theories to explain life Buddhism and its doctrinal basis. Consequently, we could know the movement of exalting life Buddhism is practicing of the great compassion(無緣慈悲) itself and displaying the Buddha-nature. As we saw through this paper, however, the assertion that we should make life Buddhism be widely known doesn’t merely appear in these days. It is what a number of Buddhist thinkers had insisted throughout Buddhist history in India. Therefore, we can say that Chinese Buddhism had also tried to exalt life Buddhism and so did Korean Buddhism.<BR>  However, a previous movement of life Buddhism either was limited partially or couldn’t develop into a well-organized campaign continuously. Although the social and popular movement of modern Korean Buddhism also can’t say that it has no connection with life movement, it reveals limits of unsystematic and sporadic.<BR>  Reflecting on these points, the present writer is eager to assert that the movement of exalting life Buddhism must not stop just as a slogan and it should systematize or sublimate into the social movement or the religious one. It is sure we can’t say that the movement of exalting life Buddhism is able to succeed under the social recognition or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temple like nowadays. It needs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and have to establish the energetic structure systematically to accomplish it. If it’s possible, the present writer would like to say the movement of exalting life Buddhism is the most suitable as a Buddhist value that can lead the Buddhist campaign of the 21th century. Desiring to turn Korean Buddhism expansive, therefore, I am willing to recommend Buddhism of exalting life as a basic agenda for the Korean Buddhist campaign in the 21th century.

      • KCI등재

        천태불성론의 생태학적 탐색 - 특히 일념삼천설을 중심으로

        차차석(Cha Cha-seok) 보조사상연구원 2006 보조사상 Vol.26 No.-

          본 논문은 천태의 일념삼천론의 사상적인 구조와 생태학적 의미를 탐색해 보려는 것이다. 일심이란 개념은 대략 세 가지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 속에 모든 존재의 세계가 포함된다.<BR>  유심적 존재론이라 말할 수 있는 그의 일심사상은 일체존재의 공통분모이자 통합의 원리로 구상되고 있다. 현상적으로 본다면 일체의 존재는 각양각색의 차별상을 보이고 있다. 차이란 점에서 평등을 말할 여지는 없는 듯이 보인다. 그런데 일심은 이러한 현상적인 차별을 초월한 본질적인 공통분모이자 통일의 원리로 등장한다. 그렇다고 일심이 어떤 고정적 실체를 지닌 존재는 아니다. 그런 점에서 일심은 일원론적 실체가 아닌 가치론적 평등의 요소이다.<BR>  두 번째 일심의 상대적인 개념이자 모든 존재의 영역을 포괄적으로 융합하여 설명하는 삼천세간은 생태계 개념과 상통한다. 삼천세간은 일심의 상대적 개념이지만 대립개념이기보다는 삼천세간 속에 이미 일심이 포함되어 있다. 연기론을 기반으로 존재의 세계를 범우주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천태의 세간론(생태론)으로, 생태론을 기반으로 수행과 의식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BR>  셋째 삼인불성론은 연기적인 존재의 세계가 바로 생태계라는 해석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것은 생태계를 세 가지 측면에서 바라보는 입장으로 생태계는 인간의 판단유무를 떠나 존재하는 것 그대로 절대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인식의 전환을 이루어 인간에 의한 자의적 훼손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seek out an ideological structure of T"ien-t"ai(天台)"s Ilnyum-samchun(一念三千) theory and an ecological meanings involved in. In outline, the concept of One-mind(一心) has mostly triple meanings and includes the world of whole existences.<BR>  His One-mind thoughts can be said "idealistical ontology" was formulated as both a common denominator of all existences and an integrated principle. However, because the One-mind is based on the premises as integrated principle that is inherent in the whole of existences, it can justify an essentially absolute equality of existences. If we phenomenalize it, all existences is differentiated from beings of every sort and variety. In point of "difference", there seems be no room for saying equality. But One-mind appears on the stage as an essential common denominator which transcends a phenomenal discrimination and a principle of unity. Not that One Mind is the existence which has a stationary substance. In this point, One Mind can be said that it is not the noumenon of monism but a factor of axiological equality.<BR>  In the next place, Samchun-segan(三千世間) which both is relative concept against One-mind and explains sphere of all existence wholly and mergingly has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notion of an ecosystem completely in itself. Although Samchun-segan is the relative concept of One-mind, it is not opposed to One-mind but is already implying One-mind. T"ien-t"ai(天台)"s ecological theory expands the world of existence into the dimension of pan-universe by standing on the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緣起論)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idea of Buddhism. Moreover, The distinctive feature of T"ien-t"ai"s idea is that it requires cultivation and consciousness to be converted.<BR>  Third, theory of Samin-Bulsung(三因佛性論) let us interpret that the world existence of dependent origination is just an ecosystem. This is a standpoint to look at the ecosystem in triple aspects. It is that, in other words, we should cognize the absolute value of ecosystem itself by converting our cognizance. Because an essential value is that existing things have the absolute value to themselves out of human judgment, he thinks that it must not be impaired by human beings.

      • KCI등재

        천태찬 『법화삼매참의』의 정토적 특성 탐구

        차차석(Cha cha-seouk) 보조사상연구원 2008 보조사상 Vol.29 No.-

          본 논문은 『법화삼매참의』의 구성과 사상적 특징, 그리고 정토염불사상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BR>  서론에서는 참회문의 대략적인 발전과정과 특징, 그리고 연구의 목적을 밝혔다. 2장은 『법화삼매참의』 구성과 經論的인 典據를 고찰했다. 『법화삼매참의』는 전체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법화경』, 『관보현경』을 비롯한 많은 대승경론의 영향으로 성립된 점을 선행연구를 의거해 살펴보았다. 특징적인 것은 참회와 삼매, 계율과 선정, 참회와 염불의 일치를 儀禮化시킨 점이다. 이러한 천태의 노력은 이후 불교의례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3장에선 『법화삼매참의』와 정토염불사상과의 상관성을 조명했다. 특히 4종삼매법의 상행, 반행반좌, 비행비좌삼매가 참회 내지 정토염불사상과 융합되어 『법화삼매참의』 전편에 나타나 있다. 형성과정 속에선 혜사의 안락행의와 담란의 오념문의 사상적 영향이나 사유체계의 유사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다만 천태는 이들과 달리 참회나 염불을 통해 일행삼매를 추구했다.<BR>  이상의 고찰로 담란과 기타 많은 미타정토사상가 내지 참회법의 발달은 예배, 찬탄, 止觀, 회향을 의례화시켜 불교의 발전과 불교의식의 고착화 내지 대중화에 이바지 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composition and thought of 『法華三昧懺儀』 and its relation with the Pure Land thought(淨土思想).<BR>  In the 1st chapter, we made clear the aim of this paper and examine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懺悔文(the penitential book) and its characters. In the 2nd chapter, we examined the composition and data of 『法華三昧懺儀』. 『法華三昧懺儀』 is composed of 5 chapters and is effected by many mahayana texts as like lotus sutra and 『觀普賢經』 etc. The ritualization of the combination of penitence(懺悔) with samadhi, and discipline with meditation(禪定), and penitence with visualizing buddha(念佛) is special character of 『法華三昧懺儀』. This effected the later development of buddhist rituals greatly. In the 3rd chapter, we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法華三昧懺儀』 and the thought of the Pure Land. There are mentioned the fusion of penitence(or the thought of the Pure Land) and 4 kinds of samadhi as like 常行(alway working), 半行半座(half working and half sitting), 非行非坐三昧(non-working and non-sitting samdhi) from cover to cover in the 『法華三昧懺儀』. 『法華三昧懺儀』 was effected strongly by 『安樂行儀』 of Hui-si(慧思) and 『五念門』 of Tan-luan(曇鸞) in the thought and the thinking system, but diffrently them, 天台智?(Zhi-yi) sought 一行三昧 through penitence and chanting(念佛).<BR>  Through above examination, we can conclude that the development of the rituals of penitence(참회) and worship before the image of Buddha etc and the thoughts the Pure Land thinkers as like Hui-si(慧思) and Tan-luan(曇鸞) etc. brought about the establishment and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t rituals

      • KCI등재

        道義國師의 求法과 중국 선불교

        차차석(Cha Suek, Cha)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2 No.-

        도의국사가 중국에 유학하면서 경험하게 되었을 중국불교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에서 활동한 도의의 행적이 너무나 소략하기 때문에 그의 전기를 통해 ‘이것이다’라고 단언할 수 있는 내용은 없지만 그의 사상이 형성되는 불교문화의 배경은 살펴볼 수 있었다. 그는 유학하기 이전부터 학습했던 화엄사상을 버리고 남종선으로 개종한다. 그 이유를 명확하게 단정할 수는 없지만 그가 번쇄한 이론불교에서 실천적이고 실용적인 불교, 계급의식의 탈피와 권위주의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고 있는 중국불교의 변화를 체감한 것과 무관하다고 말할 수 없다. 관성적인 불교의 카테고리를 벗어버리고 그 자신의 내면적으로는 새로운 불교운동의 방향을 정립하고 귀국한 것이라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귀족화, 權威化되어 있던 불교, 그리고 신라하대의 정치적 혼란과 함께 불교라는 종교의 사회적 기능을 상실하고 있는 당시 불교계의 한계성을 절감했으며, 나아가 그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 그의 개종 이유로 고려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의 귀국 이후의 생활은 평탄하지 못했다. 선불교가 신라사회의 주류 불교가 아니었기 때문이지만 신라인들은 아직 남종선의 사상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했던 것이다. 그는 결국 설악산 진전사에 거주하며 후진을 양성하는 것으로 만족해야만 했다. 정치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시대의 인연을 기다리는 것이 그에게는 그다지 어려운 일은 아니었다고 본다. 그리고 그는 역사의 승자가 되는 것이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묵묵히 제자를 양성했던 그가 역사의 표면에 부상하는 것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했다. 선종의 일반화와 門徒의 번성이 그를 재평가 하게 만들었다. 작은 불씨가 된 그의 인생여정은 남종선이 한국불교사상의 주류가 되는 단초를 열었던 것이다. 바로 남종선의 발전과 전개 속에서 그의 선구자적인 삶에 대한 편린을 연구하려는 열기는 지속되고 있다. In this paper, I inquired into the diversity of cultural background that the National Master Do-ui(道義) had experienced for going abroad for study in China. Though Do-ui's deeds in China roughly known, we could take a glance over the cultural background of forming his thought. He went over to the Chinese Southern Chan School(南宗禪) from having put belief in Hwa Yen sect(華嚴宗) for a long time. Though It is not clearly determined why he converted to Chan Buddhism, the change of Chinese Buddhism from complicated theoretical Buddhism to practical one and breaking from the class consciousness and authoritarianism could make it possible. Master Do-ui returned to Silla with self-renewing of changing his religious life against stale convention. During the late period of Shilla, aristocratism and authoritarianism in religious circles, loss of the social function of religion and disorder in politics made him feel heartily the necessity of change and reform to Chan Buddhism. After return to his mother country, his remaining years did not run in a groove. As the tradition of Scholastic Buddhism had become firmly entrenched within Silla at that time, people could not accept the teaching of Chan Buddhism. Accordingly, Master Do-ui retired from the world to Jinjeon-sa Monastery in Mt. Seoraksan, where he cultivated a line of disciples. In this way, his Seon method passed through generation to generation, becoming the mainstream in the Korean Buddhism. The popularization of Seon Buddhism and prosperity of his followers have make him revaluate in these days.

      • KCI등재

        일제하 간도 한인 사회와 불교

        차차석(Cha, Chaseuk)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3 No.-

        일제시대 간도를 중심으로 다양한 불교계의 활동이 전개되었다. 크게 보면 순수한 대민교화사업과 독립운동으로 나누어 볼수 있다. 1910년 이후 각 지역에 많은 사찰이 건립되어 운영되었지만 현재 기록으로 남아 있는 것은 그다지 많지 않다. 또한당시의 시대상황이나 지역적 특성 등에 의해 그다지 활발하게지속성을 지니고 전개되었다고 볼 수 없다. 대표적인 활동가로소개한 두 분의 승려 역시 오랜 시간 간도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했지만 유관 기록이 많지 않아 관련자들의 증언이나 단편적인 기록 등을 종합해 복원하는데 만족하고 있다.독립운동을 한 승려와 불교도 역시 적지 않다. 직접 무장독립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후방에서 계몽, 선전, 지원 등의 사업에 헌신한 사람들도 있다. 압록강 연안의 안동(단동)현부터 도문, 연길 등 간도지역 전반에 걸쳐 이들이 활동한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다만 많은 시간이 흐르고 기록이 연멸하여 정확한 당시의 사정을 알 수 없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의활동을 소개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오랜 기간 거주하며 활동했다는 것은 알 수 있지만 구체적인 내역을 파악할 수 없는 난점들이 많았다. 이러한 것은 시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발굴해야할과제로 남겨두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 지면에 소개하지 않은 많은 無名의 관계자들에게는 미안한 마음을 표하지 않을 수없다.일제시대 간도지방을 중심으로 조선인들이 전개했던 불교의양상에 대해서는 그간의 연구가 전무하다시피 했다. 그렇지국내의 정세 내지 간도지방의 경제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불교의 활동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대중들과 호흡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일본인이나 중국인들 역시 조선인을 상대로 다양한 불교활동을 전개했다. 이들에대한 종합적인 추적과 세밀한 연구는 이후 필요한 작업 중의하나이다. 이제 이번 학술대회를 기회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aspects of Joseon people's Buddhist activities chiefly in Gando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ctually, there used to be various Buddhist activities in Gando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ir major activity can be divided into two great ones: they are works for people's enlightenment and the independent movement. From 1910 to 1945, many Buddhist temples were built and managed in Gando province, but the recordings of their activities are not remained at present. Owing to the situations of that times or a regional trait, their activities didn't go well vigorously and constantly as well. Even though two chief monks who led Buddhist activities played an active part chiefly in Gando province, the documents related to their activities are few today. Hence, we can only try to restore to the original state as possible by collecting related persons' evidence or bits of recordings and informations and by arranging them properly There were not a few monks and Buddhists who took a part in the independent movement from Japan. While some people participated in the armed independent movement, others devoted themselves to a variety of social activities such as a campaign for enlightenment, propaganda and support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etc. However, indeed, we can trace their activities throughout Gando province ranging from the Yalu River side to Domun, Yeongil, etc. Consequently, it is really regrettable that we can't find the exact situations of that times because of the passage of time and the gradual extinction of the recordings of their activities. We know that they participated in various activities while residing in Gando province, but we have a difficulty in tracing concrete facts of their activities. That's why we should make excavations and examine continual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Joseon people's Buddhist activities chiefly in Gando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ust have a pivotal influence on Korean Buddhist development. However, so far, there has been not deep study on them. But we can know that their Buddhist activities were spread in diverse aspec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domestic political conditions or the change of Gando's economic conditions. In brief, they were in harmony with the mass through various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Japanese or Chinese people also developed their Buddhist activities against Joseon people. Therefore, more comprehensive and close researches on this fact will be a hereafter task. My presentation at this conference may be an opportunity for many research workers to begin to study on this topic with more interests

      • KCI등재

        원효의 和諍 사상과 불교생태학의 실천적 대안

        차차석(Cha Cha-seok)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8 No.-

          원효의 화쟁사상은 일심론을 기반으로 전개된다. 원효가 말하는 一心은 상대적 개념의 범주를 초월한 포괄자의 속성을 지니고 있지만 실체론적인 대상은 아니며, 對象知를 초월해 만물의 평등원리이자 통일자로 존재한다.<BR>  또한 원효의 一心은 심진여문과 심생멸문의 속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지만 둘의 성격을 융합하되 하나에도 집착하지 않고 원융무애하다. 무명 때문에 존재하게 되는 萬物은 그 내면에 통일의 원리이자 무차별의 평등성을 함유하고 있는 일심 때문에 여래장이라 부르게 된다. 여래장이란 깨달음의 가능태이자 여래의 가족이라는 본질적 가치를 현양해 준다는 차원에서 種의 차이를 넘어 생태위주의 존재론을 구축하는 것이다.<BR>  원효의 화쟁사상은 생태환경에 적합한 행위를 통해 인간과 자연, 자연과 자연, 인간과 만물이 공존 공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간에 의해 성립하는 수단적 가치보다는 사물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본질적 가치에 주목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사물의 내재적 가치를 현양하지 못하고, 그것을 유지하기 어려운 것은 인간들의 무명때문이며, 무명에서 벗어나는 것이 생태적 행위(eco-karma)의 본질임을 암시한다.<BR>  원효의 화쟁사상 속에서 생태적 실천의 대안으로 요익중생의 윤리를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보시와 지계, 그리고 수행으로 집약된다. 그렇지만 그의 윤리는 인간에 한정되지 않고, 중생 전체를 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안녕과 행복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편견과 집착에 벗어난 진정한 자기 성찰과 자비의 실천을 강조한다.   Wonhyo"s one mind(一心) has the quility as the thing inclusive of All which transcends the category of a relative concept, but it is not a thing having substantiality. It has the absolute aspect of mind(心眞如門) with changable one of mind(心生滅門) in the same time.<BR>  All which came to existence by avidya is called as Tath?gatagarba, because All include one mind which is the principles of non-difference and unity. Tath?gatagarba theory make an ecological ontology which is above the diffrence of species, because Tath?gatagarba is the theory which develops the essential value as that everything is one family and will be buddha in future.<BR>  Wonhyo"s reconciliatory thought(和諍思想) shows the possibility which Man and nature are able to exist together, through man"s good deeds for ecological circumstance. We must give attention not to the value of nature for Man, but to nature"s own value. The reason why we do not deed so is because of man"s avidya, so getting out of avidya is the essence of eco-karma.<BR>  We can find moral principles for all creatures as the method of eco-karma in Wonhyo"s reconciliatory thought. That are alms, observing the commandments, and practicing meditation.<BR>  Wonhyo"s ethics stress on the happiness for all creatures not for only Man, and he emphasis self-examination of man and to practice compassion over a prejudice and attachment.

      • KCI등재

        천태 四悉檀의 사상적 특징 고찰

        차차석(Cha, Cha-seuk) 불교학연구회 2009 불교학연구 Vol.22 No.-

        천태 사실단의 구조와 사상적 특징에 대해 『법화현의』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천태는 十重으로 사실단을 해석하고 있으며, 이것은 『대지도론』에서 주장하는 사실단의 내용과 다르게 인식하는 것이다. 둘째 천태가 생각하는 사실단의 핵심은 부처와 중생의 관계성이 무엇인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중생의 근기와 성품, 欲樂이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고 있으며, 그것이 感應의 관계 속에서 자비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셋째 천태는 사실단을 활용해 敎觀兼修의 필요성과 圓融性을 주장하고 있다. 넷째 천태는 사실단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互具互融이나 四句의 논리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천태가 활용하고 있는 사구논리는 매우 주체적이고 자의적이란 점에서 동시대 혹은 그 이전 시대에 활용한 삼론사상가들의 변증적인 사구분별과 다르다. We can understand the system and the philosophical features of the four siddhanta(四悉檀) explained by Tiantai(天台) in the propound meaning on the Lotus sutra-sastra as below. Firs, Tiantai explains the four sddhanta using the notion of sibjoong(十重). This means that Tiantai understood and explained the four siddhanta as the Buddha's teaching metho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otion of four siddhanta in the Mahaprajnaparamitasastra. Secoud, the key-point of the siddhanta understood by Tiantai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a and human beings. So, he emphasizes the differences of human beings like their fundamental abilities, personality, and wants, and he understood the four siddhanta as the method to embody compassion in the relation of the divine respons. Third, Tiantai holds the complete combination(圓融) and the need of the unity between the learning of Buddhist doctrines and the meditation practice(敎觀兼修) using the idea of the four siddhanta. This shows that Tiantai holds the unity between the learning tradition in the south part of China and the zen tradition in the north part of China at that time. Fourth, Tiantai applies the logic of hoguhoyung(互具互融) and the four terms of differentiation(四句分別), when he analyzes the notion of the four siddhanta. However, his logic system of the four terms of differentiation shows the different features of the dialectical logic of the Sanlun logicians in Tiantai's former times on the point that the notion of the four terms of differentiation by Tiantai is very independent and subj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