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만 스마트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차재웅 ( Cha Jae-ung ),김율성 ( Kim Yul-seong ),신영란 ( Shin Young-ran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21 해운물류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활용하여 스마트 항만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항만들의 스마트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항만 스마트지수(PSI, Port Smartness Index)를 제시하였다. 지표의 정규화는 최소-최대 정규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가중치는 요인분석 기반의 산출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 항만은 기술, 사회, 운영, 정보 등 4가지 측면에서 정의할 수 있다. 항만 스마트지수(PSI)는 스마트 항만의 개념에 따라 기술, 사회 운영, 정보 영역으로 구분되며, 영역별 가중치를 도출하여 산출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 기반의 통계적 방법으로 스마트 항만의 개념을 다각적인 차원에서 정리한 최초의 연구이며, 글로벌 항만들의 스마트화 수준 및 추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한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established clear concept of smart port by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presented Port Smartness Index (PSI) that can measure the level of smartification of the ports based on the concept. Min-Max normalization was used for normalizing the indicator, and the Weight Estimating Model based on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the weight. As a result of the study, smart port can be defined in four aspects of technology, society, operation a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concept of smart port, PSI is divided into technology, society, operation, and information section, and the calculation model of PSI is presented using the weight of each sec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 give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summarize the concept of smart port in multiple dimensions through statistical method based on survey results.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the index that can evaluate the levels and progress of smartification of global ports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 드럼세탁기 열풍건조방식의 발열특성 및 화재위험성 연구 : 피부관리실 화재사례를 중심으로

        장충기,차재웅 한국화재감식학회 2018 한국화재감식학회 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fire hazard of the hot air drying method of the drum washing machine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gnition when the aroma oil vapor and the laundry lint are accumulated around the heater, And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fire detection and emotional technique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ask the manufacturer to warn the user that the vapors of aroma oil solidified in the drying duct may lead to fire, to prevent fire, and to make fire warning or notation larger.

      •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입주업체 특성별 생산성 비교연구

        김양욱,차재웅,김율성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춘계

        2006년 ‘전국무역항 항만배후단지 기본계획’ 수립 이후 항만의 경쟁력 강화 및 부가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약 15년 간 항만 배후단지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국내를 대표하는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의 경우도 향후 2030년까지 배후단지가 추가 조성될 예정이다. 이에 부산항 신항배후단지의 경쟁력 및 부가가치 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적합하도록 신규업체 선정기준을 재확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항신항 배후단지에 기 입주한 총 68개 업체(2017년 기준)들의 운영 자료를 바탕으로 업체 특성에 따른 효율성(화물·고용·매출액 창출효과 등) 및 단일요소 생산성(자본생산성, 설비생산성, 노동생산성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물 창출효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제조업의 생산성이 물류업보다 높았으며, 규모가 클수록 자본과 설비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웅동 배후단지보다 북컨테이너 배후단지에서 높은 생산성을 보였으며, 국내 지분율이 높은 업체가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투자금액이 높은 업체가 생산성 낮은 경우가 존재하여 투자가 높은 생산성을 보장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의 신규 입주업체 선정기준에 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배후단지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학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시사점이 있다.

      • 자두(Dried Plums)를 첨가한 White sausage의 물성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이관호,서상원,차재웅,홍종혁,김상현,김은주,주웅광,최도영,최강덕,최일신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35

        본 연구는 파슬리 등의 야채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화이트소시지의 물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자두 분말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물성의 변화로서 pH는 자두의 첨가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감소 하였는데 3% 첨 가시 전 저장 기간 중 가장 낮게 (pH 5.11~4.44) 나타났다. 육색(meat color)은 자두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value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명도 (lightness)를 나타내는 L-value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전단력(Shear strength) 측정에서는 저장 기간 중 자두 분말의 첨가량에 비례 하여 근소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저장 7일째에서 가장 높았다. 자두 분말 첨가구 에서의 다소 높은 전단력의 결과는 보수력 (WHC) 측정 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자두 분말의 증가량에 따라 3% 첨가구가 대조구 (0%)보다 낮게 나타나 약한 보수성을 보여 주었다. 저장성에 미치는 결과로서 총세균수의 측정결과 저장 3일이 경과한 구간에서 Sorbic acid (0.07%)의 첨가구와 자두 분말(3%) 첨가구 에서 비슷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같은 동일한 수준의 항균 효과는 저장 9일째에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VBN 측정에는 저장 기간에 따라 증가된 수치를 나타냈는데 저장 7일 및 8일, 9일째 측정 결과는 3% 자두분말 첨가구와 0.07% Sorbic acid 첨가구 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어 동일한 저장효과를 보여 주었다. 관능검사 실시 결과 총체적인 풍미에 있어서는 자두 분말 첨가구 1.5%가 가장 우수 했으며 다음으로는 3%, Sorbic acid 첨가구 및 공시료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입주업체 특성별 생산성 비교연구

        김양욱(Yang-Wook Kim),차재웅(Jae-Ung Cha),김율성(Yul-Seong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20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4 No.6

        우리나라는 항만의 기능 다각화 및 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국내 주요 무역항에 항만배후단지를 단계적으로 개발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배후단지 입주업체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를 대상으로 입주업체 특성별 생산성을 비교분석하여 입주업체 선정기준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67개 업체들의 최근 3년(2017-2019)간 운영실적 자료를 수집하여 단일요소생산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물류업은 물동량, 제조업은 매출액 측면의 생산성에 강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개장시기가 빨랐던 북컨테이너 배후단지가 웅동 배후단지에 비해 전반적인 생산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외국인과 시설·설비 투자규모에 따른 생산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투자규모가 평균 미만인 업체들이 평균 이상인 업체들보다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항만배후단지의 생산성 및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입주업체들의 고용 및 화물 창출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제도적·법률적 보완과 신규 입주업체 선정기준의 재확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orea has gradually been developing port distriparks in major domestic trade ports to diversify their function and create added-value. New tenant companies are needed to help achieve these goals, but no research has been done on selection criteria. To provide such criteria,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ductivity of tenant companies in Busan New Port Distripark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SFP (single-factor produ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operational data of 67 companies in the distripark over the past - three years (2017-2019).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ogistics business and the manufacturing business have strengths in cargo volume productivity and in sales productivity respectively. Also, Northern distripark, a relatively older facility, was found to be more productive than Ung-dong distripark. Finally, the effect of investment—both foreign and in FAC/EQ (facility and equipment)—on productivity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productivity, with the companies with under-average investments being more productive than those whose investments were above average. Therefore, to enhance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port distriparks, tenant companies must be subject to supplemented system and law for increasing employment and cargo volume, and reestablished selection criteria.

      • KCI등재

        부산신항 컨테이너터미널 내 공유가능 자원들의 수요분석 연구

        남정우(Jung-Woo Nam),심민섭(Min-Seop Sim),차재웅(Jae-Ung Cha),김주혜(Joo-Hye Kim),김율성(Yul-Seong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5 No.4

        글로벌 해운·항만의 산업트렌드 변화에 따른 부산항 경쟁력 제고를 위해 부산신항 운영사의 단계적 통합과 더불어 효율적인 항만자원 활용을 위한 항만물류자원 공유플랫폼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터미널 간 비효율적인 자원공유는 오히려 불필요한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거나 항만 생산성의 저해 요소가 될 수 있어 공유자원에 대한 정확한 수요와 공유수준 및 공유효과, 공유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신항과 북항의 터미널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PA 분석을 통해 우선적으로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는 항만자원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항만 내 장비의 경우 Y/T, R/S, T/H가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나타났으며, 항만 내 시설은 안벽 및 에이프런, 공컨 장치장, 냉컨 장치장이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만 내 데이터는 게이트 상태정보, 장비제원정보, 안벽 및 에이프런 상태정보 등이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나타났다.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Busan Port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global shipping and port industry trends, the Busan New Port is promoting step-by-step integration and developing a port resource-sharing platform. However, inefficient resource-sharing can cause unnecessary additional costs or impede port productivity, so accurate supply and demand matching of shared resources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supply and demand of port resources were investigated for employees of Busan New Port and North Port, and port resources that could be ideally shared through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quipment in the port, Yard Tractor, Reach Stacker, and Top Handler were the top considerations, and for facilities in the port, berths and aprons, empty container yards, and refrigerated container yards were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As for the data in the port, gate status, equipment specifications, and berth and apron conditions were the top consid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