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별과 학대경험이 차별가해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

        차유정(Cha, Yoo Jung),황의갑(Hwang, Eui Gab) 한국범죄심리학회 2017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차별피해경험과 다른 학대피해경험이 차별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일반긴장이론을 통해 청소년기에 겪는 차별피해경험과 학대피해경험이 긴장요인으로 작용으로 부정적 감정을 야기하고, 이것이 다시 차별가해행 위로 이어지는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방법은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AMOS로 구조방정식모형을 구동하였 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2014년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조사자료’이며 결측치를 제외하고 분석에 사용된 최종 표본 수는 10,192명의 청소년이다. 분석 결과, 차별피해경험은 물론 부모와 교사에게서 받는 학대피해경험이 직접적으로 차별가해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은 물론 부정적 감정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또래에 의한 학대피해경험의 경우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었지만 부정적 감정을 통해서 차별가해행위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었다. 본 연구의 핵심인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차별 및 학대 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위 간의 부분매개효과와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제언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being discriminated and abused on discriminating others among Korean adolescents. A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s, based on Agnew’s general strain theory. For this study, the Korean Child and Youth Rights Survey data were used including 10,192 students.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AMOS showed that discrimination victimization along with abuse victimization by parents and teach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discriminating others. These structural paths were significant through negative emotions. Being abused by peer groups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busing others through negative emotions. Sugges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종교성이 폭력범죄와 재산범죄 정당화에 미치는 영향: 도덕공동체이론에 기반한 다수준적 접근

        홍명기 ( Myeong-gi Hong ),차유정 ( Yoo-jung Cha ),황의갑 ( Eui-gab Hwang ) 대한범죄학회 2017 한국범죄학 Vol.11 No.2

        종교가 도덕성을 사회에 제공함으로써 현대사회를 통합시키는 기능을 얼마나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러 연구가 있었으나 주로 종교성과 범죄 혹은 비행 행위의 관계를 개인수준에서 다루었다. 개인수준에서의 선행연구에 더하여 본 연구는 종교가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맥락 속에서 설명한 도덕공동체이론을 근거로 종교다양성, 종교특성 등 국가수준 종교요인들이 폭력범죄와 재산범죄 정당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다수준 진단을 시도하였다. 52개국의 국제통계 자료와 70,978명에 대한 세계가치관조사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개인수준에서는 신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로 표현되는 신앙심이 높을수록 폭력범죄와 재산범죄를 정당화하는 인식이 줄어드는 영향을 보인 반면에, 종교행사참석빈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소속종교에 있어서 개신교도에 비해 유대교도와 종교가 없는 사람들의 재산범죄 정당화 정도가 높았다. 국가수준에서는 종교다양성지표(RDI)가 폭력범죄 정당화를 높이는 효과를 보임으로써 종교의 단일성이라는 사회적 맥락이 있을 때 도덕성에 미치는 종교의 효과가 크다는 도덕공동체이론에서의 주장과 일관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종교의 특성과 관련하여 도덕성을 강조하지 않는 신(Impersonal God)을 신봉하는 국가에서의 범죄 정당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인구밀도와 살인율 등 국가수준의 통제변인도 폭력범죄 정당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Based on moral community thesis, this study analyzed individual-level and country-level factors of religiosity on justification of violent and property crimes. For individual-level variables, religiosity, frequency of attending religious service were considered based on the survey data gathered from 70,978 respondents as a part of the World Value Survey. As for country-level variables, total of 52 countries were analyzed with indices that represents contextual religiosity indices such as religion diversity index, type of religion(impersonal God versus personal God), etc.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level religiosity had positive effects on justification of both violent and property crimes, while frequency of attending religious service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Among country level variables, Religious Diversity Index(RDI) had a positive effect on justifying violent crimes, hence supporting the moral community thesis. On the other hand, type of religion(impersonal God versus personal God)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mportantly, however, these country-level variables influenced people`s justification of violent and property crimes through the significant cross-level interactions with individual-level religiosity. Overall, the result impli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 of religiosity in our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crim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