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권자는 어떤 선거 여론조사 보도를 원하는가? 선호 보도 유형별 인식 역량 관련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차유리,정일권,임윤주 한국방송학회 2023 한국방송학보 Vol.37 No.6

        This study categorizes and refines voter preferences for “horse-race broadcasting type” reports, commonly criticized for their problematic nature, and their alternative, “interpretative type” reports, exploring the influencing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voters’ cognitive competencies (involvement, perception of competency, knowledge, evaluation of investigation agencies, and media evaluation). For this purpose, online survey data (N = 1,304) targeting voters aged 19 or older at the time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were utiliz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reporting method preference, a total of four subtypes were derived (horse-race broadcasting type: ‘comparison of approval rates’, ‘emphasis on candidates’, interpretative type: ‘explaining the change in approval rates’, and ‘explaining the meaning of approval rates’). Voters distinguished horse racing broadcasting type and interpretive reporting, and the preference for each detailed type was not the same. Even in the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the influence of each explanatory factor was different. These findings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to determine which voters the media will target and the types of coverage that satisfy them.

      • KCI등재

        An Empirical Encounter of Cultural Orientation and Cultivation Theory: Factors of Perception of Materialistic Realities and Dealing with Materialism of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차유리,권예지 충남대학교 아시아여론연구소 2019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perceptions of materialistic realities of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can be explained by individual experience and media use. We examined: 1) relative consequences of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and amounts of time spent on genre-specific media on perceptions of materialistic realities, 2) whether cultural orientation (allocentrism, self-monitoring, and masculinity) influences explanatory factors of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3) conditions of countervailing responses to materialistic re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nline survey data of 33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amount of time spent on the beauty or fashion genre and awarenes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explained the perceptions of materialist reality in Korean society. Although the perceptions that affected the accommodative response did not affect countervailing response, innovativeness had an interaction effect with perceptions of materialist reality in only countervailing response.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뇌졸중 환자들을 위한 한국어판 Motor Assessment Scale의 신뢰도

        차유리,정경심,정이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1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Motor Assessment Scale(MA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측정자간, 검사-재검사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 중 다양한 회복단계에 있으며 다른 발병기간을 가진 손상정도가 다른 23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MAS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23명의 물리치료사가 무작위로 추출된 20명의 기능적 능력을 비디오로 기록하여 평가하였고 측정자내 신뢰도는 무작위로 추출된 9명의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능력을 7명의 물리치료사가 3주 간격으로 2번의 평가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판 MAS의 항목별 측정자간 신뢰도는 모든 항목에서 ICC=.99 이상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고 항목별 측정자내 신뢰도는 1번 항목(ICC=.75)과 3번 항목(ICC=.79)에서 보통의 신뢰도를 나타내었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모두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었다(ICC=.87 ~ .99). 따라서 한국어판 MAS는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신뢰도가 높은 임상 도구이다.

      • KCI우수등재

        국내 인터넷 이용자의 미세먼지 위험 예방행위 의도에 관한 사회인지 접근의 RISP, HBM 적용모형 정보 노출, 주관적 규범, 부정적 감정, 위험 지각의 역할

        차유리,조재희 한국언론학회 2019 한국언론학보 Vol.6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es of people’s preventive behaviors for threats posed by fine dust in Korea. We established a model explaining people's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for fine dust risks, based upon an extensive review of the discussions of the risks in the country, characteristics of prevention information, and the previous models in health communication. Informed by RISP(Risk Information Seeking and Processing) and HBM(Health Belief Model) in the social cognition approach, we constructed an applied model with the two variables of risk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s to tap into the dimension of heuristic responses to the object of risk and another two variables of subjective norm and exposure to information to capture the dimension of social influence. In order to test multiple hypothes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among main study variables, this research collected quantitative data through an online survey. A research company with a large pool of panels progressed the survey. To increas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s, a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was used, considering portion of gender, residential areas, and age. In total, 300 usable survey could be collected and used for further statistical analyses. A path analysis was used to test all of those proposed hypotheses. Results of a path analysis of online survey data collected from Korean Internet users (N = 300) supported the model and the variables. Risk perception(β = .40, p < .001) and subjective norm(β = .36, p < .001) were found to be the strongest explanatory variables for people's behavioral intentions, with negative emotions(β = .16, p < .001) and exposure to information(β = .24, p < .01) carrying a relatively weaker power and having an indirect relationship respectively. While subjective norm influenced both negative emotions(β = .20, p < .01) and risk perception (β = .55, p < .001), exposure to information affected negative perception only (β = .18, p < .001), indicating the usefulness of a heuristic approach to explaining the processes of the formation of people’s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s. The main findings from this research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oretical explanations of communication psychology in terms of fine dust risks prevention, especially addressing the main connections among perceptual, emotional, and behavioral variables in regards to preventive behaviors of fine dust risks. Moreover, those findings may also be useful for developing measures and education campaigns for the public. Because it has been well known that fine dust causes or exacerbates diverse diseases including respiratory diseases, cardiovascular disorders, diabetes, and so on, public health campaigns in regards to fine dust risks have become more and more necessary. This research’s main findings are helpful for developing practical strategies for those campaign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일반 공중이 미세먼지로 인한 위험을 예방하는 행동 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미세먼지 위험 예방행위 의도 모형을 구축하고자 했고, 해당 위험문제와 예방정보의 특성 및 위험/건강 커뮤니케이션 모형들에 관한 문헌검토부터 선행했다. 사회 인지 접근에서 RISP와 HBM을 적용한 모형의 구성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위험대상에 대한 휴리스틱 반응 차원의 ‘위험 지각’·‘부정적 감정’ 및 사회 자극 차원의 ‘주관적 규범’·‘정보 노출’을 모형의 변인으로 삼았다. 인터넷 이용자 대상 온라인 조사의 데이터(N = 300)를 바탕으로 적용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를 분석한 결과, 모형은 적합하고 예방행위 의도에 대해 모든 변인들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노출’은 간접효과만 유의미했고, 직접 효과를 지닌 요인들 중 ‘부정적 감정’의 영향이 비교적 약함으로써 주요 설명요인은 ‘위험 지각’, ‘주관적 규범’인 것으로 검증됐다. 한편 부정적 감정 및 위험 지각에 대해 주관적 규범의 효과는 모두 유의미했으나, 정보 노출의 효과는 부정적 감정에 대해서만 유의미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미세먼지와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심리에 대한 이론적 설명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공중 교육 및 캠페인 전략 구상 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TV 드라마 메시지의 낙인 효과 - 극 중 만성질환 신체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관련 집단에 대한 사회적 친밀감을 중심으로

        차유리,나은영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2 언론정보연구 Vol.49 No.1

        <P>&nbsp;&nbsp;본 연구에서는 우선 TV 및 신문에서의 심혈관계 질환 관련 메시지에 대한 내용 분석을 예비연구로서 실시했다. 이어서, 만성적 심혈관계 질환의 신체 장애인에 대한 TV 드라마 메시지 유형들(낙인 단서, 악인 캐릭터 단서)이 극중 장애 인물에 대한 부정적 감정, 관련 집단에 대한 사회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험 연구로 파악하였다. 심혈관계 질환 비관련 집단의 일반 남녀 대학생 및 회사원들에게서 수집한 최종자료를 바탕으로(N=350), 부정적 고정관념을 공변인으로한 2(낙인형-반낙인형)×2(악인 캐릭터 단서 없음-있음) 공분산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극중 장애 인물에 대한 부정적 감정, 관련 집단에 대한 사회적 친밀감에 미치는 낙인 단서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낙인 단서와 악인 캐릭터 단서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부정적 감정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낙인 단서와 사회적 친밀감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감정의 매개효과가 배런과 캐니의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통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미디어에서의 특정 메시지 유형이 일상 관련 집단에 대해 가지는 태도에 부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국내에서 간과되었던 만성질환 신체장애인, TV 드라마 연구와 관련하여 낙인 효과를 처음으로 밝혔다는 데 의미가 있다.</P>

      • KCI등재

        TV 드라마 메시지의 낙인 효과 : 극 중 만성질환 신체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관련 집단에 대한 사회적 친밀감을 중심으로

        차유리(Yuri Cha),나은영(Eun-Yeong Na)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2 언론정보연구 Vol.49 No.1

        The present study first conducted a pretest for content analysis of TV and newspaper messages on cardiovascular diseases. And then,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examining the effects of TV drama message types(stigma cues, villain character cues) on the viewers? negative feelings and social distance to chronically disabled people. Analysis of covariance was performed to test the effects of 2(stigma vs. anti-stigma) by 2(villain character cue vs. none) on 350 samples irrelevant to cardiovascular diseases, with negative stereotype as a covariant. As a result, stigma c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feelings and social distance to disabled characters in the drama. Interaction between stigma cue and villain character cue was significant only on negative feelings. Finally, a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feelings in the relation between stigma cue and social distance was pro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ypes of media messages may have significant roles in forming negative attitudes toward disabled people. In addition,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drama message types on chronically disabled people, relatively unattended in Korea until now.

      • KCI등재
      • KCI등재

        좋은 루머, 나쁜 루머, 양가적 루머?

        차유리(Yuri Cha),나은영(Eun-Yeong Na)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5 언론정보연구 Vol.52 No.2

        이 연구에서는 루머전파 동기 접근에 유인가별 인지 접근을 접목시켜 인터넷 루머전파 기대의 구성요인을 밝혀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 성인연령의 인터넷이용자 50명에게서 인터넷 루머전파 기대 관련 진술문을 모았다. 진술문을 토대로 고안한 문항을 활용하여, 온라인커뮤니티 이용자이면서 수도권에 거주하는 성인 총 1000명(1차 조사: 200명, 2차 조사: 400명, 교차 타당도 검증용 추가조사: 400명)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터넷 루머전파 기대 구성요인을 추출하고 신뢰도,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다. 최종적으로 2차 두 가지 차원 7요인(인지 및 이슈화·대상감정분출·자기고양·교훈·오락·사회자본 창출·관계고양)의 인터넷 루머 전파기대 척도를 마련했다. 이 척도는 인터넷 루머전파 행위자 심리에 대한 이해를 돕는 가운데, 공중 교육용 자료는 물론이고 쟁점관리 도구의 일환으로도 쓰일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stituent factors of online rumor spreading expectancy by combining a valence-based cognitive approach with a motivational approach to study rumor spreading. Statements on online rumor spreading expectancy were collected as primary research data from 50 adult Internet users in Korea. Questionnaire items were derived from these statement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000 adult online community users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in three rounds (200 and 400 for the 1st and 2nd survey rounds respectively and 400 for an additional round for the cross-validation test). The survey data were used for deriving the constituent factors of online rumor spreading expectancy, followed b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Finally, a 2-tiered, 2-dimensional online rumor spreading expectancy scale with 7 factors (ORSE Scale) was created. The 7 factors involved are cognition and issue creation, emotional eruption towards the subject, self-esteem boosting, moral message, entertainment, creation of social capital, and enhancement of relationship. Not only is this ORSE Scal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sychology of those who spread online rumors, it can also be efficiently used as a public educational material and issue-management 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