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방주의의 역사-지정학

        차승기(Cha, Seung K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2 디아스포라 연구 Vol.6 No.2

        식민지/제국 시기 내지로 도항한 조선인들을 결합시키고 분열시키는 데 준거가 되었던 범주는 단지 ‘민족’과 ‘계급’만은 아니었다. 민족적?계급적 차별이 내지의 조선인들을 동질적 집단으로 결속시키기도 했고, 차별 탈피에의 욕구를 발생시키며 분열을 초래하기도 했음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뿐만 아니라, 조선인들은 출신지역과 이어지는 ‘지역의식’ 또는 ‘지역감정’에 따라 서로 다른 정체성을 형성하며 갈등하기도 했다. 이러한 현상은 식민지/제국 체제 내에서 소수민족의 정체성이 ‘민족’ 단위와 구별되는 지역적 원천을 가질 수 있었다는 사실에 눈을 돌리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식민지/제국의 역내 이동 및 정주가 어떠한 역사적 규정성 속에서 이루어졌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식민지/제국 시기 내지의 소수자로서의 조선인들은 민족적 차별에 의해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조선인’으로서의 규정성에 사로잡힐 수밖에 없었지만, 이 ‘조선인’은 서로 다른 지역의식을 형성하며 내적으로 경쟁하고 있기도 했다. 이렇게 분할된 의식을 형성하게 된 데에는 당국에 의한 도항의 관리와 조절, 노동환경의 차이, 출신지역 중심의 거주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식민지/제국 시기 내지 조선인들이 출신지와 관련해 갖게 된 지역의식을, 식민지/제국 체제 내에서의 지역 경계의 변동, 역내 이동에 대한 당국의 관리?조절 및 인구 지배의 동력학, 그리고 그 아래에서 움직였던 조선인들의 대응을 통해 맥락화하고자 했다. During the Imperial Japan period, countless Koreans migrated to the main islands of Japan, the Naichi (內地), and were subjected to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eir ethnicity and class. In their effort to escape this categorical discrimination, some Koreans opted for an “exit,” generating friction and division amongst themselves. This paper looks at regionalism as a source of identification for Koreans in Japan. Koreans could not unchain themselves from the categorical shackle called the Ch?senjin, but mushrooming regional identities within the Ch?senjin settlement communities were to cause internal schisms. The development of such divisive, region-based identities was in large part intimately linked to the colonial government’s calculated control of Korean migration to Japan, and differentiation of working conditions and living environments based on the regions from which Koreans came. I argue how regionalism emerged as a critical axis of division among the Ch?senjin in Japan, while they were “on the loose” to maneuver themselves within the borders of the empire. Regionalism is examined within the rubric of the colonial government’s surveillance over population movement as well as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negotiations with such heavy-handed yet crafty measure of governance.

      • KCI등재

        제국의 고도古都, 초월의 기술

        차승기(Cha Seung-Ki)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29 No.-

        1942년 제1회 대동아문학자 대회에 참여했던 이광수는 대동아의 문학자들과 함께 ‘내지’의 ‘고도’를 답사하는 경험에서 고향에 온 듯한 느낌을 얻는다. 특히 나라에서 이광수는 스스로를 고대 삼국시대의 조선인으로 환상하는데, 『소녀의 고백』이라는 소설에서 그는 나라를 고향과 동일한 상상지리적 장소에 위치시킨다. 제국의 고도는 일본(내지)-식민지-아시아를 연결하는 본질적인 수도로 위치지어진다. 한편 다양한 ‘성지순례’ 캠페인에 의해 답사되었던 대동아의 성지들은 군사적 상징들과 결합되면서 숭고의 경험을 드러내는 ‘참배기’들을 생산해냈다. 숭고가 표상으로부터 표상불가능성을 발견하게 하는 곳에서, 식민지/제국은 군사적 위력으로부터 ‘황국에의 신뢰’를 상상하게 만든다. 고도와 성지의 존재는 마치 『법화경』의 기본 사상을 공간적으로 펼쳐놓은 듯이 비유될 수 있다. 즉 고도의 존재론은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명제와 닮아 있어서 개방되어 있으면서도 폐쇄된 이중 구조를 보여준다. 또한 그것은 ‘일본인이 되는 길’의 구조와도 유사하다. 결국 제국의 고도와 성지는 ‘만세일계’를 공간화하고 ‘팔굉일우’를 시간화한 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답사와 순례는 피식민지인이 ‘황민’으로 초월할 것을 기대하며 조직되지만, 고도와 성지가 기대하는 분리와 통합은 역설적으로 그 기대에 어긋날 가능성 속에서 작동한다. Yi, Kwang-Su(李光洙), who experienced ancient cities of imperial Japan accompanied by ‘The Greater East Asian’ men of letters in 1942, has felt like home. Especially in Nara(奈良), he imagined himself as a Korean from the era of the Tree States, and put Nara on the same imagined-geographic place as home in A Young Girl's Confession. The Ancient City has been posited a essential capital that connected the empire-colony-asia. Meanwhile, the sacred places, where have been explored by various pilgrimage campaign, produced worship essays which revealed experiences of sublime combined with military symbols. At the point, which the sublime discovers the inrepresentability from the represention, the colony/empire made to imagine the ‘confidence to the empire’ from the military forces. The existence of the ancient cities and the sacred places, would be likened the spatial realization of the basic thought of the Sutra of the Lotus(法華經). The ontology of the ancient city, similar to the proposition that ‘anyone can be a saint’, shows the double structure that is both opened and closed. It is analogous to the structure which ‘the way becoming Japanese’. It could be said that the ancient cities and the sacred places of the empire both spatialized ‘An Unbroken Line of Emperors(萬世一系)’ and temporalized ‘Universal Brotherhood(八紘一宇)’. However exploration and pilgrimage were organized in expectation of transcending the colonized to the subect of the empire, the division/integration, by which the ancient cities and the sacred places be constituted, operates in the possibility that fails that expectation.

      • KCI등재

        동양적인 것, 조선적인 것, 그리고 『문장』

        차승기(Cha Seung-ki)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이 글은 식민지/제국 말기 ‘근대=서양’ 비판의 헤게모니 담론으로 ‘동양론’이 생산되던 시기 ‘동양적인 것’의 권리 주장이 식민지 조선의 문학적 영역에서 이해되고 재생산되던 맥락을 고찰하고자 했다. 흔히 전통주의적 지향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되는 잡지 『문장』을 검토함으로써, 조선적인 것의 긍정적 정립이 시도될 때 그것이 동양적인 것과 어떤 역학관계에 놓이게 되는지를 주로 살펴보았다. 『문장』은 1930년대 중반 조선주의 문화운동의 흐름을 이어받으며 등장했지만, 총력전의 사상, 반근대적 전통주의, 모더니즘의 유산이 모호하게 결합된 형세를 보여준다. 흔히 『문장』은 이른바 반근대적 전통주의의 경향으로 설명되지만, 사실 『문장』의 그러한 경향은 『문장』내부에서 작용하는 총력전의 사상과 모더니즘의 유산이라는 서로 다른 힘의 방향이 충돌하고 중첩되면서 형성된 일종의 힘의 교집합 속에서 생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속에서 ‘동양적인 것’과 ‘조선적인 것’이 모호한 관계를 맺게 된다. 『문장』에는 헤게모니 담론으로서 주어진 동양문화가 전제한 ‘서양/동양’ 이분법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또한 그 동양문화 속에 조선적인 것이 포함될 수 있는지를 의심스럽게 물으며 ‘조선적인 것’의 잔여성을 지시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특히 김동리의 경우 민속 · 예술 · 전설 등을 매개로 “생명의 구경 의의意義”를 탐색하는 문학을 통해 조선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의 실체론적 구별을 무화시키며 ‘토착적 고유성’의 방향을 예시해준다. 그를 통해 총력전의 사상으로서의 ‘동양론’과도, 조선적인 것에 대한 본질주의적 개념화와도 구별되는 『문장』의 특이성이 드러난다. 그러나 헤게모니 담론으로서의 ‘동양론’은 물론, 패배당한 것들을 창작의 원리와 결합시키고자 했던 시도도 그것이 ‘복수’의 성격을 띠면서 ‘패배의 기억’을 지워버리는 경향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contexts in which the Eastern, as hegemonic discourse for the critique of ‘the Modern=the West’, has been understood and reproduced in literary field of colonial Choseon朝鮮. By examining Munjang文章 which is apt to be appreciated its traditional inclination, I inquired into the dynamics between the Eastern and the Choseon in their positive founding respectively. Munjang appeared in the wake of the Choseonism朝鮮主義 movement, but it shows a certain obscure configuration which consisted of the thought of total war, anti-modern traditionalism, and heritage of modernism. It used to be explained that Munjang had a strong tendency of ant-modern traditionalsim, but such a tendency was formed in the intersection of forces which had quit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thought of total war and heritage of modernism. In Munjang, there were not only voices which criticized the dichotomy of ‘the West/the East’ assumed in the hegemonic discourses, but also perspectives which looked the remnantness of ‘the Choseon’ as the non-reductiveness. Especially, Dong-ri Kim金東里 tried actualizing the ‘native property’ in abolishing the substantialist distinction between the Choseon and the Eastern, and in creating the works which explore the ‘the ultimate sense of the life’ mediated by folklore, art, legend etc.. He reveals the specificity of Munjang that is distinguished not only from ‘the Eastern’ as the thought of total war, but also from the essentialist conceptualization of ‘the Choseon’. But these attempts, which tried to combine ‘the defeated’ with the principle of creation, had a tendency to eliminate the ‘memory of defeat’ in the form of ‘vengeance’, not to speak of the hegemonic discourse of ‘the Eastern’.

      • KCI등재

        ‘언어=사실’의 세계 ― 전쟁과 르포르타주

        車承棋 ( Cha Seung-k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7 No.-

        이 글은 일제말 전시체제기 ‘사실의 세기’의 대표적 문학형식으로서 보고문학의 생산이 강요되었던 위기적 맥락에 주목해, 르포르타주적 글쓰기와 관련된 정치적, 미학적 문제를 숙고하고자 했다. 기존의 질서, 가치, 규범 등이 위기 상태에 처해지는 순간, 말과 사물이 맺어온 기존의 관계가 붕괴되거나 위태로워지고 새로운 관계가 모색된다. 이 위기 상태는 늘 그때그때의 사실과 대면할 것을 요구해 왔고, 르포르타주적 글쓰기는 그 요구에 응답해 왔다. 1차 세계대전 후 아방가르드의 자율성 예술 비판, 마르크스주의 문화운동의 선전과 연대, 전쟁시기(아시아-태평양전쟁에서 한국전쟁까지)의 종군문학 등이 그 응답의 일부였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일제의 식민지 전시체제는 예외상태를 상례화하는 전선/총후의 정치적-의미론적 장치 아래 문학을 포획해 전선의 ‘사실’을 보고할 것을 강요했다. 이로써 근대 문학의 제도적 존립 근거들과 개인의 자율성 신화가 심각하게 의심받게 되었으나, 위기의 글쓰기로서의 르포르타주는 공식 미디어에 흡수되었고, 문학 자체를 ‘보고’로 만들어버리는 자폐성을 극복할 수 없었다. 그러나 속도, 탈개성성, 조직력이라는 특성을 갖는 반[半=反]-장르로서 르포르타주는, 분리되었던 것을 연결하면서 문학을 다른 사용에 맡기는 실천의 일부로서 잠재력을 간직하고 있다. This article intends to contemplate political and aesthetic issues related to reportage writing, focusing on the critical situation during wartime that colonial Korean writers were forced to produce reportage literature (bogomunhak) as an representative literary form of the "century of facts". At the critical moment of order, values, and norms, the existing relationships between words and things collapse or are in jeopardy, and then a way to forge new relationship can be found. Reportage writing has been a response to the demand to confront the facts of the time in the crisis. It can be said that Avant-Garde criticism of the art of autonomy after World War I, the propaganda and solidarity of Marxist cultural movements as well as military literature during wartime from the Asia-Pacific War to the Korean War were such responses. Imperial Japan's wartime system captured Korean literature in the front/rear political-semantic dispositif to set the state of exception as usual and forced it to report the "FACT" of the front lines. Accordingly, reportage, as writing of crisis, integrated into the official media although the institutional basis of modern literature and the myth of individual autonomy had been seriously questioned. Reportage writing during wartime could not overcome the autistic characterization to limit the literature itself to a 'report.' However, reportage as an anti/semi-genre marked by promptness, de-individuality, and organizing ability retains its potential as part of its practice to link up separate things and to employ literature otherly.

      • KCI등재

        두 개의 `전후`, 두 가지 애도 -`전후` 한국과 일본, 가난한 아이들의 일기를 둘러싼 해석들-

        차승기 ( Cha Seung-ki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6 사이 Vol.21 No.-

        이 글은 1950년대 후반 일본에서 출판된 재일조선인 소녀 야스모토 스에코의 일기 『니안짱』과 1960년대 중반 한국에서 출판된 이윤복의 일기 『저 하늘에도 슬픔이』가 각각 한국과 일본에서 번역되고 영화화되면서 대중적 동정 속에 문화적으로 전유된 과정을 검토하며 그 정치-의미론적 맥락을 고찰한다. 이 두 텍스트의 재빠른 번역과 문화적 전유는 아동-비참-일기를 둘러싸고 한국과 일본 사이에 공통의 역사적 해석체제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려준다. 가난한 아동의 비참한 삶이 그 안에서 솟아나는 천진한 선함 및 생존의지와 대조를 이루는 이 아동-비참-일기는 해당 사회에 윤리적 물음을 던진다. 이 물음에 대응하는 사회적 감정-행위의 본질은 `전후 경험`에 대한 애도작업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 재일조선인 소녀의 아동-비참-일기를 둘러싼 감정-행위가 `고도성장기`에 접어든 일본 사회의 `전후 단절`과 관련된 애도였던 데 반해, 한국에서 가난한 소년의 일기에 대한 반응에는 같은 궁핍 속에 있다는 감각으로부터 비롯되는 동정과 궁핍한 과거에 대한 애도가 모호하게 뒤섞여 있었다. 그런 점에서 특히 『저 하늘에도 슬픔이』가 한국과 일본에서 문화적으로 전유된 방식을 주목할 만하다. 김수용 감독의 <저 하늘에도 슬픔이>는 김동식 선생의 `대체 아버지=통치자`로서의 위치를 보다 분명히 함으로써 국가주도의 경제개발 속에서 `빈곤 탈출`을 기대하게 한다. 이에 반해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윤복이의 일기>는 `한일협정`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밑바닥에 깔고 가난한 아이들이 저항의 주체로 성장할 미래를 꿈꾼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political and semantic contexts of the cultural appropriation in the translation of the diaries of disadvantaged children. YASUMOTO Sueko`s Nianchang (1958) and LEE Yoonbok`s Cry, The Sad Sky (1964) - two diaries from Japan and Korea - were translated and made into films that came to represent cultural markers for that period. The immediate translations and culturally appropriated language and media suggest that Korea and Japan shared a common historical interpretation. The diaries of the children showed their life to be miserable and showed their struggles for survival, while raising ethical social issues. The essence of social emotion-acts as a response to ethical issues can be seen as Trauerarbeit (mourning) for the `post-war experience.` Japanese society`s response to a poor Zainichi Korean girl`s diary were Trauerarbeit, involving the rupture from post-war Japan as it entered high economic growth. In contrast, the Korean social response to a poor boy`s diary was an ambiguous mixture of Trauerarbeit, for its poor past, and compassion from general the perception of similar straits. In this regard, the cultural appropriation of Cry, The Sad Sky in Korea and Japan is worthy of notice. The film Cry, The Sad Sky (1965) could lead the Korean audience to expect the state-dominated `escape from poverty`, by highlighting the status of teacher KIM Dongsik as an `alternative farther=government.` On the contrary, Oshima Nagisa`s radical documentary Yunbogi`s Diary (1965), which was motivated by his critique of the 1965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had the expectation that these poor children would grow into subjects of resistance.

      • KCI등재

        문학이라는 장치 -식민지/제국 체제와 일제말기 문학장의 성격-

        차승기 ( Seung Ki Cha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4

        이 글은 ``장치(dispositif)``라는 개념을 통해 근대문학의 제도성 또는 장치성을 재검토하고, 그 연장선 위에서 식민지/제국 체제와 식민지 조선 문학장의 특이성을 해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권력관계 속에 기입되어 전략적으로 기능하는 담론, 제도, 법, 지식 등의 네트워크``를 지시하는 푸코의 장치 개념은 아감벤에 의해 ``생명체들의 몸짓, 행동, 의견, 담론을 포획, 규정, 차단, 제어, 보장하는 능력을 지닌 모든 것``으로 일반화된다. 아감벤의 개념을 참조할 때 장치는 단지 규율권력의 편재를 의미하기보다 살아 있는 개개의 존재자들이 사회를 구성하면서 포획되는 다층적이고 불균등한 조건을 뜻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장치는 단지 규율적·통제적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인간적인`` 욕망을 발육시키는 장소가 되며, 이 유토피아적 계기를 가운데 두고 장치와 살아 있는 생명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길항과 투쟁을 주체화의 길로 인도하는 형식이 되기도 한다. 식민지는 식민지와 식민본국 사이의 불균등하고 비대칭적인 존재론적·법적·정치적 관계에 의해 규정될 때에만 식민지일 수 있는데, 바로 이러한 관계가 인간화·주체화의 조건 및 형식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장치 개념은 식민지의 역사적 특이성을 해명하는 데도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식민지와 제국 사이의 차별이 구조화된 연루관계를 지시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식민지/제국 체제``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식민지/제국 체제의 체제로서의 지속의 조건은 통제적 합리화, 욕망의 내재화, 가시성의 절대화에 달려 있다. 그리고 이 체제의 비유기적인 구성요소로서의 문학은 식민지의 생명체들에 특정한 주체성의 가상을 부여하는 장치로서 작동한다. 다양한 담론적·비담론적 조건이 결합되어 만들어내는, 특정한 ``의미를 갖는`` 쓰기/읽기/말하기/듣기 체제로서의 근대문학은 ``반성적(내면적) 주체``와 ``상상적 연대의 주체``=국민적 주체를 구성했다. 이 주체성은 각각 ``고유한 자기``를 소유하고자 하는 꿈과 ``무한한 소통가능성``의 꿈을 분리된 영역에서 포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체성을 생산해내는 장치로서의 문학이 특정한 ``전달가능성``의 체제를 전제하고 있다면, 이 전달가능성이 (어떤 방향에서든) 벽에 부딪칠 때 장치의 장치로서의 성격이 전경화된다. 중일전쟁 발발 이후 총력전 시기는 식민지/제국 체제의 ``체제``로서의 성격이 극명하게 드러난 시기이며, 또한 ``조선문학의 위기``라는 형태로 문학장의 변동이 표면화된 시기이다. 전쟁, 동원, 외지의 내지화 등은 문학장의 구조를 변동시키며, (그동안 근대문학의 장치 속에서 생산되어 왔지만 은폐되어 있었던) 기술자-작가와 번역가-작가를 산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stitutionality or apparatusness of modern literature, and to clarify the singularity of colonial/imperial regime and colony`s literary sphere. Foucault`s concept of dispositif is a thoroughly heterogenous ensemble consisting of discourses, institutions, architectural forms, regulatory decisions, laws, administrative measures, scientific statements, philosophical, moral and philanthropic propositions-in short, the said as much as the unsaid. Agamben generalize it into anything that has in some way the capacity to capture, orient, determine, intercept, model, control, or secure the gestures, behaviors, opinions, or discourses of living beings. In the light of Agamben`s concept, dispositif means not the omnipresence of disciplinary powers, but multilayered uneven conditions into which living beings are captured. In this sense, dispositif doesn`t only perform some disciplinary control function, but also provides sites for developing the ``human`` desire. So it also becomes the form of subjectification which is constituted in antagonism between dispositif and living beings. Colony is the colony under the determination of uneven asymmetry ontological, legal,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colony and empire. The concept of dispositif is applicable to clarify the historical singularity of the colony, because this relationship is connected directly with the conditions of humanization and subjectification. For indicating the i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colony and empire, I use the concept of the ``colonial/imperial regime``. The condition of durability as regime of the colonial/imperial regime, depends upon the rationalization of control, the internalization of desire, and the absolutization of visibility. And literature as inorganic element of this regime, operates as dispositif, which offers appearances of subjectivity to living beings of the colony. The modern literature as a certain ``significant`` writing/reading/speakin g/hearing regime, which is made by manifold discursive, undiscursive conditions, constitutes ``the reflexive (internal) subject`` and ``the subject of imaginary solidarity``=national subject. These subjects seizures the dreams that want to possess the ``proper self``, and the dreams that want to communicate infinitely, in the separated territory respectively. If literature as dispositif which produces these subjectivities premises a certain regime of ``communicability(Mitteilbarkeit)``, when this communicability reaches a deadlock, the characteristics as dispositif of dispositif would be exposed clearly. During the total war, since the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the characteristics as the ``regime`` of the colonial/imperial regime was revealed clearly, and the structural change of literary sphere come to the surface in the form of ``the crisis of Choseon Literature(朝鮮文學)``. In the wake of the war, mobilization, and internalization of the colony, the structure of literary sphere changed and that produced the technician-writer and translator-writer who had been concealed in dispositif of the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고귀한 엄숙, 고요한 충성 : 이광수의 예의작법과 감각적인 것의 나눔

        차승기 ( Cha Seung-ki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0 No.29

        이 글은 이광수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던 ‘정’과 ‘사랑’의 관계의 특이성을 그 인물들의 언행과 몸짓을 통해 살펴보고 그 언행과 몸짓에 작용하는 절제의 덕을 예의작법의 차원에서 고찰함으로써 이광수적 공동체가 수행하는 감성적인 것의 분할=공유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한다. 절제는 특히 이광수적 인물들의 언행과 몸짓을 통해 드러나는데, 일종의 문화적 질서에서 비롯되는 이 절제의 힘은 내적인 본능과 욕구를 다스리는 동시에 타인과의 사적/공적 관계를 구성하는 방식에까지 작용한다. 특히 새로운 공동체에 대한 이광수의 비전 속에서 절제는 예의작법이라는 간접적이고 의례화된 행위를 통해 수행적으로 실천된다. 동물/인간의 도덕적 분할선을 전제한 채, 자기 안의 동물적인 것을 억제하고 사적인 것을 지움으로써 만들어지는 이광수적인 ‘정다운 공동체’는 예의작법의 수행적 실천을 통해 견고해진다. 특정 상황에 정치적-의미론적으로 긴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의례화 될 수 있는 이 간접적 행위로서의 예의 작법이야말로 주체가 현실과의 상상적 관계를 살아가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실천계의 움직임을 드러내준다. 아울러 절제된 신체가 과도한 친밀성에 대한 불안으로 인해 자기-소외하는 메커니즘에서 이광수적인 ‘선각자’들의 존재론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본능적인 것 또는 사적인 관심으로 오염된 것으로부터 스스로를 소외시키면서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이 엄숙한 존재의 예의작법의 실천은, 오히려 그가 벗어나고자 하는 세계를 구성한 힘에 대한 충성의 몸짓으로 귀착한다. 자기-타자 관계의 안정적인 경계설정에 의해 구성되는 이광수적 신체들은, 주어진 사회적 관계를 논쟁에 부치고 변형시키는 일은 신체와 감각에 부여되어 있는 기존의 경계와 질서에 질문을 던지면서 그것을 재조직하는 문제와 분리될 수 없음을 지시해준다. This article tries to explore the specific relations between ‘affection’ and ‘love’ through gestures and behaviors of characters of Yi Kwang-su(李光洙)’s fictions, to contemplate the virtue of Sophrosyne on the level of the manners and to reveal the meanings of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hat Yi Kwang-su’s imagined community performed. Sophrosyne was often represented by characters’ gestures and behaviors. The power of Sophrosyne, derived from a sort of cultural order, governs the internal desire and need and works even on the formation of the private/public relationships at the same time. In Yi’s vision of a new community, Sophrosyne would be performed through the indirect and formal conduct of the manners. Based on the promise of a moral dividing line between human and animal, Yi’s ‘affectionate community’ could be made by suppressing the animalistic in the self and deleting the private and become stronger and solider by performative practice of the manners. The manners as an indirect act, which could be relatively formalized, would reveal the activities of ideological practical system in which the subject were living with the imaginary relations to the reality. Through the mechanism of self-alienation resulted from the anxiety about the excessive intimacy, we can ascertain the ontological site of the pioneers in Yi’s world. The practice of the manners of this solemn being, who pursues the self-sufficiency by isolating oneself from the instinct or the private interest, comes to gestures of loyalty to organizing power of the world that he/she wants to escape from. The bodies in Yi’s fiction world has been organized by stable borders. They indicate that disputing over a given social relationship and transforming it is questioning an existing (b)order on physical senses and inseparable of its reorgan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사실의 세기", 우연성, 협력의 윤리

        차승기 ( Seung Ki Cha ) 민족문학사학회 2008 민족문학사연구 Vol.38 No.-

        중일전쟁 발발 이후, `국가총동원법`이라는 전시 비상법령이 공포되고 제국주의 주권권력의 초법적 성격이 뚜렷하게 드러남으로써 주체와 세계의 위상이 모호하게 유동하는 불확실성과 비결정성의 시대가 개시됐다. 이 무렵 발레리의 `사실의 세기`라는 표현이 일본 지식계에 의해 재맥락화된 후 식민지 조선의 문학인들 사이에 유포되고 전유되었다. 정신의 자유에 대한 비판을 함축하고 있던 발레리의 명제는, 일본 지식인들의 손을 거치면서, `일본적 현실`을 강조하기 위한 논거로 변형되어 식민지 조선에 들어오게 되었다. `사실`을 둘러싸고 이루어진 백철, 임화, 유진오, 김남천 등의 논의를 살펴보면, 기존의 규범적 주체성 형식이 무너진 이후 주체/세계의 경계가 이동해 가는 경향, 요컨대 `자기`의 확실성의 근거가 `주체`에서 `사실`의 세계 쪽으로 옮겨가는 경향이 드러난다. 또한 이들이 놓여 있던 비결정성·불확실성의 상태는 주체/세계의 관계 재설정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윤리의 문제를 환기시킨다. 주체/세계의 관계 재설정이, `국가총동원법`에 의해 전쟁 승리와 `신질서` 건설에의 협력이 강요되고 식민지 인민들의 생명과 정신과 행위가 정치적인 영역에 끌려들어가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이때 발생하는 윤리의 문제는 `협력`에 의해 규제되는 특정한 관계성의 형식을 취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그 관계성의 형식을 `협력의 윤리적 공간`이라고 명명하였다. 이곳에서 백철과 유진오는 `사실`의 세계를 유일한 현실로 받아들였고, 임화와 김남천은 주체의 형식을 변형시킬 방법을 모색하면서 비결정성의 세계를 견뎌내고자 했다. After the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when the over-legal characteristic of the imperial sovereign power has come to the front with the proclamation of "the law of national mobilization", literary men of the colonial Chosen have experienced irreconcilability with the world in anxious. This period, when has been controlled to the deepest domain of life and spirit by war efficiency, was an era of uncertainty and indeterminacy that the phase of subject and world was fluid obscurely. In those days, Valery`s expression of "the century of fact" was circulated, interpreted, and appropriated in literary men of the colonial Chosen, being passed by re-contextualizng of Japanese intellectuals. By them, the thesis of Valery, which implied a critique of freedom of spirit, was transformed to an argument in order to emphasize "japanese reality", and was introduced into the colonial Chosen. Through discussions of Paek Chul, Im Hwa, Yu Jino, Kim Namchun etc. about the `fact`, we can examine certain tendencies of shift of boundary of subject/world after the collapse of established forms of subjectivity, which speak for shifting ground of certainty of `self` from `subject` to the world of `fact`. It surely indicate the `powerlessness` of subject, but in this process, it could make an attempt to gaze subjectivity as the being constituted in the world refl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of indeterminacy on which they were placed arouses a problem of ethics in a pattern of demanding re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world. This reestablishment carried out in the course that life, spirit and act were drawn into the political realm in the time of national mobilization. In this respect, the problem of ethics as such took certain forms of relationship which has been regulated by `collaboration`. It could be called to `the ethical sphere of collaboration`. In this sphere, Paek and Yu have received the world of `fact` as a sole reality, and Im and Kim have endured the world of indeterminacy in search of way to transform a form of subjectivity rather than constitute the world of `fact` a reality. `The ethical sphere of collaboration` is a place where the ethics was to founded on `bare life itself` which is left over deprivation of the order of spirit and the power of order. In other words, it forces a slavery life which seeks for the sole value in surviving. Since the Liberation, it also has been reproduced in operations of sovereign power of nation-state.

      • KCI등재

        식민주의적 신체의 변신을 위하여 : 네그리·하트의 『공통체』, 식민지, `지하 세계`

        차승기 ( Cha Seung Ki ) 역사문제연구소 2014 역사문제연구 Vol.18 No.2

        This paper offers a critical review of Commonwealth(2009), the last in a trilogy of books co-authored by Antonio Negri and Michael Hardt, in order to explore a paradigm found in Korea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roughout Commonwealth, Negri and Hardt at-tempt to form a revolutionary program against the global empire built on what they refer to as “the common.” “The common” refers to not only the common wealth of the material world such as air, water, the fruits of the soil, and all of nature`s bounty but also the results of social pro-ductions which are necessary for social interactions and further productions such as knowl-edges, languages, codes, information, affects, and so forth. According to Negri and Hardt, capital intensifies the contradictory movement that exploits and privatizes the common and, at the same time, expands the order based on the common. Today capital today satisfies conditions necessary for restoring the common and revitalize-eing practices in which the subject becomes the other. Accordingly, Negri and Hardt pres-ent a program that liberates a biopolitical production from the relationship with capital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common and the continual metamorphosis of subjectivity. In this article, I trace the path walked by In-Kyu Joo(朱仁奎), a movie actor and revolu-tionary labor activist, in the colonial city Heungnam(興南) which was built by Japanese imperial capital. In doing so, I present a historical paradigm representing the way in which the multitude has produced the common by investigating the process by which the colonial bodies have produced a new subjectivity in the place of primitive accumulation in the colony. I call into question Negri and Hardt`s vision of the transition through the “cumulative production” and try to revitalize the critical moment of the impossibility of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