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프롤레타리아란 무엇이었는가 - 카프 초기의 프롤레타리아 개념의 변모

        차승기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4 한국문학연구 Vol.0 No.47

        From Marxist perspective, the proletariat is the class that abolishes itself. In other words, it is the class, and it isn’t. The characteristic of this dialectical being that preserves the future time, has been transfigured in a certain way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roletarian literary movement in colonial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World War Ⅰ and March 1st Movement(1919), the proletariat became the common name of all those who were suffering socio-economically and politically, that is the colonized, the poor, the tramp, the sick, etc. Especially, for Kim Ki-Jin[金基鎭], who tried to find a clue to the human liberation from the ‘revolution of the sense’, the proletariat was the name of the minority or the dispossessed in the comprehensive meaning. But, in order to bring the ‘proletarian literature’ into existence under the representational apparatus of the colonial/imperial system, it ought to have made clear that the proletarian was the ‘class’ as the subject producing all of the social relationships, not just the oppressed in the colonial capitalism. In the context of literature, it appeared in the way to emphasis on the ‘class consciousness’ and the ‘eye of the proletarian vanguard’. The more it has carried through the hegemony of labour class in the concept of the proletariat, this concept has been transferred to the context of identity politics by degrees. It could be said that the proletariat as the common name of the dispossessed has been transfigured to the flag of the vanguard of labour class.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프롤레타리아는 계급 자체를 철폐하는 계급, 즉 계급이면서 계급이 아닌 존재이다. 미래의 시간을 간직하고 있는 이 변증법적 존재의 특별한 성격은, 식민지 시기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이 형성․전개되는 과정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변용된다. 제1차 세계대전과 3․1운동의 파장이 이어지는 문맥에서 프롤레타리아는 피식민지인, 가난한 자, 부랑자, 병자 등 사회-경제적․정치적으로 고통받는 모든 이들의 공통된 이름이기도 했다. 특히 ‘감각의 혁명’에서 인간 해방의 단초를 발견한 김기진에게 프롤레타리아는 매우 포괄적인 의미에서 마이너리티 또는 추방된 자들의 이름이었다. 하지만 식민지/제국 체제의 재현장치들과 관계하며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식민지 자본주의 사회에서 억압받는 자로서의 프롤레타리아뿐만 아니라 그 사회의 모든 사회적 관계를 생산하는 주체로서의 프롤레타리아 ‘계급’이 명료해져야 했다. 문학에서는 ‘계급의식’, 나아가 ‘프롤레타리아 전위의 눈’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프롤레타리아 개념에서 노동계급의 헤게모니를 관철시키려 하면 할수록 그 개념은 점차 정체성 정치의 맥락으로 전이되어 갔다. 추방된 자들의 공통된 이름으로서의 프롤레타리아는 점차 노동계급 전위의 깃발로 변용되어 갔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재난 속에서 쓰기 - 한국 근대문학의 재난적 성격에 대한 시론

        차승기 상허학회 2021 상허학보 Vol.61 No.-

        동아시아 전쟁, 주권 상실, 식민지로의 전락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한국 근대문학에 있어 재난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자율적으로 미래를 기획할 수 없는 식민지 상태에서의 근대화 과정은 통치와 통치불가능의 경계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의 긴장을 고도화해 왔기 때문이다. 한국 근대문학에서 나타나는 ‘재난 서사’는 이 타율적이고 무주권적인 세계를 견디는 행위의 산물이기도 했다. 『혈의 누』와 『무정』에서 볼 수 있듯이, 근대화를 적극적으로 지향하는 재난 극복의 서사는 식민주의적 통치성을 모방하는 형태로 구성되기도 했다. 하지만 신경향파와 카프 계열의 소설에서 발견되듯, 재난은 식민주의적 통치성 내부의 균열, 갈등, 적대에 눈뜨게 하고 현존하는 통치를 부정하도록 만들기도 한다. 특히 카프 계열의 ‘재난-극복 서사’는 새로운 주체 및 대안적 통치성의 알레고리로 읽힐 수 있다. 그 대신, 이 서사적 기획 속에서 재난은 기존의 통치성을 뒤흔들고 관습적 세계를 파괴하는 폭력으로서보다는 대안적 정치-윤리를 획득하기 위한 기회처럼 배치되곤 한다. 재난이 담지한 폭력성이 물리적 세계만이 아니라 기존의 윤리적․관습적 세계를 향해 있기도 하다는 점, 즉 재난은 윤리적 재난을 수반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전시체제기의 김남천의 글쓰기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는 재난적 상황이 초래한 통치와 통치불가능의 경계에서 윤리적 전환의 지속(durée)을 관찰한다. ‘전환기’의 지속 안에서 ‘잔여적인 것’(the residual)과 ‘부상하는 것’(the emergent)의 충돌이 만들고 있는 파편들을 수집하는 그의 ‘재난의 리얼리즘’은, 세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게 해주는 신화도 윤리도 사라진 세계에서, 쉽사리 복구나 극복으로 환원할 수 없는 재난 ‘속에서의’ 글쓰기가 갖는 윤리성을 숙고하게 해준다. Disaster has a special meaning in modern Korean literature, which has undergone wars in modern East Asia, loss of sovereignty, and decline into colonial situation. Since Korea’s modernization was developed in a colonial situation where the future could not be planned autonomously, the tensions in writing on the border between governability and ungovernability have been heightened. In modern Korean literature, “disaster narrative” was also the product of enduring this heteronomous world without sovereignty. As Yi In-jik’s Hyeorui Nu(Tears of Blood, 1906) and Yi Gwang-su’s Mujeong (Heartless, 1917) show, the narrative of overcoming disasters that actively pursues modernization was also composed of a form that immitates colonialist governmentality. Contrastingly, in novels of New Tendency Group and KAPF, disaster awakens cracks, conflicts, and hostility within colonial rule, and also makes people reject existing rule. The violence of disasters is directed not only toward the physical world but also toward the existing ethical and conventional world. Considering that disasters involve ethical disasters, it is important to note Kim Nam-cheon’s writing during the wartime regime. Kim observes the durée of ethical transitions in the border of governability and ungovernability caused by catastrophic situations. His “disaster realism,” which grasps the fragments formed by the conflict between “the residual” and “the emergent” within the “transition period”, brings us to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ethics of writing “inside” disaster that cannot be easily restored or overcome, in a world where myths and ethics have disappeared.

      • KCI등재

        추상과 과잉-중일전쟁기 제국/식민지의 사상연쇄와 담론정치학

        차승기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1 No.-

        In the second Sino-Japanese War, Japan presented the de-nationalistic, de-modem vision to Chinese in order to pass over the wall of anti-Japanese nationalism of Chinese. In other side, Japan assumed a course which make the colonial-Korea as a supply base for the War. The conflicts and gaps of the heterogeneous powers of violence, mobilization, and revolution surrounding Japan, China, and Korea, brought forth a unique site of discourse. Korean converted intellectuals participated in this site of discourse, while forecasting the transition and result of the Sino-Japanese War in the one hand, and expecting the effect of close adhesion of imperial-colonial relationship. In the first place, Korean converted intellectuals ought to have kept the distance to the future project of Japan (for example, 'the Community of the East-Asia'), because the visions of Japan was presented in face with the resisting China, with the consequence that the vision lacked of the colony problem. A theoretical position which had risen from this characteristic of the site of discourse, was strongly impressed on the strategy of 'abstraction'(徐寅植, 朴致祐). In the other side, the relation of the imperial-colony was stuck to closer in the process of the war. This change stimulated the desires to overcome the colonial discrimination, and these desires turned up the strategy of 'excess' which misread the hegemonical discourse from Japan, against the grain(印貞植, 金明植). The both were inscribed the historic-geopolitical topology of the colony in the position of utterance, and at the same time, were the practical strategies of discourse for changing the imperial/colonial relationship. 중일전쟁기는 일본이 중국의 강력한 항일민족주의의 벽에 부딪침으로써 동아시아에서 다민족공동체를 구성하기 위한 탈민족주의적탈근대적 비전을 제시하는 한편, 식민지를 병참기지로 배치하면서 제국/식민지 사이의 거리를 억압적으로 밀착시켜가는 시기였다. 일본, 중국, 조선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폭력과 동원과 변혁의 이질적 힘들의 충돌 및 간극은 중일전쟁기 특유의 담론공간을 생성하게 되었다. 특히 조선의 경우 일본의 식민지로서 중국과 일본의 충돌을 경험하고 있었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전쟁의 추이와 결과를 예측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강화되어가는 제국/식민지 관계의 효과를 예상하는, 상대적으로 비결정적인 담론공간이 생성되고 있었다. 저항하는 중국의 내셔널리즘을 의식하면서 제기된 ‘동아신질서’ 구상 및 ‘동아협동체’론에는 식민지가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선에서는 그 미래기획 담론의 현실성으로부터 거리를 두지 않을 수 없었고, 그 거리가 담론실천에서 ‘추상화’ 전략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일본이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식민지 동원을 강화해감으로써 제국/식민지 관계가 보다 억압적으로 밀착되었는데, 이 밀착이 오히려 식민지를 식민지로서 위치지었던 조건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가 식민지 차별의 극복이라는 욕망을 촉발하였고 그 욕망은 일본에서 발화된 헤게모니 담론을 넘겨짚어 오독하는 ‘과잉’ 전략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추상화’ 전략과 ‘과잉’ 전략은 각각 제국/식민지 관계의 불균등성과 차별성, 그리고 식민지의 역사-지정학적위상을 발화의 입장에 각인한 채, 중일전쟁기에 개시된 담론공간에서 제국/식민지의 관계를 변화시키고자 수행된 담론의 실천전략으로 특징지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천을 통해 ‘추상화’ 전략은 일본의 ‘동아신질서’ 구상의 근본적 한계를 비판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었고, ‘과잉’ 전략은 일본의 헤게모니 담론을 내부로부터 거슬러 읽음으로써 그 기만성과 허위성을 드러낼 수 있었지만, ‘대동아공영권’이라는 보다 분명한 제국주의적 비전이 제시되면서 중일전쟁기의 상대적으로 유동적인 가능성의 공간은 닫히게 된다.

      • KCI등재

        근대문학에서의 전통 형식 재생의 문제 - 1920년대 시조부흥론을 중심으로

        차승기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7 No.-

        For early modern literary men, the standardization of modern literature as defined by the West was still an ideal to be attained. However, the motivation at the heart of such a pursuit stemmed as much from a denial of a past perceived as a fetter to freedom as from the pursuit of freedom of thought in and of itself. The past to be denied was apast dominated by China. In this context, traditional forms such as shijo were often criticized as embodying Chinese poetics and sentiments. In the mid-1920's, through Ch'oi Namson(崔南善)'s declaration for shijo revival, shijo which had been criticized as mere adaptations of Chinese poetry came to take on the foundational posi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hoi's studies which were contemporaneous with research on a series of ancient history, he recuperated the shijo from Chinese influence by locating its origins in traditional religious practices, and thus attempted to define a national essence in shijo. However, such "decentering of China" through defining and identifying with a past prior to China, ironically resulted in loosening of tensions that necessitated the pursuit of modern literature. It weakened the understanding of modern literature itself as that which is 'unfamiliar' and 'new,' 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past, and reproduced a discourse of essentialist self-identification. Therefore, Ch'oi Namson's shijo revival in fact foreclosed the possibility of a discourse on the rebirth of a past form. In contrast, Yi Byonggi(李秉岐) declared the passing of an age in which shijo had once existed as 'song,' and he attempted to reform the shijo as 'poetry' in the new modern era. He believed that in order to truly revive the shijo, it wa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nging conditions of the times, and he attempted to eradicated the "song" of the shijo and in its place, he located 'poetic rhythm'. Yi believed that only by becoming aware of the conditions of modern literature and by reencountering the past from that perspective, can a traditional form productively face-off with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modern literature. In this sense, Yi's theories on the shijo can offer an important hint in understanding the binaries of 'tradition/modern' and 'region/world' in literature. 근대 초기 신문학 담당층들에게 서구적인 의미에서의 새로운 근대문학의 규범적 개념은 도달해야 할 이상으로서 놓여 있었다. 그러나 그 이상추구의 동력을 제공했던 것은, 자유로운 정신을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지향성 못지 않게 자유를 속박했던 과거에 대한 부정이었다. 그 과거란 단적으로 말해서 중국에 의해 지배된 과거였다. 이러한 과거 인식에 의해 특히 시조와 같은 전통 형식은 중국 한시 및 중국적 사상·정서에 지배된 것으로 부정되곤 했다. 그러나 한시의 형식적 번안에 불과하다고 여겨왔던 시조는, 1920년대 중반 최남선의 시조부흥 선언을 통해 '조선적 문학'의 토대가 되었다. 일련의 고대사 연구와 병행된 그의 시조부흥론은 시조의 기원을 고대 종교제의의 '노래'에서 찾으면서 중국의 영향으로부터 시조를 구제하고, 그로부터 민족성의 본질을 규정하고자 했다. 그러나 '탈중국' 또는 '중국 이전'의 다른 과거를 확인하고 동일시하게 되자 근대문학 추구의 욕망에 내재해 있던 긴장감도 사라지게 되었다. '낯선 새로움'으로서의 근대문학이라는, 과거와 근본적으로 달라진 조건에 대한 의식은 약화되고, 본질주의적인 자기동일성의 담론이 재생산되었다. 이로 인해 최남선의 시조부흥론은 정작 과거의 형식이 재생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논의 자체를 닫아버렸다고 하겠다. 이에 반해 이병기는 시조가 '노래'로서 존재하던 시대는 지나갔다고 판단하고 그 형식을 '시'로 변형시키고자 했다. 그는 정당한 의미에서 시조를 부흥하고자 한다면, 당대의 변화된 근대적 조건을 고려해야만 한다고 주장하면서, 시조에서 '노래'를 제거하고 그곳에 '시적 리듬'을 놓는다. 근대문학의 조건을 자각하고 그 조건 위에서 과거를 대면하고 있음을 자각할 때에만 전통 형식을 근대문학의 제도적 틀과 생산적으로 충돌시킬 수 있음을 일깨워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시조론은 문학에 있어서의 '전통/근대', '지역성/세계성'의 문제를 사고하는 데 중요한 시사를 준다.

      • KCI등재

        수용소라는 안전장치-오무라(大村)수용소, 폴리스, 그리고 잉여-

        차승기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이 논문은 동북아시아의 냉전 국민-국가 체제에 있어 출입국관리제도 및 불법입국자 수용소라는 장치가 수행한 ‘구성적 기능’을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패전 후 일본의 법-영토-국민을 재창출하기 위해 이질적인 존재들을 방출하는 장치, 즉 ‘단일민족 국민-국가’ 일본이라는 신체의 항문인 동시에 재일조선인들을 배제하고 동화하는 ‘헤게모니 장치’였던 오무라 조선인입국자 수용소는, 불법적이고 위험한 밀항자들로부터 일본 사회를 방어한다는 신화를 만들어냄으로써 일본을 식민지 책임으로부터 면제시키는 ‘안전장치’였다. 이 장치에 의해 식민지 지배에 대한 ‘책임’은 사회 불안 요소에 대한 ‘방어’로 대체되었다. 한편, 식민지/제국 시기 ‘내지’ 도항 조선인이 식민본국과 식민지 사이의 법적 위상 차이로 인해 ‘~인 동시에 ~’라는 이중적 주체성에 의해 규정되었다면, 일본의 패전과 함께 ‘~이 아닌 동시에 ~도 아닌’ 이중적 탈주체성에 의해 ‘잉여(surplus)’적 존재가 된 재일조선인은, (민족=)국민-(영토=)국가 체제가 제거하고 싶어 하는 통치불가능성의 영역을 지시해 준다. 이때 오무라수용소는 주권권력들 사이를 연결하고 그 사이에 틈이나 공백을 남겨놓지 않기 위해 설정된 일종의 ‘경첩’처럼 기능한다. 이 경첩은 반공 냉전전선 내부에 불온한 ‘틈’을 남겨두지 않으려는 동북아시아 냉전 국민-국가 체제의 ‘공-형성구조’를 드러내준다. この論文は、東北アジアの冷戦国民国家体制において、出入国管理制度及び不法入国者収容所という装置が遂行した「構成的機能」を批判的に思考している。 敗戦後、日本の法-領土-国民を再創出するために異質的な存在を放出する装置、即ち「単一民族国民国家」日本という身体の肛門である同時に在日朝鮮人を排除し、同化する「ヘゲモニー装置」であった大村朝鮮人入国者収容所は、不法的で危険な密航者から日本社会を防御するという神話を作り上げることによって、日本を植民地責任から免除させる「安全装置」であった。この装置により、植民地支配に対する「責任」は社会不安要素に対する「防御」へと代替された。 一方、植民地/帝国時期の「内地」渡航朝鮮人が植民地本国と植民地の間の法的位相の違いによって「~である同時に~」という二重的主体性として規定されたとしたら、日本の敗戦とともに「~でない同時に~でもない」という二重的脱主体性として「剰余」的存在となった在日朝鮮人は、(民族=)国民-(領土)国家体制が除去しようとする統治不可能性の領域を現わす。そして大村収容所は主権権力たちの間を連結し、その間に隙間か空白を残さないように設定された或種の「蝶番」のように機能する。この「蝶番」は、反共冷戦前線の内部に不穏な「隙間」を残さないようとする東北アジア冷戦国民国家体制の「共-形成構造」の必須的構成要素である。

      • KCI등재

        재난도시와 적대의 정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또는 비대칭적 세계에 응답한다는 것

        차승기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4 민주주의와 인권 Vol.24 No.1

        이 논문은, 조세희의 독특한 책임의식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하 『난쏘공』으로 약칭)을 쓰게 만들었다는 점에 주목하며, 그가 전달하고자 했던 ‘난장이의 눈’의 정체를 탐구하고, 그 눈의 가시성의 정치-윤리를 고찰하고자 했다. 흔히 『난쏘공』의 세계는 개념적으로 양립불가능한 대립항들이 공존・충돌하며 형성하는 명백한 모순성에 기초해 있다고 읽어 왔다. 그러나 저 선명한 대립의 표상들은 실제로 현실의 비대칭적 관계를 함축하고 있으며, 조세희가 발견하고 전달하고자 했던 ‘난장이의 눈’은 비대칭적 세계를 향한 적대적 시선에 다름 아니었다. ‘난장이들’은 국가 주도의 폭력적인 근대화・산업화・도시화 과정에서 뿌리뽑힘을 당하며 이 비대칭적 세계에 적대하게 되고, ‘전치’ 및 ‘이주 없는 전치’를 경험하는 난장이와 그의 아들딸의 눈 앞에 자본 축적의 식민주의적 본질과 ‘재난도시’의 실체가 드러난다. 『난쏘공』은 서사의 저변에 ‘터전의 박탈’이라는 주제가 흐르고 있는 만큼, 각 계층 및 집단이 환경과 관계 맺는 방식과 관련해서도 의미심장한 차이들을 전개한다. 마치 환경 바깥에, 책임 바깥에 존재할 수 있기라도 한 듯이 행동하는 ‘그들의 환경주의’, 오염 속에 있으면서도 자본과 국가가 세계에 가한 폭력을 자연의 문제로 치환하는 ‘시민들의 환경주의’, 그리고 오염과 파괴의 현장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절망적으로 자각하는 ‘난장이들의 환경주의’가 그것이다. ‘난장이들’의 절망과 적대는 비대칭적 세계를 향한 징벌적 폭력을 낳는다. 적대의 정치의 맹목과 통찰을 모두 함축한 이들의 폭력은, 끝없이 절망하지만 절망 자체에 정복당하지 않는 절망, 소멸되지도 마비되지도 않는 절망, 즉 ‘패배를 모르는 절망’을 드러내는 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ndeavors to scrutinize the essence of the “dwarf’s eye” motif within Cho Se-Hui's literary oeuvre,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nuanced politics and ethics surrounding its visibility. It posits that Cho’s distinctive sense of authorial responsibility prompted the creation of The Dwarf (1975-1978). Commonly construed as a narrative marked by the coalescence and confrontation of seemingly incongruent opposites, the work’s stark dialectics subtly underscore asymmetrical power relations endemic to reality. The “dwarf's eye,” a conceptual prism discerned and conveyed by Cho, emerges as a gaze inherently antagonistic toward such asymmetry. The narrative of The Dwarf elucidates the plight of marginalized individuals, metaphorically represented as “dwarfs,” ensnared in the tumultuous vortex of state-driven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seindividuals find themselves in direct opposition to an asymmetrically structured world, wherein the colonialist undertones of capital accumulation and the dystopian reality of the “disaster city” unravel before their gaze. The thematic thread of displacement intricately woven throughout the narrative serves to delineate disparate modes of environmental engagement across various social strata. Three distinct typologies of environmentalismemerge from Cho’s narrative tapestry: firstly, “their environmentalism,” which espouses a delusion of detachment from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secondly, “civic environmentalism,” which, while acknowledging environmental degradation, relegates it to a deterministic facet of capitalist and state-induced violence; and lastly, “dwarf environmentalism,” characterized by a somber acknowledgment of the futility in evading scenes of pollution and desolation. The palpable despair and antagonism pervading the “dwarfs’” existence serve as precursors to acts of punitive violence directed at the asymmetrical world they inhabit. Such violence is emblematic of a dialectical interplay between the blindness inherent in despair and the lucidity encapsulated within acts of resistance. It embodies a form of despair that remains undefeated, persisting in defiance of its own inevitability, neither succumbing to annihilation nor succumbing to paralysis.

      • KCI등재

        내지의 외지, 식민본국의 피식민지인, 또는 구멍의 (비)존재론

        차승기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6

        이 논문은 피식민지인인 조선인들이 식민본국인 일본에서 일정한 규모의 사회를 형성하게 된 과정 및 그 사회가 놓여 있던 역사적 장소를 식민 지/제국 체제의 일상적 작동방식 속에서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내지 이주 조선인 노동자들의 삶을 직접 포착하거나 형상화하고 있는 문학 텍스트를 통해 이주 조선인 노동자들이 놓여 있던 역사적 장소의 (비)존재론을 사유해보고자 했다. 식민지 조선에서의 계급분화와 인구이동이 식민지/제국의 범위에서 진행되면서 유동성을 신체에 각인한 존재들이 양산되었다. 그 중에서도 내 지로 도항해 간 이주 조선인들은 식민지/제국 체제의 사법적·영토적 경계를 넘나들면서 내지의 법과 언어와 문화 내부에 특이한 장소를 형성하 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그 장소의 특성을 ``구멍``으로 포착하고자 했다. 장혁주와 김사량의 르포 및 소설을 통해 이 ``구멍``의 (비)존재를 드러내 고자 했고, 벌레와 이슬람교도의 비유를 통해 이주 조선인 노동자들의 역 사적 장소를 포착하고자 했다. ``구멍``은 조선/일본, 저항/친일, 민족/계급 등의 대립 개념들이 충돌하며 만들어내는 지배적 언설장에는 가시화되지 않는, ``식민지와 제국 사이``가 아닌 ``식민지/제국 체제 내부``의 한계지점이 라고 할 수 있으며, 벌레 또는 이슬람교도로서의 이주 조선인 노동자들은 그 ``구멍``의 장소에서 예외적인 존재로서 움직이고 있다. この論文は、被植民地の朝鮮人たちが植民地本國日本で一定の社會を形成することになった過程およびその社會がおかれていた歷史的場所を、植民地/帝國?制の日常的な作動方式の中から考察する。また、內地に移住した朝鮮人勞動者の生を捕らえ、形象化した文學テクストを通じて、朝鮮人の移住勞動者が置かれていた歷史的場所の(非) 存在論を考えていきたい。植民地朝鮮での階級分化と人口移動が植民地/帝國の範圍で進行することにより、流動性を身?に刻印した存在が登場することになった。その中でも、內地へ渡航して行った移住朝鮮人は、植民地/帝國の司法的·領土的境界を橫斷しつつ、內地の法、言語、文化の內部に特異な場所を形成することになった。この論文では、その場所の特性を「穴」として捉えている。張赫宙と金史良のルポおよび小說を通じてこの「穴」の(非)存在を現し、?とイスラム敎徒の比喩を通じて朝鮮人移住勞動者の歷史的場所を捉えようとしている。「穴」は、朝鮮/日本、抵抗/親日、民族/階 級などの對立槪念が衝突して造り上げる支配的言說場には可視化されない、「植民地と帝國の間」ではなく「植民地/帝國?制の內部」の限界地点であるということができ、?あるいはイスラム敎徒としての朝鮮人移住勞動者は、その「穴」の場所で例外的な存在として動いてい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