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셀로비오스의 미백화장품 소재 가능성 평가를 위한 멜라닌 세포에서 자가포식 및 멜라닌 생성 효능 연구

        차병선,이석주,소피아브리토,정소영,이소민,Lei Lei,이상훈,Zubaidah Al-Khafaji,빈범호,곽병문,허효진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8 No.4

        Cellobiose is a dissacharide constituted by two glucose units joined by a β-(‘1,4’) glycosidic bond that is produced by the decomposition of cellulose. This product exists naturally in plants and has been utilized in different industries as a food sweetener, and as a cosmetic and pharmaceutical material. In this study, the potential of cellobiose as a whitening cosmetic product was evaluated by analyzing autophagy induction and the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A cytotoxicity test conducted in the human melanin-producing cell line MNT-1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cellobiose revealed that this compound did not cause cytotoxicity at 20 mg/mL or less. Based on this, autophagy was firstly evaluated by immunostaining with the autophagy marker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 after treatment with 20 mg/mL of cellobiose. The subsequent confocal microscopy analysis revealed an increase in LC3 puncta, indicating induction of autophagy. In addition, autophagy was further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which demonstrated that cellobiose converted LC3-Ι to LC3-Π in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manners. An analysis of melanin contents after cellobiose treatment at a concentration of 20 mg/mL during 7 days revealed that melanin production was reduced by more than 50%. Additionally, the expression levels of melanogenesis-related proteins TYR and TYRP1 were markedly decreased after cellobiose treatment. Based on these studies, a cosmetic cream formulation containing cellobiose was prepared and the change in formulation was tested for 4 week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earance changed to liquid form at high temperature, but the pH did not change. In conclusion, the present research demonstrated that cellobiose activates autophagy and inhibits melanin production, and showed the potential of this product as a material for whitening cosmetics. 셀로비오스(cellobiose)는 식물 등에 널리 분포하는 셀롤로오스의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이당류이다. 환원당인 셀로비오스는 2 개의 β-1,4 결합으로 결합한 구조를 가지며, 식물 등에 존재하는 천연물로서, 건강식품이나 식품의 감미료, 화장품 원료, 의약품 원료로서 활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유용될셀로비오스를 기능성 화장품인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자가포식 활성화 및 멜라닌 생성저해 효능을 검토하였다. 인간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로 알려진 MNT-1 세포에서 셀로비오스의 농도에 따른독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20 mg/mL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셀룰비오스처리에 따른 자가포식 표지자인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 puncta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LC3의 형태가 LC3-Ι에서 LC3-Π로 변환됨을 확인하였으며, 농도와 시간에 따라 LC3-II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셀로비오스를 동일 세포에서 20 mg/mL 농도로 7 일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분석한결과, 50% 이상 멜라닌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멜라닌 생성 관련 단백질TYR 및 TYRP1의 발현량을western blot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발현이 저해되어 멜라닌 생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을 기반을 토대로 셀로비오스를 함유한 화장품 크림제형을 확보하여 4 주 동안 제형의 변화를확인 해본 결과 성상이 고온에서 액채형태로 변화하였지만 pH는 변화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자가포식 활성화 및 멜라닌 생성 억제 과정에 셀로비오스가 관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미백 화장품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골든크로쿠스비늘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

        유경완,이소민,정소영,허효진,차병선,Sofia Brito,Lei Lei,이상훈,천유연,조하현,김예지,이미기,곽병문,빈범호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9 No.1

        In this study, Crocus chrysanthus (Herb.) Herb. bulb extracts were extracted by purified water and ethanol, and their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ere measured to see the possibility as a cosmetic material. The yield of the extracts was 1.8% to 6.0%, and the yield decreased as the ethanol concentration increased. DPPH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 at 91.97% at 625 μg/mL of 70% ethanol extract.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also measured at 447 mg/g, higher than other extraction methods. The whiten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in vitro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s the ethanol concentration of the extracts increased,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creased, and 70% and 94.5% ethanol extracts showed high inhibitory activity. Therefore, the Crocus chrysanthus (Herb.) Herb. bulb extracts confirmed its potential as a cosmetic material through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본 연구에서는 골든크로쿠스비늘줄기를 정제수와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을 하여 항산화 효능과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고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추출물의 수율은 1.8 ~ 6.0%을얻었으며, 에탄올 용매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율은 감소하였다. 항산화 효능으로 DPPH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 활성 분석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 625 μg/mL에서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이 91.97%로 높게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에서도 447 mg/g으로 다른 추출 방법보다 높게측정되었다. 미백 효능은 in vitro의 tyrosinase 저해 활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추출물의 에탄올 농도가 높아질수록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증가하였고 70%와 94.5%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골든크로쿠스비늘줄기 추출물은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통해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질소 플라즈마의 화장품 가능성 평가

        이소민,정소영,소피아브리토,허효진,차병선,Lei Lei,이상훈,이미기,빈범호,곽병문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8 No.3

        Plasma refers to an ionized gas that is often referred to as “the fourth phase of matter”, following solid, liquid, and gas. Plasma has traditionally been utilized for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welding and neon signs, but its promise in biomedical fields such as cancer treatment and dermatology has lately been recognized. Indeed, due to its beneficial effects in promoting collagen production, improving skin tone, and eliminating harmful bacteria in the skin, plasma treatment constitutes an important target for dermatological research. In this study, a plasma device for cosmetic manufacturing based on nitrogen, the main component of the atmosphere, was designed and assembled. Moreover, nitric oxide (NO) was selected since is easier to follow and evaluate than other nitrogen plasma active species, and its contents were measured to perform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plasma. First, an injection method, using different proximities labeled “sinking” and “non sinking” treatments, was performed to test the most efficient plasma treatment method.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the formulation obtained by a non sinking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Furthermore, toner and ampoule were selected as cosmetics formul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ulation and changes in the injected plasma state were observed. In both formulations, the successful injection of NO plasma was 2 times higher in toner formulation than ampoule formulation, and it gradually decreased with time, having dissipated after a week. It was confirmed that the nitrogen plasma used did not affect the stability of the toner and ampoule formulations at low temperature (4 °C), room temperature (25 °C), and high temperature (37 °C and 50 °C)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plasma cosmetics and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injected plasma. 플라즈마란 고체, 액체, 기체에 이은 “4번째 상”으로서 이온화된 기체를 의미한다. 주로 용접과 네온사인에 응용 및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암 치료 등 의료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피부에서는 콜라겐 생성촉진, 피부 톤 개선, 피부 유해균 사멸 등 다양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기의 주성분인 질소를활용한 화장품 제조용 플라즈마 기기를 통해 질소 플라즈마 활성종 중, 추적 평가가 용이한 nitric oxide (NO)의양을 측정하여 플라즈마의 양적/질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효율적인 플라즈마 처리를 위해 sinking과 non sinking 법을 활용한 주입 방법을 시도한 결과, non sinking 법을 활용한 제형의 근접 처리가 효과적임을 확인할수 있었다. 나아가 토너와 앰플을 화장품 제형으로 선택하여 NO 플라즈마 주입 후 제형의 성상 및 주입한 플라즈마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두 제형에서 NO 플라즈마의 주입 성공량은 토너가 앰플보다 약 2 배 가량 높았으며,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일주일 후, 소실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용된 질소 플라즈마는 저온(4 ℃), 실온(25 ℃), 고온(37 ℃, 50 ℃) 조건에서 토너와 앰플 제형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질소 플라즈마의 화장품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주입된 플라즈마의 안정성 확보의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쌀겨오일의 안티폴루션 화장품 소재로써의 응용

        강해란,정소영,허효진,차병선,이소민,여혜림,유경완,곽준수,곽병문,이미기,빈범호,Kang, Hae-Ran,Jung, So Young,Heo, Hyojin,Cha, Byungsun,Brito, Sofia,Lee, So Min,Yeo, Hye Lim,Yoo, Kyung Wan,Kwak, Jun Soo,Kwak, Byeong-Mun,Lee, Mi-Gi,Bin, B 대한화장품학회 202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7 No.3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일반적으로 사람 머리카락의 두께에 비하여 각각 1/6 ~ 1/7, 1/20 ~ 1/30 정도로 매우 작은 부유성 먼지를 뜻하며, 다양한 종류의 중금속 이온이 내포되어 있다. 호흡뿐 아니라 피부의 모공 틈새를 통해서 유입된 미세먼지는 체내 조직과 피부 건강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을 막거나 깨끗이 씻어내어 제거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Oryza sativa (Rice) bran oil (OSBO, 쌀겨오일)을 이용하면 중금속 이온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독성 실험을 통해 세포 생존율이 곡물 유래 성분과 비교했을 때에도 월등히 높아 외부 자극원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OL1A1 mRNA의 발현량이 높아짐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미세먼지 속 중금속 이온에 의해 손실된 수분으로 유발될 수 있는 주름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중금속 제거를 위한 워시-오프 제형의 OSBO 함유 화장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articulate matter and ultra-particle matters generally refer to very small floating dust, such as 1/6 to 1/7 and 1/20 to 1/30,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human hair, and contain various types of heavy metal ions. In addition to breathing, particle matters (PM) that flows in through the gaps in the pores of the skin can induce health problems in the body's tissues and skin, so it must be removed by blocking the inflow or by washing.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heavy metal ions can be adsorbed and removed by using Oryza sativa (Rice) bran oil (OSBO). In addition, the cell viability is much higher than that of grain-derived components through cytotoxicity experiments, and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an external stimulus source can be expec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amount of COL1A1 mRNA increased, and accordingly, it was believed that wrinkles that might be caused by moisture lost by heavy metal ions in fine dust could be allevi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we tried to present a cosmetics containing OSBO, which is a wash-off formulation, in order to finally remove heavy metals.

      • KCI등재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고함량 세라마이드 안정화 제형 연구

        김예지,한상우,이소민,차병선,허효진,소피아브리토,Lei Lei,이상훈,천유연,조하현,김형묵,곽병문,빈범호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9 No.2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tudy the stabilization of the high content of ceramide formulation by containing cyclodextrin. Ceramide, which constitutes the intercellular lipid, a human skin barrier, is a very important ingredient in moisturizing maintenance by protecting moisture in the skin and strengthening the skin barrier. However, since ceramide is poorly soluble, even if it is included in the cosmetic formulation, it has a problem that it is slowly gelled or crystallized and deposited over time, making it difficult to containing a high amount of ceramide. Cyclodextrin is a cyclic oligosaccharide connected with glucose molecules and has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hydrophilic outer surface and hydrophobic inner surface, which is known to improv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ugs such as improving solubility and absorption of poorly soluble drugs. We demonstrated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containing high amount of ceramide by measuring hardness and observing emulsion drops with polarized microscope.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the high-content ceramide formulation containing cyclodextri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gelation or crystallization of ceramide, thus having excell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tability and skin moisturization. 본 연구에서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하여 고함량 세라마이드 제형 안정화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인체피부 장벽인 세포간지질을 구성하는 세라마이드는 피부 속 수분을 보호하고 피부 장벽을 강화함으로써 보습유지에 매우 중요한 성분이다. 그러나 세라마이드는 난용성이므로 화장품 제형에 포함되었다 하더라도 서서히 겔화(gelation) 또는 결정화(crystallization)되어 경시적으로 석출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어 고함량 처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은 글루코오스 분자가 연결된 환형 올리고당으로 그 외부 표면은 친수성이고 내부는 소수성인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난용성 약물의 용해성 개선 및 흡수성의 개선 등 약물의 물리화학적인 성질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진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활용하여 세라마이드 안정화제형 실험 후 경도 측정 및 편광 현미경 관찰을 통해 세라마이드 석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고함량 세라마이드 제형이 세라마이드의 겔화 또는 결정화를 예방하여 석출을 방지하는효과가 있어 제형 안정성, 환경 조건별 보관 안정성 및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Pullulan과 Polysaccharides를 이용한 천연화장품용 필 오프 팩의 제조 및 특성

        곽준수,정소영,이소민,이석주,Sofia Brito,차병선,허효진,Lei Lei,이상훈,조하현,천유연,김예지,김형묵,이미기,곽병문,빈범호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9 No.1

        In this study, for a natural cosmetics market, we sought to explore alternatives that can replace polyvinyl alcohol (PVA) of peel-off packs. A peel-off type pack was prepared by combining pullulan, a water-soluble polysaccharide, and other polysaccharides (sodium hyaluronate, cellulose gum, hydroxyethyl cellulose, sodium alginate, corn starch), and the pH, viscosity, and stability against temperature of each peel-off type pack were confirmed. The thickness and tensile strength of the manufactured film were measured for comparison with the PVA peel-off type pack, and applicability, drying speed, and removal degree were measured. Among them, the pullulan-sodium hyaluronate peel-off type pack showed excellent film formation ability to replace the peel-off type pack containing PVA with 5.12% thin film thickness and 4.23% high film tensile strength. When applied to actual skin, the degree of spread of the pack, the usability that can be uniformly applied, and the formation and removal strength of the film when removed after drying were also similar to the peel-off type pack containing PVA.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film formed of pullulan-sodium hyaluronate showed enough physical properties to replace the PVA of the peel-off type pack as a natural peel-off type pack. 본 연구에서는 천연 및 자연주의 화장품 시장에 대응하여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을이용한 필 오프 팩을 대체할 수 있는 성분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용성 다당류인 풀루란(pullulan)과 기타다당류(sodium hyaluronate, cellulose gum, hydroxyethyl cellulose, sodium alginate, corn starch)와의 조합을 통한 필 오프 팩을 제조하였으며, 각 필 오프 팩의 pH와 점도, 온도별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제조한 필름의두께와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기존의 PVA 필 오프 팩과 비교하였으며, 피부에서의 도포성과 건조속도, 제거성을확인하였다. 그 중 pullulan-sodium hyaluronate 필오프 팩은 5.12% 얇은 두께와 4.23% 높은 필름 인장강도로 PVA 필 오프 팩을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필름성을 보였다. 실제 피부에 적용 시 팩의 퍼짐 정도와 균일하게도포 가능한 사용성, 건조 후 제거 시 필름의 형성 및 제거 강도 평가 또한 PVA 필 오프 팩과 흡사한 수준을보였다. 이에 pullulan-sodium hyaluronate 필름은 천연 필 오프 팩으로 PVA 필 오프 팩을 대체할 수 있을정도의 물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2'-푸코실락토오스의 자가포식을 통한 멜라닌 감소 연구

        정소영,유한준,허효진,이소민,소피아브리토,차병선,Lei Lei,이상훈,빈범호,이미기,곽병문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8 No.2

        2'-fucosyllactose (2'-FL) is the most abundant human milk oligosaccharide (HMO) present in breast milk, promo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in the gut and aiding in the relief of allergic and inflammatory reactions. In this study,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2'-FL, and its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whitening cosmetics, were evaluated. MTT assay was performed on MNT-1 cells, human-derived melanocytes. 2'-FL was treated and replaced at 48 h intervals for 7 day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cytotoxicity at 20 g/L or less, while a 40% reduction in melanin production was also observed. Western blot analysis of TYR and TYRP1, factors involved in melanogenesis, revealed that 2'-FL treatment reduced their expression levels. In addition, 2'-FL application and observation of the autophagy marker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 revealed it was converted from LC3-Ι to LC3-Π, indicating increased autophagy. Likewise, confocal microscopy revealed an increase in LC3 puncta after 2'-FL treat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2'-FL-mediated activation of autophagy reduces melanogenesi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YR and TYRP1 proteins. In conclus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2'-FL induces autophagy and suppresses melanin production, so its potential as a whitening cosmetic material is expected. 2'-fucosyllactose (2'-FL)는 사람의 모유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올리고당(human milk oligosaccharides, HMOs)으로, 장내 유용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알레르기,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것에 도움을 준다. 다양한 긍정적 기능을 가진 2'-FL의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저해 효능 및 자가포식 유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인간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로 알려진 MNT-1 세포에서독성 실험을 진행하여 40 g/L 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동일 세포에서 20 g/L 농도로 7 일간처리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 40% 멜라닌 생성 감소를 확인하였다. 멜라닌 생성 관련 인자 TYR 및 TYRP1의 단백질 발현량을 western blot 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FL 처리는 이들을 감소시켰으며, 더불어 자가포식 표지자인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 light chain 3 (LC3)의 형태가 LC3-Ι에서 LC3-Π 로 변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초점 현미경을 통해 2'-FL 처리에 따른 LC3 puncta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2'-FL로 활성화된 자가포식이 TYR 및 TYRP1 단백질 발현량을 저해시킴으로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것으로 시사된다. 결론적으로 2'-FL은 자가포식을 유도하여 멜라닌 생성이 억제됨이 확인되어 미백 화장품소재로써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 KCI등재

        쑥으로부터 유래된 나노입자의 화장품 제품 응용

        정소영,강해란,유한준,최형,허효진,차병선,이소민,여혜림,강서정,이대엽,곽병문,이미기,빈범호,Jung, So Young,Kang, Hae-Ran,Yoo, Han Jun,Choi, Hyeong,Heo, Hyojin,Cha, Byungsun,Brito, Sofia,Lee, So Min,Yeo, Hye Lim,Kang, Seo Jeong,Lee, Dae Yeop 대한화장품학회 202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7 No.3

        나노입자(nanoparticles)는 그 크기가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보다 작다. 따라서 세포막을 통과하고 약물 또는 유전자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에 매우 적합하며 특정 성분을 피부 속에 전달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쑥으로부터 나노입자를 추출하여 dynamic light scattering (DLS)를 통해 100 nm 전후 크기의 입자를 얻었음을 확인하였고, MTT assay를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cell viability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진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quantitative real time PCR 분석법을 통해서 COL1A1 mRNA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IL-6 mRNA 발현량은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세포실험뿐 아니라 화장품 제형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최근 화장품 산업 동향에서 화학 성분을 배제하고 식물 유래 성분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반면, 식물에서 유래된 나노입자의 응용분야를 제시하는 연구 결과가 거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의 화장품 산업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견주어 쑥으로부터 유래된 나노입자를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Nanoparticles are substances that are smaller in size and smaller than cells that make up the skin. Therefore, they are very suitable as mediators for transmitting drugs or genes across cell membranes, and also deliver specific ingredients into the skin.In this study, nanoparticles were extracted from mugwort and particles of around 100 nm were obtained through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the results of concentration-dependent enhancement of cell viability in fibroblasts were obtained through MTT assa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1A1 mRNA expression level was increased and the IL-6 mRNA expression level was decreased through the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method. Moreover, as these nanoparticles were confirmed to be stable, they can be applied not only to cell experiments but also to cosmetic formulations. While the demand for plant-derived ingredients continues to increase, excluding chemical ingredients from the recent cosmetics industry tre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re are few research results suggesting the application field of plant-derived nanoparticles.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smetic industry at the present tim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present nanoparticles derived from Artemisia princeps (NDAP) as a highly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 KCI등재

        밍크 오일의 식물성 대체원료 개발

        이석주,김민태,이소민,정소영,소피아브리토,허효진,차병선,이상훈,Lei Lei,조하현,천유연,김예지,이미기,곽병문,빈범호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202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9 No.1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vegetable recombinated oil to mimic the animal-derived mink oil. Various vegetable oils and fatty acid substrates were mixed and an immobilized enzyme was utilized in the reaction to synthesize a plant-derived mink oil through deacidific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es.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recombined oil were confirmed using gas chromatography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Our results show a high similarity between mink oil and our synthesized plant-derived mink oil, revealing the potential of utilizing vegetable alternatives for the substitution of animal raw materials, which have been gradually discontinued as cosmetic ingredients. 본 연구는 식물성 유지와 진균 유래 효소를 이용하여, 밍크 오일과 유사한 식물성 재조합 오일의 개발에관한 것이다. 식물성 유지와 지방산을 혼합하여 고정화 효소를 이용하여 유지의 지방산을 재조합하고, 탈산및 정제과정을 통해 재조합 유지를 제조하였다. 합성된 재조합 유지는 gas chromatography 및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하여 화학적 조성 및 열적 물성 등에 대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밍크오일과 식물성 재조합 오일의 높은 유사성을 보여주며, 화장품 원료로 점차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동물성 원료의대체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